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정예린 기자] 캐나다 '리튬사우스'가 아르헨티나에서 진행중인 리튬 개발 프로젝트에 청신호가 켜졌다. 시추 작업에 착수한지 두 달여 만에 대규모 리튬이 매장돼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는 성과를 냈다. 14일 업계에 따르면 리튬사우스는 지난 10일(현지시간) 아르헨티나 살타주 소재 광산 개발 계획인 '옴브레 무에르토 노르테 리튬 프로젝트(Hombre Muerto North Lithium Project, 이하 HMN 프로젝트)'의 첫 번째 홀 'AS101'에서 채취한 5개의 샘플에서 고급 리튬이 발견됐다. AS-01은 HMN 프로젝트를 구성하는 9개 블록 중 가장 큰 5687헥타르 크기의 알바 사브리나(Alba Sabrina)에 포함된 홀이다. AS-01 규모는 2089헥타르다. 탐사팀은 지하 암석까지 드릴링할 목적으로 AS-01을 262m 깊이까지 구멍을 냈다. 확인된 리튬 값 범위는 732mg/l에서 772mg/l 사이다. 리튬사우스는 HMN 프로젝트를 100% 소유하고 있다. 지난 2019년 4월 예비 경제 연구를 완료하고 평가 단계에 돌입했다. 현재 각종 허가, 환경 연구, 공정 테스트 작업 등을 진행중이다. HMN 프로젝트가 개발중인 광산에는 평균
[더구루=홍성환 기자] 미래에셋자산운용 캐나다 계열사 호라이즌ETFs가 전 세계 주식 시장의 변동성이 확대함에 따라 경기방어주인 사회기반(유틸리티) 섹터에 투자하는 고배당 상품을 내놨다. 호라이즌은 캐나다 토론토증권거래소(TSX)에 '호라이즌 캐나디언 유틸리티 서비스 고배당 인덱스 상장지수펀드(Horizons Canadian Utility Services High Dividend Index ETF·UTIL)'를 상장했다고 12일 밝혔다. 이 상품은 사회기반 산업과 파이프라인, 통신 등 세 가지 주요 사회기반 부문에 투자하는 상품이다. 시장 변동성이 커진 상황에서 안정적인 배당금이 기대된다. 스티브 호킨스 호라이즌 최고경영자(CEO)는 "물가상승으로 투자자들이 배당금과 수익률 중심 전략으로 투자 포트폴리오를 조정하고 있다"며 "유틸리티 서비스는 일상 생활에 꼭 필요한 산업이기 때문에 대표적인 경기방어주로 꼽힌다"고 설명했다. 호라이즌은 미래에셋자산운용이 지난 2011년 인수한 ETF 운용사다. 올해 3분 기준 운용자산 규모는 약 180억 달러(약 23조5200억원)에 이른다.
[더구루=홍성환 기자] 캐나다 양자 컴퓨터 기업 디웨이브 시스템즈(D-Wave Systems)가 기업인수목적회사(SPAC·스팩) 합병을 통해 미국 증시에 입성했다. 6세대 양자 컴퓨터 개발에 속도를 낼 전망이다. 디웨이브는 8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 상장된 스팩인 DPCM캐피탈과 합병을 완료하고 거래를 시작했다. 상장 첫날 15.47% 오른 10달러에 거래를 마감하며 화려하게 데뷔했다. 디웨이브는 이번 기업공개(IPO)를 통해 2억9100만 달러(약 3800억원)를 조달했다. 애초 목표로 했던 3억4000만 달러(약 4400억원)에는 미치지 못했다. 캐나다 연기금 PSP인베스트먼츠를 비롯해 일본 NEC, 골드만삭스 등이 투자했다. 캐나다 밴쿠버에 본사를 둔 디웨이브는 1999년 설립한 양자 컴퓨터 기업이다. 지난 2011년 세계 최초로 상업용 양자 컴퓨터인 '디웨이브원'을 출시하며 주목받았다. 현재까지 5세대 양자 컴퓨터를 출시했으며, 지난 6월에는 6세대 시제품을 공개했다. 6세대 양자 컴퓨터는 500개 이상의 큐비트가 있으며, 20개 방향의 큐비트 간 연결을 통해 새로운 제퍼 배치(Zephyr topology)로 구성돼 있다. 양자컴퓨터는
