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오소영 기자] 전기차용 리튬인산철(LFP) 배터리가 주류로 부상하며 중국이 인 부족에 시달릴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됐다. 중국 의존도가 높은 국내 업체들이 공급망을 다각화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코트라 항저우무역관에 따르면 중국은 인 수요가 공급을 앞지를 것으로 예상된다. 수요 측면에서는 전기차 판매가 늘며 리튬인산철 배터리용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중국 자동차 동력배터리산업혁신연맹은 지난해 LFP 배터리 생산량이 전년 동기 대비 262.9% 폭등해 125.3GWh를 기록했다고 분석했다. 전체 배터리 생산량 중 57%가 LFP었다. 미국 테슬라와 포드 등 글로벌 완성차 업체들은 리튬이온 대비 저렴하고 안전성이 높은 LFP 배터리를 선호하고 있다. 이로 인해 2030년까지 LFP가 배터리 시장의 주류가 될 것이라는 게 업계의 중론이다. 중국 LFP 배터리 생산량은 2030년 885.2GWh에 달할 것으로 관측된다. 이를 충족하려면 인광석 951만6000t이 필요하다. 전체 생산량 중 9.5%가 배터리로 채워지는 셈이다. 지난해 중국 인광석 생산량 중 배터리용으로 쓰인 인광석 비중은 고작 1.3%에 불과했다. 수요는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지만 공급은
[더구루=오소영 기자] 러시아 연구진이 나트륨이온 배터리의 단점인 에너지밀도를 해결할 양극재를 개발했다. 경제성과 주행거리를 모두 잡은 나트륨이온 배터리가 상용화될지 주목된다. 러시아 스콜코보 과학기술연구소(스콜텍·Skoltech)는 로모노소프 모스크바 주립대와 공동 개발한 리튬이온 배터리용 양극재에 관한 연구 논문이 세계적 학술지인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Nature Communications)에 실렸다고 2일(현지시간) 밝혔다. 연구팀은 나트륨-바나듐 포스페이트 플루오라이드(NaVPO4F) 분말을 개발했다. 이 분말은 기존 나트륨이온 배터리 대비 에너지밀도를 10~15% 향상시키는 결정 구조를 지녔다. 스타니슬라브 페도토브(Stanislav Fedotov) 스콜텍 조교수는 "더 높은 용량은 NaVPO4F의 장점 중 하나일 뿐이다"라며 "낮은 온도에도 작동할 수 있으며 이는 (날씨가 추운) 러시아와 관련이 있다"라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를 계기로 소재 연구가 활발해지고 나트륨이온 배터리의 보급을 앞당길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버스와 트럭 등 대형차와 고정식 에너지저장장치에서 기존 리튬이온 배터리를 대체하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분석이다. 원자
[더구루=오소영 기자] 중국 CATL이 오는 4분기부터 미국 테슬라의 전기 스포츠유틸리티차(SUV) '모델Y'에 탑재할 M3P 배터리 공급을 시작한다. 주행거리를 획기적으로 개선한 모델Y의 출시를 돕고 M3P 배터리 판매에 본격적으로 나선다. [유료기사코드] 4일 업계에 따르면 CATL은 오는 4분기부터 테슬라에 M3P 배터리를 공급한다. 테스트를 거쳐 내년 초 출시 예정인 모델Y에 쓴다. M3P 배터리는 1회 충전 시 최대 700㎞의 주행거리를 제공한다. CATL의 신소재 기술을 적용해 리튬인산철(LFP)보다 에너지밀도가 향상되고 삼원계(NCM·NCA)보다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다. 