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홍성환 기자] 우리나라에서 '돈나무 언니'라는 별명으로 유명한 캐시 우드가 화이자를 팔고 모더나에 베팅해 눈길을 끈다. 모더나가 개발 중인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오미크론 변이용 백신의 출시가 속도를 내고 있는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10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캐시 우드가 이끄는 미국 상장지수펀드(ETF) 운용사 아크인베스트는 지난 8일(현지시간) 모더나 주식 17만2939주를 매입했다. 이달 종가(148.53달러)를 반영, 약 2600만 달러(약 330억원)에 이르는 규모다. 아크인베스트는 대신 화이자 주식 15만2823주를 팔았다. 이날 종가(53.47달러) 기준 820만 달러(약 100억원)어치다. 모더나는 올해 늦여름 출시를 목표로 코로나19 오미크로 변이 바이러스를 표적으로 한 백신 개발을 진행 중이다. 모더나가 지난 8일 공개한 임상시험 잠정 결과에서 오미크론 변이용 백신과 기존 코로나19 백신을 결합한 '콤보' 백신 부스터샷(추가접종)이 기존 백신보다 더 강력한 면역 반응을 일으킨 것으로 나타났다. 437명을 대상으로 한 이번 시험에서 콤보 백신은 오미크론 변이에 대해 기존 백신과 비교해 1.75배 수준의 중화항체를 생
[더구루=홍성환 기자] 미국 제약사 화이자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생산량을 확대하고자 채권 발행을 통해 1조2000억원의 자금을 조달한다. 화이자는 17일(현지시간) 10억 달러(약 1조1800억원) 규모로 10년 만기 지속가능채권을 발행한다고 밝혔다. 지속가능채권은 사회·지배구조 개선 등 사회적 책임 투자를 목적으로 하는 ESG(환경·사회·지배구조) 채권 가운데 하나다. 주로 사회 지원 프로젝트에 사용된다. 화이자는 조달한 자금을 코로나19 백신 생산과 유통을 촉진하는 데 사용할 계획이다. 이에 화이자의 실적 개선이 더욱 탄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화이자는 올해 들어 코로나19 백신 접종이 본격화하면서 높은 매출을 거뒀다. 실제 상반기에만 코로나 백신 매출 108억 달러(약 12조7000억원)를 기록했다. 올해 335억 달러(약 39조4000억원)의 백신 매출을 올릴 것으로 추산했다. 화이자는 독일 바이오엔테크과 공동으로 전령리보핵산(mRNA) 백신을 개발해 지난해 미국과 유럽 당국으로부터 가장 먼저 긴급 사용 승인을 받았다.
[더구루=오소영 기자] 글로벌 제약사 화이자와 존슨앤드존슨(J&J)이 류머티즘 관절염 치료제 '레미케이드'(성분명 인플릭시맙) 분쟁을 종식하기로 합의했다. 셀트리온이 개발한 레미케이드의 바이오시밀러 '램시마'의 미국 판매에 속도가 붙을 것으로 보인다. 23일 업계에 따르면 화이자는 J&J와 레미케이드 독점금지 소송에 관해 합의를 이뤘다. 세부 조건은 공개되지 않았다. 양사가 소송을 취하하기로 하며 공방은 4년 만에 종결됐다. 화이자는 2017년 9월 필라델피아 소재 연방지방법원에 J&J를 제소했다. J&J가 레미케이드의 독점적 지위를 유지하고자 미국 주요 보험사, 병·의원 등과 계약을 맺고 화이자 제품을 배제했다고 주장했다. '연방 독점 금지법'과 '바이오의약품 가격경쟁 및 혁신법(BPCIA)'을 위반했다고 지적했다. 화이자는 셀트리온이 개발한 바이오시밀러 '램시마'를 '인플렉트라'라는 제품명으로 미국에서 판매해왔다. 램시마는 레미케이드의 세계 첫 바이오시밀러로 2016년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판매 허가를 받았다. 화이자가 소송 리스크를 해소하며 인플렉트라의 판매에 '청신호'가 켜졌다. 인플렉트라는 2016년 4분기 출
[더구루=홍성일 기자] 마이크로소프트(MS) 창업자 빌 게이츠가 투자한 차세대 풍력 발전 스타트업 '에어룸 에너지(Airloom Energy, 이하 에어룸)'가 상업 운영이 가능한 시험용 발전소 건설에 돌입했다. 에어룸은 시험용 발전소를 토대로 새로운 풍력 발전 방법의 상용화 가능성을 입증한다는 목표다. [유료기사코드] 6일 업계에 따르면 에어룸은 지난달 26일(현지시간) 미국 와이오밍주 록리버 지역에 첫 시험용 발전소와 연구개발(R&D) 시설의 착공식을 개최했다. 이번에 건설되는 시설은 에어룸이 설립 이후 처음으로 건설하는 유틸리티 규모 발전소다. 해당 발전소는 시험을 목적으로 건설되지만 상업 운영이 가능한 크기로, 발전 용량은 150킬로와트(kW)다. 에어룸은 설비 자체는 메가와트급 발전이 가능하도록 구축될 것이라고 전했다. 에어룸의 풍력발전소는 기존 방식과 완전히 다른 형태를 가지고 있다. 기존의 풍력발전소가 거대한 타워와 3개의 거대한 날개를 가진 바람개비가 결합된 형태라면, 에어룸의 풍력발전소는 직사각형 형태의 날개가 트랙 형태의 케이블과 연결된 형태다. 직사각형 날개는 케이블에 매달려 움직이면서 전기를 생산하게 된다. 에어룸은 자사의 풍력발
[더구루=홍성일 기자] 아마존웹서비스(AWS)가 태국 최대 소비재 기업 사하그룹(SAHA GROUP)과 디지털 기술 도입을 위해 손잡았다. 사하그룹은 연례 박람회를 통해 다양한 분야의 기업과 업무협약(MOU)을 체결하며, 사업 확장에 나섰다. [유료기사코드] 6일 업계에 따르면 AWS는 사하그룹과 전략적 파트너십 체결했다. 이번 파트너십은 제29회 사하그룹 박람회에서 진행됐다. 사하그룹은 매년 파트너사를 모아 박람회를 진행하고 있다. 해당 박람회에서는 식품과 음료, 가정용룸, 의류, 신발, 화장품 등 다양한 제품을 저렴한 가격에 구매할 수 있다. 사하그룹은 또한 박람회를 통해 다양한 기업과 파트너십도 체결하고 있다. AWS는 이번 파트너십을 토대로 사하그룹에 인공지능(AI), 머신러닝, 데이터 분석 기술 등을 제공한다. 사하그룹은 AWS에서 제공받은 기술을 운영 시스템 전반에 적용해 효율성을 높일 계획이다. 사하그룹은 이번 박람회에서 AWS 외에도 부동산, IT, 전자상거래, 국제 투자, 에너지, 항공, 소매, 교육 분야 기업과 15건에 달하는 MOU를 체결했다. 사하그룹은 타이오바야시와 MOU를 체결하고 방콕에 초호화 호텔을 개발하기로 했으며, 두짓 타니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