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김형수 기자] 국내 헬스케어 기업 오에스알홀딩스(OSR Holdings)가 미국 기업인수목적회사(SPAC·스팩)와의 합병을 마무리했다. 오에스알홀딩스가 미국 증시 상장에 한 걸음 더 다가섰다는 평가다. 미국 나스닥에 상장한 스팩인 벨뷰 라이프 사이언시스 애퀴지션(Bellevue Life Sciences Acquisition·이하 벨뷰)은 오에스알홀딩스와 최종 합병 계약을 체결했다고 16일(현지시간) 밝혔다. 합병 절차가 마무리되면 벨뷰는 오에스알홀딩스 유통주식(Outstanding Shares) 가운데 최소 60%를 보유하게 될 전망이다. 2025년 이후 잔여 지분을 인수할 권리도 확보했다. 합병 절차 종료와 함께 벨뷰는 오에스알 바이오사이언시스(OSR Biosciences)로 사명을 변경하고 나스닥에 새로운 종목명으로 상장할 계획이다. 구체적 일정은 공개되지 않았다. 오에스알홀딩스가 지난 7월 벨뷰와의 합병을 추진한 지 4개월 여만에 미국 증시 상장이 가시화된 것이다. 당시 양사는 연내 합병 완료를 목표로 의견 조율을 조속한 시일 내에 마무리짓겠다는 방침을 밝힌 바 있다.<본보 2023년 7월 12일 참고 신약 개발사 오에스알홀딩스, 美나스닥
[더구루=홍성환 기자] 국내 헬스케어 기업 오에스알홀딩스(OSR Holdings)가 기업인수목적회사(SPAC·스팩) 합병을 통해 미국 증시에 상장한다. 신약 개발에 속도를 높일 방침이다. 미국 나스닥에 상장한 스팩인 벨뷰 라이프 사이언시스 애퀴지션(Bellevue Life Sciences Acquisition)은 11일(현지시간) 오에스알홀딩스와 합병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양사는 향후 추가 논의를 통해 최종 합의를 완료하고 기업 가치, 공모액 등 세부 사항을 발표할 예정이다. 오에스알홀딩스는 경기도 파주와 미국 워싱턴주(州) 벨뷰, 스위스 취리히 등에 기반을 둔 헬스케어 기업이다. 종양학·골관절염 분야 2개 신약을 개발 중이다. 이와 함께 의료기기 유통 사업도 하고 있다. 오에스알홀딩스는 또 파이프라인 확대를 위해 스위스 생명공학 스타트업 랜드마크 바이오벤처스(Landmark BioVentures) 인수를 추진 중이다. 벨뷰 라이프 사이언시스 애퀴지션은 헬스케어 투자사 벨뷰 캐피탈 메니지먼트(BCM)가 올해 2월 상장한 스팩이다. 벨뷰 캐피탈 메니지먼트는 국내 증권업계 출신 황국현 대표가 설립한 투자사다. 지난 2019년 국내 상장 바이오 기업인 크리스
[더구루=길소연 기자] 대만의 주요 집적회로(IC) 설계 업체들이 하반기 성숙 노드용 웨이퍼 파운드리 주문을 크게 줄이고 있다. 관세로 인한 수요 증가 효과가 종료되고, 스마트폰과 자동차 애플리케이션 등의 수요가 예상보다 미미한 회복을 보이는데다 신대만 달러(NDT) 강세에 따른 지속적인 압박이 이어지자 주문 물량을 대폭 축소했다. [유료기사코드] 29일 대만 시장조사기관 트렌드포스(TrendForce)에 따르면 3분기 성숙 노드용 웨이퍼 파운드리 주문량이 2분기 대비 20~30% 감소했다. 이로 인해 성숙 노드 파운드리 시설의 가동률은 상반기 약 70%에서 하반기 60% 이하로 하락할 수 있다. 미국이 8월 1일부터 전 세계적으로 상호 관세를 시행함에 따라 웨이퍼 파운드리의 초기 주문 증가 모멘텀은 종료되고, 글로벌 소비재 시장의 지속적인 약세로 인해 성숙 노드에 대한 수요가 더욱 약화됐다. 신대만 달러(NTD)의 급격한 강세도 대만 반도체 산업, 특히 파운드리 업체에 부정적 영향을 끼친다. 기관 분석과 업계 데이터에 따르면 NTD가 1% 상승할 때마다 파운드리 매출 총이익률은 일반적으로 0.3%에서 0.5% 감소한다. 업계 관계자는 "미국 반도체 기업 엔
[더구루=길소연 기자] 카타르가 유럽연합(EU)의 기업 지속가능성 실사 지침(CSDDD)에 불만을 표출했다. EU가 공급망 내 인권 보호와 환경 지속 가능성 확보를 위해 의무화한 CSDDD에 따라 유럽으로의 액화천연가스(LNG) 수출을 중단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카타르의 유럽 가스 공급량이 크게 증가한 가운데 이같은 공식 경고 조치에 유럽 에너지 안보가 위협받을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유료기사코드] 29일 업계에 따르면 카타르는 벨기에 정부를 포함해 유럽 국가에 CSDDD가 완화되지 않을 경우 LNG 수출을 유럽 외부로 전환할 계획이라고 통보했다. 사드 셰리다 알카비 카타르 에너지부 장관 겸 카타르에너지 최고경영자(CEO)는 "카타르가 EU의 새로운 규제 체계가 상업 거래의 안정성을 위협하는 요소라고 생각한다"며 "유럽 말고 아시아가 안정적이고, 우호적인 사업 환경으로 여겨져 가스 수출을 전환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카타르는 유럽에서 활동하는 대기업의 환경·사회적 영향을 규제하기 위해 채택된 CSDDD가 EU와 무역 관계를 복잡하게 만들 것이라고 우려하고 있다. 특히 CSDDD가 파리협정의 1.5도 상승 제한 목표를 달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