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최영희 기자] 여신전문금융회사 한국캐피탈이 5년 연속 성장세를 이어갔다. 한국캐피탈은 지난해 연결기준 영업이익 889억원을 기록해 전년동기대비 19.0% 증가했다고 16일 밝혔다. 당기순이익은 651억원으로 22.5% 증가했다. 자산총계는 3조 4683억원으로 지난해보다 5.1% 늘었다. 재무 안전성 지표인 레버리지 배율은 7.7배를 기록했다. 당국에서 제시한 목표치인 2025년까지 8배 이하를 이미 달성했다. 1개월 이상 연체율도 1.48%를 기록하며 최저수준을 유지했다. 또한 리스크가 높아진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을 줄이고 다른 상품 비중을 확대했다. 지난해 한국캐피탈 신규 부동산 PF대출 규모는 3934억원으로 전년동기 4804억원 대비 약 20% 가량 줄었다. 한국캐피탈은 급격한 금리 인상으로 경색된 발행시장에서도 조달 방법을 다변화했다. 한국은행은 지난해에만 기준금리를 총 8차례에 걸쳐 누적 250bp(bp=0.01%p)를 인상했다. 한국캐피탈은 회사채 발행 외에도 신디케이트론 차입, 자산유동화증권(ABS) 발행을 통해 자금을 조달해 시장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했다. 회사 관계자는 “금융시장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어 보수적 기준의 충당
[더구루=최영희 기자] 여신전문금융회사 한국캐피탈이 올해 사상 최대 실적을 경신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리스크 관리에도 만전을 기하고 있다. 한국캐피탈은 3분기 누적 영업이익 780억원으로 전년동기대비 55.0% 증가했다고 14일 밝혔다. 순이익은 595억원으로 65.4% 증가했다. 지난해 연간 순이익 531억원을 3분기만에 넘어섰다. 3분기 기준으로는 영업이익 233억원, 순이익 180억원으로 각각 전년동기대비 31.5%, 39.1% 증가했다. 자산총계는 3조 7338억원으로 전년동기대비 4449억원(13.5%) 늘었다. 올해 3분기에만 기준금리가 0.75%포인트 오른 상황에서도 한국캐피탈은 실적 개선과 함께 재무 건전성도 확보했다. 1개월 이상 연체율은 1.3%, 레버리지 배율은 8.3배를 기록해 낮은 수준을 유지했다. 특히 경색된 회사채 시장 분위기에서도 한국캐피탈은 자금조달 방법을 다변화해 유동성이 양호하다. 지난 9월 신디케이트론 차입과 자산유동화증권(ABS) 발행을 통해 총 3100억원의 자금을 조달했다. 기존 회사채(공모) 및 기업어음(1년 이내) 조달 비중은 축소됐지만 기타 조달 비중이 지난해 12%에서 33%로 확대됐다. 또한 리스크가 높아
[더구루=최영희 기자] 여신전문금융사 한국캐피탈이 얼어붙은 회사채 발행시장 의존도를 낮추고 다양한 조달방법을 통해 유동성을 확보했다. 한국캐피탈은 자산유동화증권(ABS) 발행 및 신디케이트론 차입을 통해 총 3100억원 규모 자금을 조달하는 이사회 안건이 승인됐다고 29일 밝혔다. 최근 가파른 기준금리 인상으로 회사채 조달시장이 경색되고 공모사채 발행이 어려워지자 선제적인 대응에 나섰다. 한국캐피탈 관계자에 따르면 이번 결정은 하반기 운영 자금 및 자금 조달 구조를 개선하기 위한 목적이라고 전했다. 한국캐피탈이 발행하는 ABS는 리스, 대출 및 할부채권을 기초자산으로 총 1100억원 규모다. 만기는 최대 2년 3개월이고 금리는 평균 5% 내외로 9월 중 발행할 예정이다. 외국은행 대상 신디케이트론 차입도 확대해 진행하기로 했다. 신디케이트론은 다수 은행으로 구성된 채권단이 공통 조건으로 융자하는 중장기 대출이다. 한국캐피탈은 신용등급 A등급 캐피탈사로는 처음으로 지난 2020년 10월 1125억원 규모 신디케이트론 차입에 성공했다. 이번에는 875억원이 늘어난 총 2000억원 규모로 지난번보다 증가했다. 만기는 2년이고 금리는 3개월 CD금리에 1.65%가
[더구루=최영희 기자] 여신전문금융회사 한국캐피탈이 5년 연속 1분기 실적 성장을 이어갔다. 한국캐피탈은 올해 1분기 영업이익이 295억원으로 전년동기대비 83.2% 증가했다고 16일 밝혔다. 순이익은 225억원으로 95.5% 증가했다. 자산총계는 3조 5403억원으로 전년동기대비 7303억원(26.0%) 늘었다. 영업자산 증가에도 불구하고 주요 안전성 지표인 1개월이상 연체율은 1.24%로 낮은 수준을 유지했다. 금융당국에서 규제하고 있는 레버리지 배율도 9배 미만을 지켰다. 증가한 실적에 맞춰 주주 환원을 위한 배당도 늘렸다. 한국캐피탈의 지난해 결산배당금은 주당 35원으로 전년대비 40% 상향해 지급했다. 회사 관계자는 “시중금리 상승추세에도 불구하고 원활한 회사채 발행을 통해 자금 조달 능력을 증명했다”며 “철저하고 엄격한 기준의 여신 심사 및 연체관리를 통해 자산 안전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경계를 늦추지 않고 있다”고 전했다.