우카이 CATL 수석과학자는 지난달 말 배터리 컨퍼런스에서 "M3P 배터리가 중저가 모델에 폭넓게 사용될 수 있다"라며 "이미 대량 생산을 시작했다"라고 밝혔었다. CATL은 M3P 배터리 생산에 필요한 리튬망간철인산염(LMFP) 양극재를 중국 선전다이아노닉(Shenzhen Dynanonic Co, 이하 다이아노닉)에서 조달하고 있다. 다이아노닉은 올해 하반기 LMFP 양극재 11만t 생산을 준비하고 있다. CATL은 테슬라를 시작으로 M3P 배터리의 고객사를 확대해 차기 배터리
[더구루=오소영 기자] 중국 CATL이 1년 넘게 영업비밀 침해 공방을 벌인 SVOLT와 합의했다. [유료기사코드] 20일 업계에 따르면 CATL은 SVOLT와 합의를 이뤄내 지난 18일(현지시간) 푸젠성 닝더시 중급인민법원으로부터 조정서를 받았다. 합의안은 양사가 조정서를 수령한 시점부터 법적 효력을 갖는다. CATL은 SVOLT로부터 500만 위안(약 9억원)을 받기로 했다. 닝더 법원에서 진행하던 영업비밀 침해 소송도 취하한다. 양사의 배터리 분쟁은 지난 2019~2020년 CATL 직원들이 SVOLT 관계사로 이직하며 시작됐다. 5명이 바오딩 이신 컨설팅(Baoding Yixin Consulting Service Co., Ltd), 4명이 우시 티안홍 엔터프라이즈 매니지먼트 컨설팅(Wuxi Tianhong Enterprise Management Consulting Co., Ltd.)에 합류했다. CATL은 9명이 비밀 유지와 경쟁사 이직 금지 계약을 위반했다며 닝더시 자오청구 노동쟁의중재위원회에 중재 신청을 냈다. 1심에서 100만 위안(약 1억9430만원) 배상 명령을 받아냈으며 항소심에서도 이겼다. 이어 작년 2월 SVOLT와 SVOLT 관계사 두
[더구루=오소영 기자] 중국 CATL이 하반기 에너지밀도를 보완한 리튬망간철인산염(LMFP) 배터리를 생산한다. BYD와 궈시안하이테크, EVE에너지도 개발에 뛰어들며 LMFP 배터리가 리튬인산철(LFP)을 이을 차기 배터리로 부상하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18일 업계에 따르면 CATL은 LMFP 배터리 시제품을 완성차 업체에 제공해 테스트를 추진하고 있다. 하반기 양산할 예정이다. CATL은 LMFP 배터리 연구에 공을 들여왔다. 작년 말 장쑤리타이테크(江苏力泰锂能科技, 이하 리타이테크)에 4억1300만 위안(약 800억원)을 쏟아 최대 주주에 올랐다. 리타이테크는 연간 3000t의 생산능력을 갖춘 LMFP 양극재 공장을 지을 것으로 알려졌다. LMFP는 리튬인산철(LFP) 배터리의 업그레이드 버전이다. 망간을 추가해 LFP의 강점인 저비용과 높은 안전성을 유지하면서 에너지밀도를 15% 향상시킬 수 있어 CATL뿐 아니라 여러 중국 업체들이 관심을 보이고 있다. BYD는 2013년부터 연구에 착수했다. 삼원계(NCM)와 LFP 배터리가 주류가 되면서 2016년 연구를 종료했다, 올해 초부터 배터리 자회사 BYD푸디의 주도로 다시 시작했다. EVE에너지도 L