[더구루=김형수 기자] 취임 100일을 맞는 캐나다 대마초 업체 헥소(HEXO Corp.)의 수장이 고강도 사업 재정비에 칼을 빼들었다. 나스닥 퇴출 위기에서 벗어나려는 움직임으로 해석된다. [유료기사코드] 8일 캐나다 경제매체 BNN블룸버그에 따르면 찰리 보우맨(Charlie Bowman) CEO는 헥소의 비용 구조의 재설정을 추진하며 수익을 내기 위해 여러 시도를 하고 있다. 매분기 수백만 달러 규모의 손실을 이어나가며 나스닥 상장 위험에 처한 회사의 활로를 모색하고 나선 것이다. 헥소에게 주어진 시간은 내년 1월23일이다. 지난달 말 나스닥이 최소 입찰가 규정 준수를 위한 유예기간을 180일 연장해주면서 기회가 생겼다. 내년 1월23일 이전에 헥사 보통주 입찰 가격이 적어도 연속되는 10영업일 동안 한 주당 1달러(약 1300원) 이상으로 마감되는 경우 관련 조건을 충족시킨 것으로 간주된다. 지난해 8월9일 3.84달러(약 5000원)였던 주가는 이후 지속적인 하락세다. 지난 5일 헥소 주가는 0.21달러(약 270원)로 94.53% 급락했다. 반년 만에 주가를 5배가량 올려놓지 않으면 헥소 주식은 나스닥 퇴출 대상 명단에 이름을 올리게 된다. 나스닥
[더구루=길소연 기자] 캐나다 스타트업 호라이즌 에어크래프트(Horizon Aircraft)가 전기 수직 이착륙항공기(eVTOL) 시제품을 공개했다. [유료기사코드] 6일 업계에 따르면 호라이즌 에어크래프트는 eVTOL 테스트를 완료하기 위해 첫 번째 에어택시 '카보라이트(Cavorite) X5' 시제품을 생산했다. 호라이즌 에어크래프트는 수직 이착륙 구성의 첫 비행에 이어 수평 비행과 고속 비행으로의 전환을 테스트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미래의 실물 크기 시제품을 안전하게 만들고 세부 설계를 테스트에서 배운 내용에 적용한다. 호라이즌 에어크래프트의 '카보라이트 X5'는 승객 4명과 조종사 1명이 탑승해 500㎞ 거리에서 시속 450㎞로 비행할 수 있는 eVTOL이다. 16개의 전기 모터를 가지고 있으며, 양력을 제공하는 다른 로터를 이동시키는 반면 추진은 비행 중인 전기 모터들의 배터리도 재충전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모터에 맡겨졌다. 하이브리드 엔진의 연료는 가스지만, 호라이즌은 기술이 충분히 성숙되면 전기 모터로 교체할 예정이다. 수직으로 활주로에서 일반적인 방식으로 이착륙할 수 있다. 최대 이륙 중량은 1633kg이며 수직 이륙을 위한 탑재량은 363k
[더구루=김형수 기자] 한국투자공사(KCI)가 투자한 캐나다 캐노피 그로스(Canopy Growth)가 법무 분야에서 경력을 쌓은 인물을 영입했다. 규제, 기업 지배 구조, 전략적 인수 등의 분야 리더십을 강화하며 북미 지역 사업 확대에 속도를 내려는 것으로 해석된다. [유료기사코드] 4일 캐노피 그로스는 크리스텔 게데온(Christelle Gedeon)을 최고법률책임자로 발탁했다고 밝혔다. 크리스텔 게데온은 법무 분야에서 오랜 경력을 쌓은 인물이다. 최근에는 TMC(The Metals Company)에서 최고법률책임자 겸 기업 비서를 지냈다. 그 이전에는 대마초회사 아프리아(Aphria)에서 최고법률책임자 겸 기업 비서를 맡아 틸레이(Tilray)로 역인수되는 과정을 감독했다. 캐노피 그로스는 크리스텔 게데온이 법무 및 전략 분야에서 10년 이상의 경험을 지닌 뛰어난 상업 변호사라고 소개했다. 지난 2019년 캐나다 법무자문위원 내일의 리더상을 수상한 데 이어 캐나다 법무 분야 올해의 리더로 선정되는 등 업계에서도 능력을 인정받고 있다. 또 캐나다 대형 로펌 가운데 하나로 꼽히는 파스켄(Fasken)에서 파트너로 일하는 동안에는 50건 이상의 인수, 합병,
