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길소연 기자] 대우조선해양이 건조 중인 해상풍력발전기 설치선(WTIV)에 폴란드 조선기자재업체 토비모르(Towimor S.A)의 고정 장비가 장착된다. 10일 업계에 따르면 토비모르는 WTIV를 발주한 모나코 선사 에네티(옛 스콜피오 벌커스)에 근해 선박에 계류·정박 장비를 제공한다. 이로써 선상 장비 제조업체인 토비모르는 한국 조선소에서 오는 2023년까지 주문 포트폴리오를 40척 이상으로 확장했다. 대부분의 장비는 한국 공장에서 제조될 예정이다. 토비모르는 선박 갑판 장비의 설계와 제조 분야에서 50년 이상의 경험을 가진 회사이다. 거의 4000척의 선박에 장비를 갖추고 있다. 갑판 기계, 조선소, 선주 및 선급 협회와의 긴밀한 협력 덕분에 모든 요건을 충족한다. 에네티가 대우조선에서 발주한 선박은 최대 65m 깊이에 20MW급 풍력터빈을 설치할 수 있다. 에네티를 위해 액화천연가스(LNG) 또는 암모니아와 같은 대체 연료를 사용하도록 개조된다. 첫 번째 장치는 2024년에 제공될 예정이다. 에네티는 미국 해운대기업 스콜피오 산하 벌크선 회사다. 스콜피오 벌커스(Scorpio Bulkers)에서 사명을 변경했다. 에네티는 벌크선 매각 후 WTIV
[더구루=길소연 기자] 대우조선해양에 해상풍력발전기 설치선(WTIV)을 발주한 모나코 선사 에네티(옛 스콜피오 벌커스)가 추가 자금을 확보했다. 확보된 자금은 고부가가치 선박으로 자리매김할 해상풍력발전기 설치선 주문에 쓰인다. 17일 업계에 따르면 에네티는 세계 최대의 제품 운반선 소유주 중 하나인 계열사 스콜피오 탱커스(Scorpio Tankers)의 지분 216만주를 모두 매각한 후 8330만 달러(약 1092억원)의 현금을 추가했다. 에네티 현금 중 나머지 86만주 정도의 스콜피오 주식은 주당 38.65달러(약 5만원)의 동일한 가격으로 공개 시장에 판매됐다. 엠마뉴엘 라우로(Emanuele Lauro) 에네티 최고경영자(CEO)는 "대우조선해양이 건설 중인 두 대의 WTIV에 대한 자금조달 제안을 여러 은행으로부터 받았다"며 선박 금융 자본에 쓰일 전망이라고 예고했다. 에네티는 대우조선에 WTIV 1대를 발주하면서 풍력선 시장에 집중했다. 앞서 에네티는 지난해 5월 대우조선과 WTIV 1척 건조계약을 체결했다. 계약 규모는 3억3000만 달러(약 3692억원). 신조선은 오는 2024년 3분기에 인도될 예정이다. <본보 2021년 5월 12일 참
[더구루=길소연 기자] 대우조선해양에 해상풍력발전기 설치선(WTIV)을 발주한 모나코 선사 에네티(옛 스콜피오 벌커스)가 벌크선을 모두 매각했다. 벌크선 매각 후 차세대 풍력터빈 설치선 사업에 집중한다. 2일 업계에 따르면 에네티는 벌크선을 매각하면서 WTIV 발주 자금을 마련했다. 마지막으로 보유하고 있던 일본 전세계약 선박 5척을 모두 매각을 마쳤다. 이번 벌크선 매각 완료 후 23일 기준 에네티의 주식 가치는 22억 달러(약 2조5999억원)가 됐다. 에네티는 WTIV 자금 조달을 위해 잠재적 주식 판매를 위한 주식 등록을 마치면서 마지막 벌크선 하역을 확인했다. 에네티는 그동안 미국에서 간간히 1억3187만주를 매각하기 위해 증권거래위원회(SEC)에 등록한 바 있다. 에네티는 영국 해상풍력발전소건설회사인 시잭 인터내셔널(Seajacks International)을 6억 달러에 인수하면서 WTIV 시장으로의 이동을 시작했다. 특히 대우조선에 WTIV 1대를 발주하면서 풍력설치선 시장에 집중했다. 앞서 에네티는 지난 5월 대우조선과 WTIV 1척 건조계약을 체결했다. 계약 규모는 3억3000만 달러(약 3692억원). 신조선은 오는 2024년 3분기에 인
[더구루=홍성일 기자] 미국 국방부 산하 국방고등연구계획국(DARPA, 이하 다르파)이 바이오하이브리드 로봇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다르파는 바이오하이브리드 로봇을 기반으로 기존 로봇 시스템의 한계를 뛰어넘는다는 목표다. [유료기사코드] 10일 업계에 따르면 다르파는 현재 바이오하이브리드 로봇의 다양한 개념을 탐색하고 연구하는 하이브리드(Hybridizing Biology and Robotics through Integration for Deployable Systems, HyBRIDS) 이니셔티브를 진행하고 있다. 다르파가 하이브리드 이니셔티브를 공식화한 것은 지난해 11월이다. 당시 다르파는 바이오하이브리드 로봇의 다양한 개념을 연구하기 위해 고급 연구 개념(Advanced Research Concepts, ARC)을 진행한다고 발표했다. 다르파는 올해 4월 7일까지 ARC에 참여하기 원하는 기업들에 참가신청을 받았다. ARC는 새로운 아이디어를 마음껏 연구할 수 있도록 1년간 지원하는 프로그램이다. 하이브리드 이니셔티브에 참여하는 기업이나 조직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공개되지 않았지만, 다르파가 활성화된 상태라고 밝힌 만큼 관련 연구가 진행 중인 것으로
[더구루=김예지 기자] 대만의 화학소재 기업 LCY화학(李長榮化工)이 미국 애리조나주에 반도체용 소재 공장을 착공했다. TSMC의 공급망을 따라 북미 시장 진출을 본격화하며, 현지 수요 대응과 글로벌 생산 거점 확보에 나선것으로 보인다. [유료기사코드] 10일 대만 경제지 공상시보에 따르면 LCY화학은 반도체 소재 공장 설립에 총 2억 8000만 달러(약 3조 7000억원)를 투입한다. 오는 2028년 완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공장이 완공되면 연간 2만 톤 규모의 생산 능력을 갖추게 된다. 초기에는 반도체 세정 공정에 사용되는 전자급 이소프로필알코올(EIPA)을 생산하고, 이후 첨단 패키징 공정에 필요한 고순도 화학소재로 생산 범위를 확대할 계획이다. 지난 2021년 말 미국 투자 계획을 처음 공개했지만, 착공까지 다소 시간이 걸렸다. 이번 공사 착수로 LCY화학의 북미 진출이 본격화됐다는 평가가 나온다. LCY화학은 이번 투자를 통해 반도체 소재 분야에서의 입지를 확대하고, 공급망 안정화와 고객사 대응 역량을 강화하겠다는 방침이다. 미국 정부의 반도체 산업 육성 정책과 고객사의 생산 현지화 전략에 발맞춘 결정으로 풀이된다. 글로벌 반도체 세정용 소재 시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