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홍성환 기자] 한국은행이 미국 증시에 상장된 회사채 상장지수펀드(ETF)에 집중 투자한 것으로 나타났다. 2일 한국은행이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공개한 주식 보유 현황 보고서(13F)에 따르면 한국은행은 6월 말 기준 3개 종목을 보유 중이다. 포트폴리오 총가치는 4억6110만 달러(약 6000억원)에 이른다. 한국은행은 뱅가드 단기 회사채 인덱스 펀드 ETF(Vanguard Short-Term Corporate Bond Idx Fd ETF·VCSH) 436만4224주를 갖고 있다. 지분 가치는 3억3020만 달러(약 4290억원) 규모다. 포트폴리오 중에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다. 이 ETF는 미국 달러 표시·투자 등급·단기·고정금리 회사채에 투자하는 상품이다. 한국은행은 또 중기 회사채에 투자하는 뱅가드 중기 회사채 인덱스 펀드 ETF(Vanguard Intermediate-Term Corp Bond Idx Fund ETF·VCIT) 111만5056주를 보유했다. 지분 가치는 8810만 달러(약 1150억원) 수준이다. 이외에 아이셰어즈 아이복스 USD 투자등급 회사채 ETF(iShares iBoxx $ Inv Grade Corporate
[더구루=홍성환 기자] 글로벌 중앙은행 디지털화폐(CBDC·Central Bank Digital Currency) 거래량이 오는 2030년까지 최대 280조원 규모에 달할 전망이다. 이에 CBDC 시장을 선점하기 위한 전 세계 국가들이 빠르게 움직이는 상황이다. 우리 정부도 연구·개발을 확대할 방침이다. 14일 시장조사기관 주니퍼리서치(Juniper Research)에 따르면 전 세계 CBDC 결제액은 2023년 1억 달러(약 1310억원)에서 2030년 2130억 달러(약 278조3700억원)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결제액의 92%가 국내간 거래에서 발생할 전망이다. CBDC는 디지털 형태로 발행되는 중앙은행 화폐를 말한다. 지폐·동전 등 현재 사용하는 현금과 같이 국가 중앙은행이 직접 발행·관리하지만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디지털 방식으로 구현된다. 주니퍼리서치는 "국경간 지불의 높은 비용과 느린 속도를 개선하는 것이 현재 CBDC 개발의 초점이 아니다"라며 "CBDC 채택이 국가별로 다르기 때문에 제도를 함께 연결하는 국경 간 결제 네트워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 "정부가 CBDC를 사용함으로써 금융 포용성을 높이고 디지털 경제 방식에 대
[더구루=홍성일 기자] 인공지능(AI)가 편견 없이 공정한 판단을 내릴 수 있을까라는 질문에 답하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현재의 AI가 편향성을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며, 생성된 결과물을 맹신하는 것이 위험하다는 경고가 나오고 있다.
[더구루=오소영 기자] 세계 최대 석유기업인 사우디아라비아 아람코가 현지 석유화학 투자 3건을 연기한다. 대신 한국과 중국 사업에 매진한다. 유가 약세로 인한 부채 증가에 대응해 '선택과 집중' 전략을 취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