[더구루=오소영 기자] 중국 동부 지역을 중심으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가 재확산 조짐을 보이고 있다. 닝더시에서도 확진자가 나와 지역 주민들을 대상으로 대규모 검사가 이뤄지며 현지에 본사를 둔 세계 최대 배터리 회사 CATL의 타격이 우려된다. [유료기사코드] 5일 업계에 따르면 푸젠성 당국은 지난 3일(현지시간) 닝더시 샤푸헌에서 대규모 코로나19 검사를 실시했다. 당일 닝더에서 발생한 코로나19 확진자는 10명이다. 중국은 동부 지역을 중심으로 코로나19 확산 기미를 보이면서 방역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 지난 2주간 50명 미만을 유지하던 확진자는 점차 증가해 3일 300명을 돌파했다. 중국 국가위생건강위원회는 3일 확진자가 380명에 달했다고 발표했다. 대부분이 안후이성을 비롯한 동부 지역에서 나왔다. 미국 등 주요국 확진자가 일일 10만명 안팎인 점을 감안하면 규모는 크지 않지만 중국 정부는 '제로 코로나' 정책에 따라 고강도 방역 대책을 내놓고 있다. 안후이성 동북부 쑤저우시 링비현은 1일 오후부터 봉쇄됐다. 100만 명이 넘는 주민의 발이 묶였다. 안후이성 허페이시는 3일마다 테스트를 받도록 했다. 동부 지역의 확산 여파는 동남부
[더구루=오소영 기자] 중국 창안자동차와 CATL 등이 투자한 아바타가 화웨이와 손잡고 2025년까지 전기차 4종을 선보인다. 양사가 공동으로 만든 전기 스포츠유틸리티차(SUV) '아바타 11'도 오는 8월 출시한다. [유료기사코드] 30일 업계에 따르면 아바타는 지난 25일(현지시간) 화웨이와 프리미엄 전기 스마트카 개발을 위한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양사는 2025년까지 CHN 플랫폼에 기반한 전기 스마트카 4종을 출시한다. CHN의 C는 창안자동차, H는 화웨이, N은 닝더로 CATL의 본사를 뜻한다. 세 회사의 모든 장점을 결합해 성능과 안전성, 주행거리를 모두 충족시키는 완벽한 스마트카를 만들었다는 의미를 살리고자 플랫폼 이름을 'CHN'으로 지었다. CHN 플랫폼은 세단과 SUV, 다목적차량(MPV), 크로스오버 등 다양한 차종을 지원한다. 2륜 또는 4륜 구동의 차량을 제작할 수 있다. CHN 플랫폼 기반의 차량에는 스마트 드라이빙과 스마트 콕핏 등 화웨이의 스마트카 솔루션이 탑재된다. CATL의 '셀투팩'(Cell to Pack) 기술을 적용한 배터리도 장착한다. CTP는 배터리 제조 과정에서 모듈을 생략해 비용을 절감하고 에너지밀도를 높
[더구루=오소영 기자] CATL이 일본 TDK의 자회사 중국 암페렉스테크놀로지(ATL)와 중형 배터리 합작사 2곳을 설립했다. 전기차를 넘어 가정용 축전지·전기 이륜차 등 다른 수요처를 발굴하고 배터리 사업 포트폴리오를 확장한다. TDK는 지난 20일(현지시간) "자회사 ATL과 CATL이 배터리 합작사 2곳을 세웠다"라고 밝혔다. 샤먼 앰코어 테크놀로지와 샤먼 앰팩 테크놀로지로 둘 다 가정용 축전지와 전기 이륜차 등에 쓰이는 중형 배터리 개발·제조·판매를 추진한다. 전자는 배터리 셀, 후자는 배터리 팩을 전문적으로 한다는 차이가 있다. 지분 구조와 자본금도 다르다. 13일에 설립된 샤먼 앰코어 테크놀로지는 ATL이 30%, CATL이 70%를 갖는다. 14일에 출범한 샤먼 앰팩 테크놀로지는 반대다. 자본금은 각각 50억 위안(약 9640억원), 10억 위안(약 1920억원)이다. TDK는 지난 8일 두 합작사의 지주회사인 샤먼 앰팩 테크놀로지도 만들었다. 총자본금은 22억100만 위안(약 4240억원)으로 ATL이 지분 100%를 보유한다. ATL가 CATL은 지난 4월 합작사 설립 계획을 처음 공식적으로 발표했다. 두 달 만에 합작사를 출범시키며 본격적으