[더구루=정예린 기자] 호주 최대 광산기업 '리오틴토'가 캐나다 '나노원 머티리얼즈(Nano One Materials·이하 나노원)'에 투자한 데 이어 인수를 추진하고 있다는 설(說)이 제기됐다. 양사 계약서 일부 조항에 리오틴토가 나노원을 손에 넣으려는 의도가 반영됐다는 해석이 나오면서다. [유료기사코드] 26일 미국 투자 전문매체 '시킹알파(Seeking Alpha)'는 지난 19일(현지시간) 낸 '리오틴토가 나노원을 구입할 수 있다는 징후'라는 보고서를 통해 이같은 의견을 제시했다. 시킹알파는 양사가 지난달 체결한 투자 거래 계약서에서 ‘정지’라는 조항에 주목했다. 해당 조항은 일정 기간 동안 리오틴토가 나노원 지분을 늘리거나 이사회 동의 없이 합병을 시도하는 등의 행위를 금지하고 있다. 리오틴토가 투자 당시부터 인수 의사를 피력했지만 나노원의 거절로 무산됐고, 나노원이 이에 대응하기 위해 향후 리오틴토 행보에 제동을 걸 수 있도록 몇 가지 장치를 둔 것이라는 게 매체의 분석이다. 이를 통해 리오틴토가 가진 나노원 지분율 4.9%를 유지하게 만든다는 것이다. 계약서에는 "리오틴토와의 투자 계약 조항에는 종료일로부터 5년 동안 비례 소유권을 유지하기 위해
[더구루=홍성환 기자] DL이앤씨가 글로벌 소형모듈원자로(SMR) 시장에 진출한다. 윤석열 정부의 ‘친(親)원전’ 정책과 유럽연합(EU)의 그린 택소노미(Taxonomy·녹색산업 분류체계) 결정이 나오면서 차세대 먹거리로 불리는 SMR 시장 선점을 위해 행보로 분석된다. 20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DL이앤씨는 캐나다 원전기업 테레스트리얼에너지(Terrestrial Energy)와 통합용융염원자로(IMSR) 열병합 발전소 개발과 구축에 협력하는 업무협약(MOU)을 맺었다. 용융염원자로는 SMR 가운데 하나로, '4세대 원자로'로 불리는 혁신 기술이다. 핵연료가 냉각재에 녹아있는 형태로 액체연료 원자로라고도 불린다. 냉각재와 핵연료를 하나의 액체로 혼합해 가동하기 때문에 냉각재가 없어지는 상황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이에 안전성과 경제성이 높은 것으로 평가받는다. 테레스트리얼은 2012년 설립된 원전 기업으로 향후 10년 내 IMSR 상업화를 목표로 하고 있다. 이 회사가 독자 개발한 IMSR400은 잠재 출력이 390㎿e 수준인 것으로 알려졌다. <본보 2022년 6월 14일자 참고 : 미·캐나다 용융염원자로 도입 추진…테레스트리얼에너지 호재>
[더구루=정예린 기자] 캐나다 '라이-사이클(Li-Cycle)'이 폐배터리 재활용 과정에서 리튬을 추출할 수 있다는 점을 자사의 최대 강점으로 꼽았다. 생산능력을 지속 확장해 급증하고 있는 글로벌 수요에 적기 대응한다는 계획이다. [유료기사코드] 19일 업계에 따르면 아제이 코차르 라이-사이클 최고경영자(CEO)는 최근 현지 매체 '오토모티브뉴스 캐나다'와의 인터뷰에서 "다른 배터리 재활용 업체들도 리튬 회수 작업에 착수했지만 불순물 제어 등으로 인해 실패했다"며 "우리는 리튬에서 핵심적이고 중요한 요소를 얻을 수 있다"고 밝혔다. 코차르 CEO는 "오는 2030년 배터리 재활용이 필요한 리튬이온배터리는 300만t에 달할 것"이라며 "현재 우리는 2만t의 생산능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내년에는 이를 더 확장하기 위한 엄청난 단계가 있다"고 덧붙였다. 특히 폐배터리 후처리 시장의 최고 플레이어가 되고 싶다는 포부를 내비쳤다. 배터리 재활용은 크게 전처리와 후처리 공정으로 나눠진다. 전처리는 회수한 배터리를 파·분쇄한 뒤 검은색 분말 형태의 블랙 매스(Black Mass)로 만드는 공정이다. 후처리 공정은 건·습식 제련으로 원재료를 추출한다. 코차르 CEO는 "'허
