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김형수 기자] 오미크론 변이에 효과를 내지 못한다는 이유에서 코로나19 항체치료제가 줄줄이 사용 제한되고 있는 가운데, 영국 제약회사 글락소스미스클라인(GSK)과 비어 바이오테크놀로지(Vir Biotechnology·이하 비어)에서 공동개발한 소트로비맙(Sotrovimab)도 사용제한 항체치료제 명단에 이름을 올리게 됐다. [유료기사코드] 24일 업계에 따르면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GSK와 비어 측에 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가 유행하는 곳에서는 소트로비맙이 사용되면 안 된다고 통지했다. 최근 이뤄진 여러 연구에서는 오미크론 변이 바이러스가 소트로비맙을 포함한 거의 모든 항체치료제에 저항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나자 FDA가 판단을 내린 것으로 해석된다. FDA의 이번 결정에 따라 일라이 릴리(Eli Lilly)의 밤라니비맙(bamlanivimab)과 에테세비맙(etesevimab)를 함께 투여하는 치료법, 리제네론(Regeneron)의 리젠코브(REGEN-COV)에 이어 소트로비맙도 오미크론 변이 바이러스에 감염된 코로나19 환자에게 쓸 수 없게 됐다. 비어는 지난 9일 전임상 시험 데이터를 근거로 소트로비맙이 BA.2 오미크론 변이 바이러스에
[더구루=김형수 기자]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결정에 따라 영국 제약사 글락소미스클라인(GSK)의 중증 호산구성 천식(SEA) 치료제 뉴칼라(Nucala·메폴리주맙)을 어린 환자들이 더 편하게 맞을 수 있는 길이 열렸다. [유료기사코드] 25일 업계에 따르면 FDA는 6세~11세의 중증 호산구성 천식 환자를 위한 뉴칼라 사전충전형(40mg) 주사기를 승인했다. GSK는 FDA의 이번 결정에 따라 어린 중증 호산구성 천식 환자가 병원을 방문할 필요없이 집에서도 뉴칼라를 투여받을 수 있게 됐다고 전했다. 집에서 뉴칼라를 투여하려면 보호자가 의료 전문가에게 한 차례 훈련을 받아야 한다. 지금까지 6세~11세의 중증 호산구성 천식 환자가 뉴칼라를 투여받으려면 의사를 4주에 한 번씩 찾아가야 했는데 이제는 병원을 방문하는 것에 더해 집에서 투여받을 수 있는 선택지가 생긴 것이다. 뉴칼라는 IL-5를 타깃으로 하는 단일클론항체다. IL-5가 호산구 세포 표면에 있는 수용체에 결합하는 것을 방지해 혈액 호산구를 감소시키고 정상 수준으로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FDA로부터 호산구 표현형을 동반하는 12세 이상의 중증 천식 환자를 위한 추가적 유지 치료로 승인을 획득했
[더구루=김형수 기자] 글락소스미스클라인(GSK)와 비어 바이오테크놀로지가 항체 치료제 소트로비맙(Sotrovimab)의 긴급사용승인에 또 하나의 투여 방식을 추가해달라고 미국 식품의약국(FDA)에 요청했다. [유료기사코드] 14일 업계에 따르면 GSK와 비어는 소트로비맙에 대한 긴급사용승인에 근육주사 투여 방식을 추가하는 수정을 요청한다는 취지의 신청서를 FDA에 제출했다. FDA는 지난해 5월 정맥주사 방식으로 투여하는 소트로비맙에 대한 긴급사용허가를 승인했다. 근육주사 방식도 포함시켜달라는 GSK와 비어의 이번 신청은 임상 3상에서 나온 결과를 바탕으로 이뤄졌다. 입원하지는 않았지만 중증으로 진행될 위험이 높은 경증에서 중등도 성인 또는 청소년 코로나19 환자에게 500mg의 소트로비맙을 근육주사했을 경우 나타나는 효과가 같은 용량의 소트로비맙을 정맥주사로 투여했을 때에 비해 떨어지지 않았으며, 유사한 효능을 보였다. 정맥주사는 응급 상황에서 빠르게 약물을 주입할 필요가 있거나 일정한 농도로 정확한 용량의 지속적 약물 투여가 필요한 경우에 주로 쓰인다. 근육주사는 엉덩이 윗쪽이나 팔뚝에 주사하는 방식으로 10분 정도면 약효가 나타난다. 진통제나 소염제,