[더구루=오소영 기자] 볼리비아 정부가 리튬 개발 사업 참여 업체의 선정 시점을 당초 계획보다 6개월 이상 미뤘다. 후보군 압축에 오랜 시간이 소요된 탓이다. [유료기사코드] 알바로 아르네즈(Alvaro Arnez) 볼리비아 에너지첨단기술 차관은 지난 17일(현지시간) 볼리비아 국영 방송사 '볼리비아 TV'에서 리튬 사업과 관련 "10월 말까지 제안서를 준비하고 12월 말까지 최종 거래를 하겠다"라고 밝혔다. 볼리비아는 볼리비아 국영 리튬 기업 YLB(Yacimientos de Litio Bolivianos)와 우유니 염호에서 리튬 개발 사업을 추진할 파트너사를 모집해왔다. 당초 지난달 확정할 계획이었지만 현지 에너지부는 이달에야 후보를 8곳에서 6곳으로 압축했다. 작년 4월부터 시작된 리튬 직접추출(Direct Lithium Extraction) 기술에 대한 테스트가 늦어졌기 때문이다. 평가가 지연되며 최종 사업자 선정도 6개월 이상 지연됐다. 현재 남은 후보는 미국 라일락 솔루션스, 러시아 우라늄원, 중국 CATL·퓨전 에너테크·TBEA·중신국안그룹이다. 이중 2곳 이상이 사업에 참여할 가능성도 제기된다. <본보 2022년 6월 10일 참고 '리튬
[더구루=오소영 기자] 중국 CATL이 내년 2분기 출시를 목표로 기린 배터리 개발에 속도를 낸다. 안전성과 수명, 에너지밀도를 모두 잡고 급속 충전 기능을 갖춰 주목받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카이 우 CATL 부사장은 16일(현지시간) 중국 쓰촨성 이빈에서 열린 '2022년 세계 EV·ES 배터리 컨퍼런스'에서 "기린 배터리가 곧 출시될 예정"이라며 세부 스펙을 공유했다. 기린 배터리는 올해 3월 '중국 전기차 100인 포럼‘에서 처음 소개됐다. 같은 규격일 때 테슬라의 '4680' 배터리보다 저장용량이 13% 큰 것으로 알려졌으며 3세대 셀투팩(Cell to Pack) 기술이 적용됐다. 셀투팩은 모듈을 생략하고 셀을 바로 팩에 조립해 비용을 절감하고 에너지밀도를 높이는 기술이다. CATL은 2019년부터 셀투팩을 채용해왔다. <본보 2022년 3월 29일 참고 CATL, '테슬라 픽' 4680 배터리보다 13% 강력한 신제품 공개> 카이 우 부사장은 이번 행사에서 추가적인 특징을 공유했다. 하단에 냉각 장치를 다는 기존 배터리와 달리 두 개의 레이어 사이에 수냉식 플레이트를 넣어 인접 셀로 열이 전달되지 않도록 했다. 수명이 향상됐으며 15분
[더구루=오소영 기자] 볼리비아가 리튬 개발 사업을 맡을 후보 기업을 8곳에서 6곳으로 좁혔다. 러시아와 아르헨티나 기업이 탈락했다. [유료기사코드] 10일 업계에 따르면 볼리비아 에너지부는 볼리비아 리튬공사(YLB)와 우유니 염호 개발 사업을 추진할 파트너사 후보를 6곳으로 확정했다. 미국 에너지 익스플로래이션 테크놀로지스(이하 에너지엑스)와 아르헨티나 텍페트롤(Tecpetrol)이 빠졌다. 독일 BWW와 빌게이츠가 후원하는 미국 라일락 솔루션스, 러시아 우라늄원, 중국 CATL·퓨전 에너테크·TBEA·중신국안그룹이 남았다. 에너지부는 탈락 이유를 밝히지 않았다. 오는 15일 최종 결과를 발표하고 리튬 개발에 시동을 건다. 볼리비아는 칠레, 아르헨티나와 함께 '리튬 트라이앵글'으로 불린다. 미국지질조사국(USGC)에 따르면 볼리비아에는 전 세계 리튬 매장량의 약 24%에 해당하는 2100만t이 매장돼 있다. 대부분 우유니 염호 아래에 매장돼 있는데 매장지가 해발 3000m가 넘고 염분 문제가 있어 리튬 채굴에 상당한 기술력이 필요하다. 업계에서는 2030년까지 리튬 생산은 이뤄지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도 제기된다. 볼리비아는 해외 기업과 협력해 기술력을 보완
