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오소영 기자] 중국 자율주행 스타트업 포니닷AI(Pony.ai·小馬智行)가 미국 캘리포니아에서 무인 자율주행차 테스트를 중단했다. 분리대 충돌 사고 여파로 안전성 문제가 불거져서다. [유료기사코드] 16일 업계에 따르면 포니닷AI는 최근 미국 캘리포니아주 교통국의 무인 자율주행차 시험 목록에서 삭제됐다. 주행 테스트 도중 발생한 사고 때문이다. 포니닷AI는 현대차의 코나EV에 자율주행 기술을 적용하고 캘리포니아에서 테스트를 수행해왔다. 지난 10월 28일 오전 10시 50분 프리몬트 도로를 달리던 중 좌회전을 위해 차선을 변경하는 과정에서 분리대를 박는 사고를 냈다. 차량 전면이 일부 손상됐으며 인명 피해는 없었다. 포니닷AI는 자율주행 테스트를 자발적으로 중단하고 원인 조사에 돌입했다. 캘리포니아주 교통국에도 사고를 즉각 보고하고 조사에 협력하고 있다. 포니닷AI는 이번 사고와 별개로 안전관리자가 탑승한 자율주행차 테스트를 지속할 계획이다. 다만 안전성 논란이 일며 자율주행차 상용화에 제동이 걸렸다. 포니닷AI는 중국 인터넷 기업 바이두의 자율주행 사업부 수석 엔지니어 출신 제임스 펑(彭軍)이 2016년 말 설립한 회사다. 일본 토요타를 비롯해 관
[더구루=오소영 기자] 중국 자율주행차 스타트업 포니닷에이아이(Poni.ai)가 중국 광저우와 베이징에 이어 상하이에서 로보택시(자율주행 택시) 운행에 돌입한다. 자율주행 트럭을 활용해 물류 시장도 공략한다. 포니닷에이아이는 7일(현지시간) 중국 상하이에서 열린 '세계인공지능회의(WAIC) 2021'에서 "로보택시 서비스를 시작했다"고 발표했다. 상하이 자딩구 주요 도시를 대상으로 하며 포니닷에이아이가 공급한 차량은 렉서스 RX다. 렉서스 RX는 토요타의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렉서스 모델에 포니닷에이아이의 자율주행 기술을 접목한 차량이다. 양사는 2019년 8월 자율주행차 사업 협력을 위한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이후 그해 WAIC에서 자율주행 기술을 탑재한 렉서스를 공개했다. 포니닷에이아이는 렉서스를 활용해 중국 광저우와 베이징, 미국 캘리포니아에서 로보택시를 제공했다. 600만㎞가 넘는 도로주행 테스트와 알고리즘 시스템 업데이트로 렉서스의 성능을 지속적으로 높여왔다. 장닝 포니닷에이아이 베이징 사업장 총괄은 "자율주행차가 디디(DiDi) 운전자보다 차량을 잘 몰 것"이라고 자신했다. 디디 운전자는 중국 차량공유서비스업체 디디추싱(Didi Chuxing
[더구루=김예지 기자] 일론 머스크가 이끄는 스페이스X가 텍사스 중부 바스트롭에 위치한 자사 시설을 약 800만 달러(약 107억원) 규모로 확장한다. 빠르게 성장 중인 위성통신 사업 '스타링크(Starlink)'와 반도체 연구개발(R&D) 역량 강화를 위한 전략적 투자로 풀이된다. [유료기사코드] 9일 텍사스 허가 및 규제부(TDLR)에 따르면 스페이스X는 텍사스주 허가 및 규제부(TDLR)에 기존 바스트롭 시설의 80000평방피트(약 7400㎡) 증설 계획을 등록했다. 공사는 오는 24일 착공해 2026년 1월 초 완공을 목표로 진행된다. 바스트롭은 최근 일론 머스크가 이끄는 주요 기술 기업들이 모여들며 '머스크 테크벨트'로 주목받고 있다. △스페이스X 외에도 △스타링크 운영 센터 △보링 컴퍼니 △X(구 트위터)의 기술 사무소 등이 밀집해 있다. 새롭게 확장되는 스페이스X 사무실은 FM 1209 도로 858번지에 위치해 기존 스타링크 및 관련 기업들과 인접해 있다. 기술 간 연계와 시너지를 극대화하려는 전략으로 해석된다. 스페이스X의 이번 확장 계획은 텍사스 주정부의 전폭적인 재정 지원과도 맞물려 있다. 그렉 애벗 주지사는 지난 3월, '텍사스 반
[더구루=홍성일 기자] 위기의 인텔(Intel)이 새로운 경영진을 임명하며 상황 반전에 나섰다. 이번 인사에 대해 '기술의 인텔'로 회귀하겠다는 각오를 보인 것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유료기사코드] 인텔을 8일(현지시간) 데이터센터, 엔지니어링, 파운드리 부문을 이끌 새로운 경영진을 발표했다. 인텔은 이번 인사를 통해 "핵심 사업을 강화면서 신뢰할 수 있는 파운드리를 구축하겠다"며 "회사 전반에 걸쳐 엔지니어링 문화를 육성하겠다"고 의지를 전했다. 인텔은 글로벌 팹리스 기업 Arm의 솔루션 엔지니어링 총괄인 케보크 케치치안(Kevork Kechichian)을 영입, 데이터센터 그룹 총괄로 임명했다. 케보크 케치치안은 1990년부터 엔지니어로 경력을 쌓아왔으며 퀄컴, NXP, Arm 등 글로벌 반도체 기업에서 엔지니어링 부문 총괄로 활동했었다. 데이터센터 그룹은 인텔의 데이터센터용 중앙처리장치(CPU) 제품군인 '제온(Xeon)' 프로세서과 클라우드·기업용 서버 사업 전반을 총괄한다. 짐 존슨(Jim Johnson)을 클라이언트 컴퓨팅 그룹(CCG)의 총괄로 정식 임명했다. 짐 존슨은 지난해 10월부터 임시로 CCG를 총괄해왔다. 짐 존슨은 대표적인 인텔맨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