[더구루=김다정 기자] 글락소스미스클라인(GSK)가 일본 제약사 시오노기와 손을 잡고 인체 면역 결핍 바이러스(HIV) 치료제 개발에 나선다. GSK는 28일(현지시간) 일본의 시오노기로부터 초지효성 HIV 치료제 후보를 독점 도입했다. GSK는 시오노기에 2천만 파운드(약 )를 선계약금으로 했다. 공동개발하는 HIV 바이러스 치료제 'S-365598'이 개발 목표치를 달성할 경우 1500만 파운드를 추가로 지불한다. S-365598은 전임상 3세대 인테그라제 억제제로서, HIV 바이러스가 증식하는데 필요한 효소를 억제하는 과정을 통해 바이러스를 억제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3개월 이상 간격으로 투여가 가능하다.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임상시험은 2023년에 진행하는 것을 목표하고 있다. 이는 HIV 치료제 시장에서 경쟁자들의 공세가 이어지자 GSK 역시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행보로 풀이된다. 올해 초 경쟁사인 길리어드사이언스는 에이즈(AIDS) 유발 바이러스에 대한 장기간 지속되는 치료제로 실험용 HIV 약물의 조합을 테스트하기 위해 머크와 협력했다. 현재 길리어드 사이언스의 트루바다 1일 경구 알약은 HIV 감염 예방 치료의 표준이지만, GSK는 더
[더구루=홍성일 기자] 엘살바도르가 전 세계 국가 중 처음으로 엔비디아의 차세대 인공지능(AI) 칩을 주문했다. 엘살바도르 정부는 차세대 엔비디아 AI칩을 기반으로 국가 AI 개발 역량을 끌어올린다는 목표다. [유료기사코드] 5일 업계에 따르면 엘살바도르 정부는 미국 AI 서버임대 기업 '하이드라 호스트'에 엔비디아 B300 칩이 장착된 서버를 주문했다. 하이드라 호스트는 50개 이상의 데이터센터에 그래픽처리장치(GPU) 수만 장을 공급한 경험이 있는 AI 인프라 기업이다. 하이드라 호스트는 최근 엘살바도르에서 처음으로 정규직 직원을 채용하기도 했다. 이번 주문은 나이브 부켈레 엘살바도르 대통령과 에런 진 하이드라 호스트 최고경영자(CEO)가 직접 만나 진행됐다. 에런 진 CEO는 부켈레 대통령에게 관련 프리젠테이션도 진행했다. 엘살바도르 정부가 도입하려는 B300은 블랙웰 울트라 시리즈에 포함되는 차기 고성능 AI 반도체로, 당초 B200 울트라로 불렸던 제품이다. B300은 TSMC 4나노미터(nm) 공정, 첨단 패키징 기술인 '칩 온 웨이퍼 온 서브스트레이트(CoWoS)'를 기반으로 제작됐으며, 현행 B200보다 AI 연산 성능이 50% 향상됐다. AI
[더구루=정예린 기자] 일본 키옥시아가 생성형 인공지능(AI)에 활용되는 벡터 검색 소프트웨어를 새롭게 업데이트했다. 솔리드스테이트드라이브(SSD) 기반 AI 시스템의 성능과 저장 용량 균형을 조절할 수 있어 대규모 AI 서비스 확장에 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유료기사코드] 5일 키옥시아에 따르면 회사는 최근 자사 벡터 검색 소프트웨어 'AiSAQ'의 최신 버전을 공개했다. 고정된 SSD 용량 내에서 쿼리 처리 속도와 저장 가능한 벡터 수 사이의 균형을 사용자가 직접 설정, 다양한 업무 환경에 맞는 최적의 성능 조정이 가능해진 것이 특징이다. AiSAQ는 키옥시아가 지난 1월 오픈소스로 공개한 소프트웨어로, D램을 사용하지 않고 SSD에서 벡터 검색을 수행하는 근사 최근접 탐색(ANNS) 알고리즘을 구현했다. 이는 대규모 벡터 데이터를 다루는 AI 시스템에서 빠른 검색 성능과 확장성을 동시에 확보하는 핵심 기술이다. 일반적인 AI 벡터 검색 시스템은 인덱스 데이터를 D램에 적재해 쿼리 응답 속도를 높이지만, D램 용량의 한계와 비용 부담이 크다. 반면 AiSAQ는 SSD 내 데이터를 직접 탐색해 D램 사용량을 획기적으로 줄이면서도 SSD의 고용량 특성을 활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