[더구루=오소영 기자] 독일 메르세데스-벤츠(이하 벤츠)가 차세대 G-클래스에 CATL의 배터리를 탑재한다. 미국 실라 나노테크놀로지(Sila Nanotechnologies, 이하 실라)의 실리콘 음극재를 쓴 배터리를 처음 활용하고 주행거리를 대폭 개선한다. [유료기사코드] 21일 업게에 따르면 벤츠는 2020년대 중반 출시하는 G-클래스에 CATL의 배터리를 장착한다. CATL이 공급할 배터리에는 실라의 실리콘 음극재가 적용됐다. 기존 배터리보다 에너지밀도가 20~40% 높아 800Wh/L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실라는 테슬라의 '7번째 직원'으로 알려진 진 베르디체브스키가 2011년에 창업한 기업이다. 실리콘 음극재를 개발해 삼성과 CATL, BMW 등으로부터 투자를 유치했다. 2019년 벤츠에서도 투자를 받았다. 실라는 워싱턴에 공장을 지어 실리콘 음극재를 생산한다. 연간 10GWh의 배터리 셀에 들어갈 정도의 실리콘 음극재를 만들 공장을 건설하고 2024년 하반기부터 생산을 시작, 이듬해 완전 가동에 돌입한다. 실라는 향후 150GWh의 배터리 셀 수요를 충족할 수 있는 규모로 음극재 생산능력을 늘릴 충분한 부지를 확보했다. CATL은 실라와 협력
[더구루=길소연 기자] 덴마크 전력회사이자 세계적인 해상풍력 기업인 오스테드가 베트남 풍력시장에 진출을 위해 현지 에너지업체와 손을 잡는다. [유료기사코드] 14일 업계에 따르면 오스테드는 지난 5일(현지시간) 페트로베트남기술서비스공사(PTSC M&C)와 베트남에서 해상 풍력 프로젝트 협력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MOU 협약식은 PTSC M&C의 제조 시설에서 열렸으며 베트남 동남부 바리어 붕따우성 지방당국과 베트남 주재 덴마크 대사관, 기타 파트너 등이 참석했다. 양사 파트너십은 30년 동안 해상 풍력 발전 단지를 개발, 건설, 운영한 경험과 PTSC M&C의 아시아 태평양 지역 에너지 인프라에 대한 실적과 전문성을 결합했다. 베트남에 깨끗하고 신뢰할 수 있는 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해 오스테드와 베트남 T&T가 제안한 해상풍력 프로젝트의 멀티기가와트 파이프라인에 대한 최첨단 해상 변전소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PTSC는 석유·가스 개발 프로젝트에 기계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문 베트남 석유가스그룹(PetroVietnam-PVN)의 핵심 자회사이다. 동쉬안탕(Dong Xuan Thang) PTSC M&C 상
[더구루=길소연 기자] 브라질 항공기 제조업체 엠브라에르(Embraer) 자회사 이브 홀딩(Eve Holding, 이하 이브)이 브라질에서 전기 수직 이착륙 항공기(eVTOL) 유형 인증에 나선다. [유료기사코드] 14일 업계에 따르면 이브 홀딩은 브라질 항공당국과 eVTOL 유형 인증 작업을 시작했다. 2026년 상용화를 목표로 한다. 인증 절차는 비공개다. 이브는 지난 2분기 1180만 달러(154억원)의 순손실을 기록했다. 주로 연구 개발(R&D0과 판매, 일반 관리(SG&A) 비용 증가해서다. 이브는 2분기 실적 발표에서 주주들에게 "연간 약 1억 달러의 현금 소진에 대한 우려를 완화하려고 노력하고 있다"며 "엠브라에르와의 파트너십을 통해 eVTOL 개발 능력과 비용에서 엄청난 경쟁 우위를 확보했다"고 말했다. 또 UAM(도시항공교통) 생태계를 개발하기 위해 엠브라에르와 파트너십을 강화한다. 엠브라에르의 지적 재산에 로열티 없이 접근할 수 있고, 엠브라에르 엔지니어에게 유연하고 최우선적으로 접근할 수 있다. 앙드레 스테인(Andre Stein) 이브 공동 최고경영자(CEO)은 "브라질 당국은 미국 연방항공청(FAA)과 오랜 협력과 양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