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오소영 기자] 중국 자율주행 스타트업 포니닷AI(Pony.ai·小馬智行)가 미국 캘리포니아에서 무인 자율주행차 테스트를 중단했다. 분리대 충돌 사고 여파로 안전성 문제가 불거져서다. [유료기사코드] 16일 업계에 따르면 포니닷AI는 최근 미국 캘리포니아주 교통국의 무인 자율주행차 시험 목록에서 삭제됐다. 주행 테스트 도중 발생한 사고 때문이다. 포니닷AI는 현대차의 코나EV에 자율주행 기술을 적용하고 캘리포니아에서 테스트를 수행해왔다. 지난 10월 28일 오전 10시 50분 프리몬트 도로를 달리던 중 좌회전을 위해 차선을 변경하는 과정에서 분리대를 박는 사고를 냈다. 차량 전면이 일부 손상됐으며 인명 피해는 없었다. 포니닷AI는 자율주행 테스트를 자발적으로 중단하고 원인 조사에 돌입했다. 캘리포니아주 교통국에도 사고를 즉각 보고하고 조사에 협력하고 있다. 포니닷AI는 이번 사고와 별개로 안전관리자가 탑승한 자율주행차 테스트를 지속할 계획이다. 다만 안전성 논란이 일며 자율주행차 상용화에 제동이 걸렸다. 포니닷AI는 중국 인터넷 기업 바이두의 자율주행 사업부 수석 엔지니어 출신 제임스 펑(彭軍)이 2016년 말 설립한 회사다. 일본 토요타를 비롯해 관
[더구루=오소영 기자] 중국 자율주행차 스타트업 포니닷에이아이(Poni.ai)가 중국 광저우와 베이징에 이어 상하이에서 로보택시(자율주행 택시) 운행에 돌입한다. 자율주행 트럭을 활용해 물류 시장도 공략한다. 포니닷에이아이는 7일(현지시간) 중국 상하이에서 열린 '세계인공지능회의(WAIC) 2021'에서 "로보택시 서비스를 시작했다"고 발표했다. 상하이 자딩구 주요 도시를 대상으로 하며 포니닷에이아이가 공급한 차량은 렉서스 RX다. 렉서스 RX는 토요타의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렉서스 모델에 포니닷에이아이의 자율주행 기술을 접목한 차량이다. 양사는 2019년 8월 자율주행차 사업 협력을 위한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이후 그해 WAIC에서 자율주행 기술을 탑재한 렉서스를 공개했다. 포니닷에이아이는 렉서스를 활용해 중국 광저우와 베이징, 미국 캘리포니아에서 로보택시를 제공했다. 600만㎞가 넘는 도로주행 테스트와 알고리즘 시스템 업데이트로 렉서스의 성능을 지속적으로 높여왔다. 장닝 포니닷에이아이 베이징 사업장 총괄은 "자율주행차가 디디(DiDi) 운전자보다 차량을 잘 몰 것"이라고 자신했다. 디디 운전자는 중국 차량공유서비스업체 디디추싱(Didi Chuxing
[더구루=정예린 기자] 프랑스 '에어리퀴드'가 미국에서 대규모 투자를 단행해 글로벌 반도체 제조사 부지에 초고순도 가스 생산 플랜트를 신설한다. 미국 반도체 산업 성장 기반을 강화하고, 첨단 제조 공정에 필수적인 고순도 가스 공급 역량을 크게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 [유료기사코드] 17일 에어리퀴드에 따르면 회사는 5000만 달러(약 696억원) 이상을 투자해 미국 남동부에 위치한 반도체 제조업체가 보유한 부지 내 첨단 가스 생산 시설을 설계·건설·운영할 계획이다. 해당 시설은 반도체 산업의 엄격한 품질 기준에 부합하는 안정적인 가스 공급을 목표로 하며, 오는 2027년 말 가동 예정이다. 구체적인 고객사명은 공개되지 않았다. 조지아주와 노스캐롤라이나주 등 미국 남동부가 최근 반도체 산업의 새로운 허브로 부상함에 따라 이 지역 내 반도체 및 관련 제조 시설을 확장하거나 신설 중인 기업들이 주요 투자 대상일 가능성이 크다. 신공장은 첨단 반도체 제조 공정에 필수적인 초고순도 질소와 산소를 대량 생산, 미국 내 반도체 산업의 자립과 경쟁력 강화에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에어리퀴드는 기존 텍사스, 펜실베이니아, 델라웨어에 이은 남동부 지역의 전략적 투자를 통해
[더구루=홍성환 기자] 미국 양자컴퓨터 전문기업 리게티컴퓨팅(Rigetti Computing)이 다중칩 양자컴퓨터를 통해 오차율을 절반으로 낮췄다고 밝혔다. [유료기사코드] 리케티는 17일 "모듈형 36큐비트(0과 1 상태의 정보를 동시에 갖는 중첩 상태로, 양자컴퓨터의 연산 단위) 시스템에서 99.5%의 중간값 2큐비트 게이트 충실도(두 개의 큐비트 사이에서 수행되는 양자 게이트 연산의 정확도를 나타내는 지표)를 달성했다"고 설명했다. 2큐비트 게이트 충실도가 99.5%라는 것은 오차율이 0.5%에 불과하다는 것이다. 84큐비트 단일칩 시스템에서 기록한 중간값 2큐비트 게이트 오차율은 약 1%로, 2배 감소한 수치다. 2큐비트 게이트는 양자컴퓨터에서 큐비트 간 상호작용과 얽힘을 구현하는 핵심 연산 단위다. 이 단계에서 발생한 오류는 후속 연산에 연쇄적으로 영향을 주기 때문에 게이트 오류율을 낮추는 것이 양자 연산 전체의 신뢰도와 확장성을 결정짓는 핵심 요소다. 리케티는 자사 독점 모듈형 칩 기술을 기반으로 9큐비트 칩 4개로 구성된 36큐비트 시스템을 개발했다. 내달 15일 이를 출시할 예정이다. 이 모듈형 기술을 바탕으로 100큐비트 이상을 탑재한 확장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