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김형수 기자] 미국 제약업체 존슨앤드존슨(Johnson&Johnson) 알레스 고르스키(Alex Gorksy) 회장이 10여년 만에 경영일선에서 물러난다. 디지털 전환에 속도를 붙이려는 것으로 풀이된다. [유료기사코드] 8일 존슨앤드존슨에 따르면 호아킨 두아토(Joaquin Duato) 존슨앤드존슨 최고경영자(CEO)가 내년 1월부터 회장직을 맡는다. 알렉스 고르스키 회장은 1988년 존슨앤드존슨 자회사 얀센 파마슈티컬(Janssen Pharmaceuticals)에 입사한 이후 35년간 영업, 마케팅 분야에서 일하며 글로벌 제약회사로 자리매김하는 데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존슨앤드존슨은 호아킨 두아토 CEO가 첨단 기술을 활용한 의료기술 발전 분야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고 전했다. 데이터 과학, 지능형 자동화(Intelligent automation) 등을 이용해 어려운 의료기술 문제 해결에 도전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번 인사를 통해 디지털 전환에 박차를 가하려는 것으로 해석된다. 호아킨 두아토 CEO는 미국 애리조나 썬더버드 경영대학원(Thunderbird School of Global Management)에서 국제경영학 석
[더구루=김형수 기자] 글로벌 증시가 고전을 면치 못하면서 배당주 선호도가 꾸준히 높아지고 있다. 미국 제약업체 존슨앤드존슨(Johnson&Johnson)과 애브비(AbbVie)가 부정적 경제 전망 속에서도 투자자들이 발 뻗고 잠을 잘 수 있도록 돕는 종목으로 평가된다. 장기적으로 성장을 이어나갈 것이란 이유에서다. [유료기사코드] 13일 미국 투자전문매체 씨킹알파(Seeking Alpha)는 존슨앤드존슨과 애브비를 헬스케어 분야의 방어적 배당황제주(Dividend Kings)이라고 분석했다. 존슨앤드존슨이 높은 품질과 안전성이라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면 애브비는 보다 높은 수익성을 보이고 있다는 평가다. 씨킹알파는 규제 관련 위험 요인이 도사리고 있긴 하지만 투자자들이 두려움을 느낄 정도는 아니라고 봤다. 씨킹알파는 존슨앤드존슨이 시장 예상을 뛰어넘는 수익을 지속적으로 내면서도 변동성은 현저하게 낮다고 했다. 지난 37년 동안 존슨앤드존슨은 57배에 달하는 인플레이션 조정 수익률(Inflation-adjusted Returns)을 기록했으며 이는 S&P500 해당 수치에 세 배를 넘는다. 약세 시장에서 회복하는 데 걸린 최장 기간도 34개월에
[더구루=김형수 기자] 미국 건강용품업체 존슨앤드존슨(Johnson & Johnson)이 활석(탈크) 사업 노동자들이 유독 물질인 석면에 노출됐다는 증거를 감췄다는 이유로 피소될 처지에 놓였다. [유료기사코드] 마이클 카플란(Michael Kaplan) 미국 뉴욕 서부 지방 파산법원(United States Bankruptcy Court Western District of New York) 판사는 14일 존슨앤드존슨이 베이비파우더 파산을 이유로 활석 산업 노동자들이 석면에 노출됐다는 증거를 은폐했다는 혐의로 기소되는 것을 막을 수 없다는 판결을 내렸다. 단 존슨앤드존슨의 유독물질 증거 은폐 소송은 베이비파우더 소송과는 다르다고 판단했다. 문제가 된 것은 존슨앤드존슨이 윈저 미네랄(Windsor Mineral)이라는 이름의 활석 광산의 소유다. 이곳에서는 베이비 파우더를 비롯한 여러 제품에 들어가는 재료를 생산했다. 존슨앤드존슨은 제품에 사용된 활석에 석면이 들어있다는 것을 오랜 시간 동안 부인해왔다. 현재는 베이비파우더에 함유된 활석이 암을 일으켰다는 4만건 이상의 주장이 제기된 상태다. 미국 재판부는 지난 1986년 존슨앤드존슨을 고소했던 한 남성
[더구루=홍성일 기자]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설립한 뇌신경과학 스타트업 뉴럴링크(Neuralink)가 임상 케이스 확보에 속도를 내고 있다. 뉴럴링크는 미국 밖에서도 최초의 이식 수술을 진행하는 등 임상 범위 확대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뉴럴링크는 10일(현지시간) "전 세계적으로 뉴럴링크 뇌-컴퓨터 인터페이스(Brain-Computer Interface, BCI) 임플란트를 이식받은 환자가 12명"이라고 발표했다. 지난 7월 9번째 이식을 마무리한 후 40여일만에 3명의 임상 참여자가 늘어난 것이다. 뉴럴링크는 올해에만 9건의 이식 수술을 진행했다. 새로 추가된 임상환자 중 2명은 유나이티드 헬스 네트워크(UHN) 산하 캐나다 토론토 웨스턴 병원에서 8월 27일, 9월 3일에 각각 이식 수술을 받았다. 뉴럴링크는 지난해 11월 캐나다에서 CAN-프라임 임상 연구의 승인을 획득하며 임상참가자 모집을 시작했다. 특히 이번 캐나다 이식 수술은 미국 밖에서 진행된 최초의 뉴럴링크 임상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나머지 한 명에 대한 정보는 공개되지 않았다. 뉴럴링크는 캐나다 외에도 아랍에미리트(UAE), 영국 등에서 임상 참가
[더구루=길소연 기자] 이탈리아 최대 방산기업 레오나르도가 필리핀 차세대 전투기 도입사업에 참전한다. 필리핀 공군에 유럽산 전투기인 유로파이터 타이푼(Eurofighter Typhoon) 구매를 제안하며 전투기 수출 기회를 창출한다. 레오나르도는 유로파이터 타이푼이 다수 유럽 공군의 주력 전투기지만, 필리핀 방공 전력의 공백을 메우고 중국을 억제하고 전투력을 강화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레오나르도의 구매 제안을 필리핀이 받아들일 경우 유럽산 전투기 수출이 동남아시장으로 확대된다. [유료기사코드] 레오나르도는 8일(현지시간) 공식 소셜미디어 엑스(X)에 필리핀 공군(PAF)의 신형 다목적 전투기 도입 요건을 충족하기 위해 유로파이터 타이푼 전투기 32대를 공식 제안했다고 밝혔다. 레오나르도 측은 "구매 제안에는 현지 지원 및 공급을 위한 기술 이전과 더불어 1급 작전 능력의 모든 범위가 포함된다"며 "현지 산업의 수익 창출을 통해 필리핀은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서 유로파이터 타이푼 전투기의 주요 공중급유 기지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유럽의 주력 전투기 '유로파이터 타이푼'은 레오나르도와 프랑스 에어버스, 영국 BAE시스템즈와 함께 만든 전투기이다. 경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