[더구루=최영희 기자] 여신전문금융회사 한국캐피탈이 지난해 사상 최대 실적을 달성했다. 한국캐피탈은 지난해 영업이익이 747억원으로 전년동기대비 77.7% 증가했다고 22일 밝혔다. 순이익은 531억원으로 65.8% 늘었다. 자산총계는 3조2992억원으로 전년동기대비 9573억원(18.8%) 늘었다. 영업 포트폴리오 다변화와 함께 철저한 여신 관리로 대손상각비가 줄어 수익성이 증가했다. 주요 안전성 지표인 1개월이상 연체율은 1.07%로 최저수준을 유지했다. 금융당국에서 규제를 강화하고 있는 레버리지 배율도 8배 수준으로 낮아졌다. 금융당국은 캐피탈사의 레버리지 한도를 올해부터 9배 미만, 2025년까지 8배 미만으로 규제하고 있다. 한편, 한국캐피탈은 주당 35원의 현금배당을 실시한다. 시가배당율 4.1% 수준이다. 지난해 주당 배당금 25원 대비 40% 증가했다. 회사 관계자는 “최대 실적을 경신한 만큼 주주 환원을 위한 배당금도 증가했다”며 “올해는 금리, 환율 상승 등 다양한 외부 변수들이 많아 포트폴리오를 더욱 견고히 하고 재무건전성을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더구루=최영희 기자] 여신전문 금융회사 한국캐피탈이 영업자산 규모를 3조원 규모로 끌어올리며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한국캐피탈은 15일 현재 영업자산 규모가 2조 9000억원이라고 밝혔다. 사상 최대규모 영업자산을 마련한 한국캐피탈은 조만간 3조원을 돌파할 전망이다. 회사 관계자는 “최근 5년간 총자산 연평균 성장률이 약 18%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며 “대주주 신용공여 등 안전성을 높인 부분을 자본시장에서 인정받아 영업자산 규모를 키울 수 있었다”고 말했다. 한국캐피탈은 수신기능이 없는 캐피탈사 특성상 사업에 필요한 자금 대부분을 회사채를 통해 조달하고 있다. 올해만 회사채를 통해 총 1조 2400억원을 조달했다. 또한 최대주주를 대상으로 500억원 규모 영구채 발행 등 자본 확충을 통해서도 자금을 마련했다. 한국캐피탈은 사업 포트폴리오를 다각화하면서 자산규모를 늘리는데 성공할 수 있었다. 기존 리스금융에 지나치게 편중됐던 사업비중을 낮추고 렌탈, 기업금융 등을 확대해 사업군 별 비중을 균형있게 맞추면서 리스크가 분산되고 수익성도 좋아졌다. 한편, 한국캐피탈은 기준금리 인상 추세에 따라 내년에는 리스크 관리에 더욱 힘쓸 계획이다. 역대 최저인 연체율(1
[더구루=오소영 기자] 중국 상하이전기가 한국전력이 참여하는 사우디아라비아 최대 태양광 발전사업의 시공사로 선정됐다. 한전의 파트너사인 현지 재생에너지 회사 마스다르와 2GW 규모 태양광 발전소 건설에 협력하기로 했다. 시공사가 확정되며 발전소 공사도 곧 진행될 전망이다. 27일 상하이전기에 따르면 이 회사는 이달 초 마스다르와 '사우디 라운드 5 사다위(Sadawi) 발전사업' EPC(설계·조달·시공) 계약을 체결했다. 이 사업은 사우디 수도 리야드 북쪽 523㎞ 사업장에 설비용량 2GW의 태양광 발전소를 짓는 프로젝트다. 여의도 면적의 약 14배 크기인 부지에 태양광 패널 370만 개를 깔고 생산 전력을 현지에 25년간 공급한다. 사업비는 1조5000억원으로 추정된다. 마스다르와 한전은 작년 11월 컨소시엄을 꾸려 사업을 수주했으며, 전력판매계약도 체결했다. 이어 EPC 사업자인 상하이전기의 참여로 발전소 공사가 본격 시작될 것으로 보인다. 세부 일정은 알려지지 않았으나 가동 후 연간 60억 kWh 이상의 전기를 생산해 약 70만 가구의 전력 수요를 충족할 것으로 예상된다. 연간 300만 톤(t)이 넘는 탄소 배출량을 감축하는 효과도 기대된다. 우레이 상
[더구루=홍성일 기자] 메타(Meta)와 패션 브랜드 레이벤(Ray Ban)이 새로운 디자인의 스마트 안경을 공개했다. 메타는 실시간 인공지능(AI) 번역 기능을 정식 출시하는 등 스마트 안경 시장 선점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26일 업계에 따르면 메타-레이벤은 '스카일러 샤이니 초키 그레이(Skyler Shiny Chalky Gray)'라는 스마트 안경을 출시했다. 메타-레이벤은 해당 스마트 안경이 뉴트럴 톤에 포인트 컬러를 더한 캣아이 디자인을 가지고 있어 실내외 어디에서나 착용할 수 있다고 소개했다. 메타에 따르면 스카일러 샤이니 초키 그레이 스마트 안경은 '연한 회색의 안경 프레임'과 변색 기능을 갖춘 '트랜지션 사파이어 렌즈'가 결합됐다. 또한 1200만 화소 광각 카메라와 오픈이어 스피커 2개, 마이크 5개, 완충 시 최대 4시간 사용 가능한 배터리가 장착됐다. 무게는 50그램(g)이다. 트랜지션 사파이어 렌즈는 실내에서는 투명하게, 실외에서는 검정색으로 변해 사용성을 높였다. 스카일러 샤이니 초키 그레이 스마트 안경은 미국과 캐나다, 영국, 아일랜드, 오스트리아, 벨기에, 프랑스, 이탈리아, 스페인, 독일, 핀란드, 노르웨이, 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