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최영희 기자]유니셈은 2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61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9.2% 감소했다고 14일 밝혔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은 72억원, 당기순이익은 43억원으로 전년 대비 소폭 하락했다. 유니셈은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생산 공정에서 발생하는 유해가스 처리 장비인 스크러버(Scrubber)와 온도 조절 장비 칠러(Chiller) 전문 기업이다. 삼성전자, SK하이닉스, LG디스플레이, BOE 등 국내외를 대표하는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업체들에 장비를 공급하고 있다. 이번 2분기는 인플레이션으로 인한 원재료비 상승 등 여러 악조건 속에서도 플라즈마 스크러버의 매출 성장이 돋보였다. 주요 고객사들의 ESG(환경·사회·지배구조) 활동 강화가 직접적인 수혜로 이어졌다. 플라즈마 스크러버는 대표적인 친환경 반도체 장비로 꼽힌다. 공정 내 유해가스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부산물을 줄여 탄소 배출을 저감할 수 있다. 유니셈 관계자는 "반도체 제조 공정에서 스크러버 적용이 확대되는 가운데 친환경 스크러버 수요가 늘어나고 있다"며 "현재 개발 중인 차세대 친환경 스크러버도 고객사들에서 테스트를 진행 중이다"고 전했다. 그는 이어 "하반기에는 삼성전자 평
[더구루=최영희 기자]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장비 업체 유니셈이 지난해 사상 최고 실적을 경신했다. 유니셈은 16일 내부결산기준 지난해 연결 매출액 2961억원, 영업이익 437억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각각 전년동기대비 37.6%, 35.6% 증가했다. 당기순이익도 전년대비 85.8% 증가하며 사상최대인 382억원을 기록했다. 유니셈은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생산 공정에서 발생하는 유해가스 처리 장비인 스크러버(Scrubber)와 온도 조절 장비 칠러(Chiller) 전문 기업이다. 삼성전자, SK하이닉스, LG디스플레이, 중국 BOE 등 국내외 대표 업체들에 장비를 공급하고 있다. 유니셈은 지난해 주요 반도체, 디스플레이 고객사들의 설비투자 확대로 스크러버 및 칠러 공급이 크게 늘었다. 또한 ESG (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 트렌드에 따라 공정 내 유해가스 배출을 줄이기 위해 스크러버 사용이 확대되고 있다. 실제로 고객사 에칭(Etching) 공정에 스크러버가 사용되기 시작했으며 올해는 더욱 확대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탄소배출량이 적은 플라즈마 스크러버 도입도 확산되고 있다. 회사 관계자는 “2년 연속 사상 최대 실적을 다시 쓰고 있다”며 “반도체 및
[더구루=최영희 기자] BK투자증권은 30일 유니셈에 대해 내년 주요 고객사들의 투자가 올해보다 늘어나 11%의 매출 성장이 전망된다고 내다봤다. 이민희 IBK투자증권 연구원은 “고객 설비투자 공백과 제품 믹스 악화로 올해 하반기 실적이 감소했다”며 “내년에는 삼성전자 P3공장 발주가 있고, SK하이닉스와 키옥시아도 투자를 늘릴 전망이다” 유니셈은 디스플레이 및 반도체 공정에서 발생하는 유해가스를 정화시키는 스크러버와 챔버 및 웨이퍼 주변 온도를 안정적으로 조절하는 칠러를 제조해 판매하고 있다. 이 연구원은 “내년 디스플레이 매출 비중이 줄고 반도체 비중이 높아져 수익성 개선도 예상된다”며 “특히 칠러보다 수익성이 높은 스크러버 사용 니즈가 커지고 있어 동사에 유리한 환경이 조성되고 있다” 강조했다. 