[더구루=홍성환 기자] 미국 무선 네트워크 솔루션 업체 에어스팬 네트웍스(Airspan Networks)가 신규 자금조달을 완료하고 기업회생 절차를 마무리한다.
[더구루=홍성환 기자] 한국투자공사(KIC)가 가상자산 분야에 대한 투자에 시동을 걸었다. 그동안 비트코인과 같은 암호화폐에 직접 투자하는 것에 대해서는 선을 그어왔는데, 가상자산 거래소 주식을 매입하며 간접적인 투자에 나선 모습이다. 10일 한국투자공사가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제출한 보유 주식 현황 자료를 보면 한국투자공사는 작년 4분기 나스닥에 상장된 미국 최대 암호화폐 거래소 코인베이스의 주식 8700주를 매수했다. 9일(현지시간) 종가 214.50달러를 반영하면 190만 달러(약 23억원) 수준이다. 투자 규모는 크지 않지만 한국투자공사가 암호화폐 관련 기업에 처음 투자해 눈길을 끈다. 한국투자공사는 그동안 암호화폐 직접 투자에 대해 부정적인 입장을 거듭 내비쳐왔다. 진승호 한국투자공사 사장은 앞서 작년 7월 취임 후 첫 기자간담회에서 비트코인 등 암호화폐 투자와 관련해 "국부펀드가 투자할 만한 자산은 아니다"고 밝힌 바 있다. 한국투자공사는 또 지난 4분기 미국 전기차 업체 루시드모터스와 리비안의 주식도 각각 10만2700주, 4만7200주씩 처음 매입했다. 루시드모터스는 작년 7월, 리비안은 11월 나스닥에 상장했다. 리비안은 상장 직후
[더구루=홍성환 기자] 우리나라에서 이른바 '돈나무 언니'라는 별명으로 유명한 캐서린 우드(캐시 우드) 아크인베스트 최고경영자(CEO)가 전반적인 암호화폐 시장의 하락세를 틈타 투자 비중을 적극 늘리는 모습이다. 전 세계적인 규제 강화 움직임에도 장밋빛 전망을 고수하며 저가매수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22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아크인베스트는 아크 넥스트 제너레이션 상장지수펀드(ARK Next Generation Internet ETF)를 통해 미국 장외시장(OTCMKTS)에 상장된 암호화폐 투자신탁 '그레이스케일 비트코인 트러스트(Grayscale Bitcoin Trust)'의 주식 31만여주를 추가로 매수했다. 매입가는 780만 달러(약 90억원)에 달했다. 아크인베스트는 앞서 지난달에도 이 투자신탁의 주식 100만주를 매수한 바 있다. 보유 주식은 900만여주로, 기관 투자자 가운데 가장 많다. 이 상품은 비트코인에 간접 투자하는 투자신탁으로, 암호화폐 관련 투자상품 중 운용 규모가 가장 크다. 캐시 우드는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 잭 도시 트위터 CEO 등과 함께 대표적인 암호화폐 옹호론자로 꼽힌다. 암호화폐와 관련해 환경 오염 문제가 계속 제기되
[더구루=홍성환 기자] 애플 등 빅테크 기업이 선구매후지불(Buy Now, Pay Later·BNPL) 시장에 눈독을 들이는 가운데 호주에서 BNPL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즐(Sezzle)이 미국 신용카드 결제기업 디스커버파이낸셜(Discover Financial Services)과 손을 잡았다. 16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시즐과 디스커버파이낸셜은 3000만 달러(약 340억원) 규모 지분 투자 협약을 맺었다. 이에 따라 디스커버파이낸셜은 호주증권거래소(ASX)에 상장한 시즐의 신주를 인수할 예정이다. 두 회사 간 협력은 애플, 페이팔 등 글로벌 빅테크 기업이 BNPL 사업을 확대하고 있는 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 블룸버그 통신은 애플이 골드만삭스와 함께 BNPL 서비스를 준비 중이라고 보도했다. 아이폰 등 애플 기기에 설치된 애플페이로 물건을 살 때 BNPL을 사용할 수 있도록 선택 옵션이 제공된다. 페이팔은 최근 호주에서 BNPL 서비스를 시작했다. 연체료 면제 등 공격적인 프로모션으로 시장 공략에 나섰다. BNPL은 소비자가 오프라인이나 온라인에서 물건·서비스를 구매하면 쇼핑액의 100%를 가맹점에 지불해 주는 금융 서비스이다. 소비자는 현금 없이 제품을
[더구루=홍성일 기자] 일본 모바일 게임 시장이 다운로드 수 정체에도 불구하고 높은 사용자당 평균 수익(ARPU)을 기반으로 아시아 2위 자리를 굳건히 지키고 있다. 충성도 높은 이용자 기반과 효과적인 수익화 전략이 일본 시장의 강점이자 한계가 될 수 있다는 분석이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미국 항공우주국(NASA, 나사) 연구진이 슈퍼컴퓨터를 통해 지구 생명체의 '종말 시점'을 예측했다. 나사는 인류가 다른 생명체보다 훨씬 이른 시점에 생존 위기를 맞을 것으로 전망하며 대안 마련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내놓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