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길소연 기자] 카타르가 올 하반기 100억 달러(약 13조원)에 달하는 40척의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 발주를 예고하면서 한국과 중국 조선업계가 치열한 수주 경쟁을 벌일 것으로 보인다. 7일 업계에 따르면 카타르에너지공사(QatarEnergy)는 지난달 40여척 규모의 카타르발 LNG 운반선 2차 발주 관련 첫 공식 회의(kick-off meeting)를 시작했다. 국내 대형 조선 3사는 카타르 2차 프로그램을 통해 각각 10척 이상의 물량을 수주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국내 조선소는 지난 1차 물량 총 65척 중 54척을 수주한 바 있다. 11척은 중국 후동중화가 수주했다. 다만 수주 경합을 벌이고 있는 중국이 카타르와 우호적 환경을 구축하면서 치열한 경쟁이 예상된다. 카타르에너지공사는 지난달 20일 중국석유천연가스공사(CNPC)와 LNG 장기 공급 및 개발 프로젝트 지분 취득 관련 최종 합의(definitive agreement)에 도달했다. 중국도 카타르 가스전에 대한 지분을 확대하면서 카타르에 대한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다. 이는 중국 내 안정적인 LNG 공급과 더불어 LNG선 수주를 위한 사전작업으로 해석된다. 카타르 외 MS
[더구루=길소연 기자] 머스크가 독일계 물류회사 세나토 인터내셔널 인수를 마무리하면서 항공화물 운송부문을 확대한다. 선박 운항을 통한 수익 창출에서 포워딩 영역까지 확장한다. [유료기사코드] 11일 업계에 따르면 머스크는 항공물류사 세나토 인터내셔널을 6억4400만 달러(약 8152억원)에 인수 완료했다. 지난해 11월 거래 발표 후 이번에 최종 마무리했다. 머스크는 성명서를 내고 "인수를 통해 보다 광범위한 제품을 제공하고 고객에게 유연하고 통합된 물류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게 됐다"며 "공급망 요구 사항의 변화에 따라 화물의 속도를 높이거나 낮출 수 있게 됐다"고 밝혔다. 이번 거래로 세나토 인터내셔널은 머스크의 기존 네트워크에 광범위한 산업 전문 지식과 제품 지식을 추가한다. 빈센트 클럭(Vincent Clerc) 머스크 해양물류부문 최고경영자(CEO)는 "머스크는 통합 물류의 글로벌 공급업체로서 고객에게 종단 간 솔루션을 제공하는 능력을 향상시키고 있다"며 "세나토와 함께 항공 화물 용량, 네트워크, 노하우를 대폭 강화해 고객에게 더 나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고 말했다. 머스크는 작년부터 물류회사 인수 추진과 화물 항공기 추가 확보 등 항공화
[더구루=길소연 기자] 선복량 기준 세계 2위 덴마크 선사 머스크(Maersk)가 그린 메탄올 생산을 증대, 탈탄소화 전환을 앞당긴다. [유료기사코드] 2일 업계에 따르면 해운사 AP 묄러 머스크(A.P Moller-Maersk)는 오는 2025년까지 연간 73만t의 그린 메탄올을 생산할 계획으로 6개의 주요 회사와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계약에 참여한 회사는 △중국 CIMC엔릭홀딩스 △유럽 에너지(European Energy) △중국 그린 테크놀로지 뱅크(Green Technology Bank) △덴마크 오스테드(Orsted) △스위스 프로만(Proman) △미국 웨이스트퓨얼(WasteFuel) 등이다. 이들과 협력으로 메탄올 생산 능력은 머스크가 최초 발주한 12척의 탄소 중립 컨테이너 선박에 필요한 친환경 메탄올을 훨씬 능가하게 된다. 오스테드는 2025년부터 머스크와 협력해 30만t을 생산할 수 있는 용량을 갖춘 미국의 e-메탄올 프로젝트를 개발한다. 오스테드는 2030년까지 50기가와트의 재생 에너지 용량을 설치할 계획이다. 프로만은 머스크에 연간 10만~15만t의 녹색 메탄올을 공급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웨이스트퓨얼은 현재 남미에서 바
[더구루=홍성일 기자] 마이크로소프트(MS) 창업자 빌 게이츠가 투자한 차세대 풍력 발전 스타트업 '에어룸 에너지(Airloom Energy, 이하 에어룸)'가 상업 운영이 가능한 시험용 발전소 건설에 돌입했다. 에어룸은 시험용 발전소를 토대로 새로운 풍력 발전 방법의 상용화 가능성을 입증한다는 목표다. [유료기사코드] 6일 업계에 따르면 에어룸은 지난달 26일(현지시간) 미국 와이오밍주 록리버 지역에 첫 시험용 발전소와 연구개발(R&D) 시설의 착공식을 개최했다. 이번에 건설되는 시설은 에어룸이 설립 이후 처음으로 건설하는 유틸리티 규모 발전소다. 해당 발전소는 시험을 목적으로 건설되지만 상업 운영이 가능한 크기로, 발전 용량은 150킬로와트(kW)다. 에어룸은 설비 자체는 메가와트급 발전이 가능하도록 구축될 것이라고 전했다. 에어룸의 풍력발전소는 기존 방식과 완전히 다른 형태를 가지고 있다. 기존의 풍력발전소가 거대한 타워와 3개의 거대한 날개를 가진 바람개비가 결합된 형태라면, 에어룸의 풍력발전소는 직사각형 형태의 날개가 트랙 형태의 케이블과 연결된 형태다. 직사각형 날개는 케이블에 매달려 움직이면서 전기를 생산하게 된다. 에어룸은 자사의 풍력발
[더구루=홍성일 기자] 아마존웹서비스(AWS)가 태국 최대 소비재 기업 사하그룹(SAHA GROUP)과 디지털 기술 도입을 위해 손잡았다. 사하그룹은 연례 박람회를 통해 다양한 분야의 기업과 업무협약(MOU)을 체결하며, 사업 확장에 나섰다. [유료기사코드] 6일 업계에 따르면 AWS는 사하그룹과 전략적 파트너십 체결했다. 이번 파트너십은 제29회 사하그룹 박람회에서 진행됐다. 사하그룹은 매년 파트너사를 모아 박람회를 진행하고 있다. 해당 박람회에서는 식품과 음료, 가정용룸, 의류, 신발, 화장품 등 다양한 제품을 저렴한 가격에 구매할 수 있다. 사하그룹은 또한 박람회를 통해 다양한 기업과 파트너십도 체결하고 있다. AWS는 이번 파트너십을 토대로 사하그룹에 인공지능(AI), 머신러닝, 데이터 분석 기술 등을 제공한다. 사하그룹은 AWS에서 제공받은 기술을 운영 시스템 전반에 적용해 효율성을 높일 계획이다. 사하그룹은 이번 박람회에서 AWS 외에도 부동산, IT, 전자상거래, 국제 투자, 에너지, 항공, 소매, 교육 분야 기업과 15건에 달하는 MOU를 체결했다. 사하그룹은 타이오바야시와 MOU를 체결하고 방콕에 초호화 호텔을 개발하기로 했으며, 두짓 타니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