그는 이어 “반도체 미세화, 고적층화가 진행되며 유해가스 발생이 많아진 가운데 ESG경영이 강화되고 있다”며 “과거에는 사용 빈도가 적었던 에칭 공정에서도 스크러버 사용 니즈가 커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더구루=최영희 기자]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장비 기업 유니셈이 3분기에도 실적 성장세를 이어갔다. 유니셈은 12일 연결기준 3분기 매출액 690억원, 영업이익 109억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각각 전년동기대비 50.5%, 104.0% 증가했다. 분기순이익은 100.1% 오른 88억원을 기록했다. 유니셈은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생산 공정에서 발생하는 유해가스 처리 장비인 스크러버(Scrubber)와 온도 조절 장비 칠러(Chiller) 전문 기업이다. 삼성전자, SK하이닉스, LG디스플레이, BOE 등 국내외 대표적인 업체들에 장비를 공급하고 있다. 3분기에도 주요 고객사들의 전방위적 설비투자로 스크러버 및 칠러 수요가 크게 발생했다. 메모리와 파운드리 모두 대규모 투자가 이어졌다. 삼성전자는 3분기에만 시설투자로 10조 2000억원을 집행했다. 4분기부터는 디스플레이 업계에서 장비 발주가 쏟아질 전망이다. LG디스플레이가 파주 P9 공장 6세대 OLED(유기발광다이오드) 투자를 확대하고, 삼성디스플레이도 아산 공장 6세대 OLED 투자를 확대하기 시작했다. 회사 관계자는 “디스플레이 업체들의 이번 투자가 내년 하반기 가동을 목표하고 있는 만큼 그 전까지 장
[더구루=오소영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캘리포니아 고속철도 건설에 또 제동을 걸었다. 보조금을 취소하겠다는 의사를 내비치며 캘리포니아 주정부와 갈등을 빚고 있다. 캘리포니아 고속철도 사업이 휘청이고 있지만 현지에 거점까지 마련한 현대로템의 북미 사업에는 크게 상관이 없을 전망이다. 이미 수주를 확보한 데다 캘리포니아에 짓고 있는 신규 공장은 현지 고속철도 사업과 무관하게 진행되고 있어서다. [유료기사코드] 8일 철도 전문 매체 레일웨이서플라이(Railwaysupply)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캘리포니아 고속철 사업에 연방 자금을 지원하지 않겠다고 선언했다. 예상보다 비용이 많이 들고 오래 걸린다는 이유에서다. 미 교통부는 고속철 사업에 대한 조사에 착수한 것으로 알려졌다. 캘리포니아 고속철 사업은 샌프란시스코와 로스앤젤레스를 잇는 총 837㎞ 구간에 고속철도를 까는 프로젝트로 2008년 시작됐다. 초기 지역 주민들로부터 지지를 받았다. 캘리포니아 유권자들은 100억 달러(약 14조원) 상당의 공채 발행에도 찬성을 표했다. 캘리포니아주는 재원을 확보해 2029년까지 1차 구간을 완공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총 330억 달러(약 46조원)를 쓸 것으
[더구루=홍성일 기자] 인공지능(AI) 기반 미국 방위산업 스타트업 '안두릴(Anduril)'이 아일랜드 통신시스템 기업 '클라스(Klas)'를 인수한다. 안두릴은 클라스 인수로 유럽 방산 시장 공략 속도를 높인다는 목표다. [유료기사코드] 8일 업계에 따르면 안두릴은 클라스를 인수하는 최종 계약을 체결했다. 구체적인 인수 조건은 공개되지 않았으며, 규제 당국의 승인절차에 따라 인수작업이 진행될 예정이다. 안두릴이 인수한 클라스는 아일랜드 더블린에 본사를 두고 있는 통신시스템 개발 기업으로, 극한 환경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통신 장치를 개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실제로 클라스의 대표 제품군인 보이저(Voyager)의 경우 극한의 온도와 방해 전파, 먼지 등 외부 환경 제약 속에서도 사용이 가능하도록 개발됐다. 이에 보이저 제품군은 안두릴 메너스(Menace) 시스템에 통합돼 다양한 군사 작전에 사용되고 있다. 안두릴은 인수작업이 마무리되면 자사 드론·데이터 수집용 소프트웨어 플랫폼 래티스(Lattice)와 클라스의 통신 장치 기술을 통합한다. 이에 늘어나는 수요를 감당하기 위한 신규 통신 장치 생산공장 건설도 검토한다. 또한 더블린에 첫 사무실을 개설하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