[더구루=김형수 기자] 캐나다 대마초 시장을 이끄는 쌍두마차로 꼽히는 틸레이 브랜즈(Tilray Brands·이하 틸레이)와 헥소(HEXO Corp)가 힙을 합쳐 경쟁력 강화에 나선다. 북미를 넘어 글로벌 시장을 겨냥하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14일 업계에 따르면 틸레이는 헥소가 HT 인베스트먼트 MA LLC를 대상으로 발행한 선순위 담보 전환채권(Senior Secured Convertible Notes)을 인수 거래를 마무리지었다. 이번 거래 대금은 1억5500만 달러(약 2031억원)에 이른다. 해당 선순위 담보 전환채권은 1억7370만 달러(약 2276억원)의 현재 원금 잔액이 남아있으나 체결금액원금(Outstanding Principal Balance)에 대한 10.8% 할인이 반영됐다. 틸레이는 헥소 주식 1주당 전환 가격이 0.4 캐나다 달러(약 400원)라고 전했다. 틸레이는 헥소 보통주식 약 48%를 손에 넣을 수 있는 권리를 지니고 있다. 틸레이와 헥소는 상업 계약도 체결했다. 해당 계약은 △상대방을 위해 제3자 업체로서 생산 및 가공 완료 △헥소는 캐나다와 미국을 제외한 국제시장에서 틸레이에서 대마초 제품 소싱 △특정 시설 최적화 활동,
[더구루=정예린 기자] 캐나다 최초 희토류 기업의 대규모 양산이 임박했다. 압도적인 공급량을 바탕으로 패권을 휘두르고 있는 중국의 독주를 막을 수 있을지 주목된다. 13일 업계에 따르면 바이탈 메탈스(Vital Metals, 이하 바이탈)는 서스캐처원주 새스커툰 소재 희토류 추출 시설 시운전의 일환으로 DMS(Dense Media Separation) 공정 공장에 광석을 조달하기 시작했다고 지난 8일(현지시간) 발표했다. 추가 검증을 실시한 뒤 이르면 오는 10월 2.5t 규모 희토류 탄산염 샘플을 생산, 장기구매계약(오프테이크)을 맺은 노르웨이 'REEtec'에 납품한다. 바이탈의 새스커툰 공장은 희토류 산화물 연간 1000t을 처리할 수 있다. 추후 증설을 통해 처리 능력과 함께 탄산염 등의 생산량도 대폭 늘린다는 목표다. 향후 몇 달간은 하소, 침출, 정제, 침전 장비를 점진적으로 시운전해 공장 생산 효율성을 끌어올리는 데 집중한다. 제프 앳킨스 바이탈 전무 이사는 "우리는 12개월 이상의 노력 끝에 희토류 탄산염 생산을 시작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으며, 2.5t의 탄산염을 생산해 오는 10월 REEtec에 납품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며 "전 세
[더구루=정예린 기자] 독일 메르세데스-벤츠의 배터리 자회사 '메르세데스-벤츠 에너지'가 전기차 폐배터리 재활용 사업을 본격화한다. 캐나다 스타트업에 에너지저장장치(ESS)용으로 탈바꿈한 배터리를 공급한다. [유료기사코드] 11일 업계에 따르면 메르세데스-벤츠 에너지는 최근 '모멘트 에너지(Moment Energy)'와 배터리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 모멘트 에너지는 메르세데스-벤츠 에너지로부터 배터리 모듈을 받아 자사 60kWh 규모 ESS에 탑재한다. 연내 캐나다 오프 그리드 다이빙 리조트인 '갓즈포켓리조트(God’s Pocket Resort)'에 2개를 배치한다. 이 제품은 480V 혹은 280V에서 작동하며 40~320kVA의 출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알려진다. 양사는 꾸준히 협력을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지난 2019년 설립된 모멘트 에너지는 수명이 다한 전기차 배터리를 상업 건물에 사용 하는한 ESS 배터리 모듈로 변환한다. 설립 1년 만에 닛산과도 메르세데스-벤츠 에너지와 유사한 파트너십을 구축했다. 자금력도 풍족하다. 시드 라운드에서 350만 달러(약 46억원)를 모금하고 연이어 시리즈A 펀딩 라운드에서 1500~2000만 달러(약 195~261억원
[더구루=길소연 기자] 덴마크 전력회사이자 세계적인 해상풍력 기업인 오스테드가 베트남 풍력시장에 진출을 위해 현지 에너지업체와 손을 잡는다. [유료기사코드] 14일 업계에 따르면 오스테드는 지난 5일(현지시간) 페트로베트남기술서비스공사(PTSC M&C)와 베트남에서 해상 풍력 프로젝트 협력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MOU 협약식은 PTSC M&C의 제조 시설에서 열렸으며 베트남 동남부 바리어 붕따우성 지방당국과 베트남 주재 덴마크 대사관, 기타 파트너 등이 참석했다. 양사 파트너십은 30년 동안 해상 풍력 발전 단지를 개발, 건설, 운영한 경험과 PTSC M&C의 아시아 태평양 지역 에너지 인프라에 대한 실적과 전문성을 결합했다. 베트남에 깨끗하고 신뢰할 수 있는 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해 오스테드와 베트남 T&T가 제안한 해상풍력 프로젝트의 멀티기가와트 파이프라인에 대한 최첨단 해상 변전소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PTSC는 석유·가스 개발 프로젝트에 기계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문 베트남 석유가스그룹(PetroVietnam-PVN)의 핵심 자회사이다. 동쉬안탕(Dong Xuan Thang) PTSC M&C 상
[더구루=길소연 기자] 브라질 항공기 제조업체 엠브라에르(Embraer) 자회사 이브 홀딩(Eve Holding, 이하 이브)이 브라질에서 전기 수직 이착륙 항공기(eVTOL) 유형 인증에 나선다. [유료기사코드] 14일 업계에 따르면 이브 홀딩은 브라질 항공당국과 eVTOL 유형 인증 작업을 시작했다. 2026년 상용화를 목표로 한다. 인증 절차는 비공개다. 이브는 지난 2분기 1180만 달러(154억원)의 순손실을 기록했다. 주로 연구 개발(R&D0과 판매, 일반 관리(SG&A) 비용 증가해서다. 이브는 2분기 실적 발표에서 주주들에게 "연간 약 1억 달러의 현금 소진에 대한 우려를 완화하려고 노력하고 있다"며 "엠브라에르와의 파트너십을 통해 eVTOL 개발 능력과 비용에서 엄청난 경쟁 우위를 확보했다"고 말했다. 또 UAM(도시항공교통) 생태계를 개발하기 위해 엠브라에르와 파트너십을 강화한다. 엠브라에르의 지적 재산에 로열티 없이 접근할 수 있고, 엠브라에르 엔지니어에게 유연하고 최우선적으로 접근할 수 있다. 앙드레 스테인(Andre Stein) 이브 공동 최고경영자(CEO)은 "브라질 당국은 미국 연방항공청(FAA)과 오랜 협력과 양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