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김형수 기자] 중국 제약업체 시노백(Sinovac)의 코로나19 백신을 부스터샷으로 고령자에게 접종하면 중증 질환 및 사망 위험을 막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유료기사코드] 25일 홍콩 대학(University of Hong Kong) 연구진이 공개한 연구 결과를 보면 60세 이상 인구를 대상으로 3차 접종에 시노백 코로나19 백신을 사용할 경우 중증 질환에 대한 시노백 코로나19 백신의 유효율(Effective Rate)는 97.9%, 사망 위험 예방 관련 유효율은 98.3%로 나타났다. 증증 질환에 대한 유효율이 98.0%, 사망 위험 예방에 대한 유효율이 98.1%라는 결과가 나온 코로나19 백신 BNT162b2와 큰 차이가 없는 셈이다. BNT162b2 독일 생명공학기업 바이오엔테크(BioNTech)와 중국 푸싱제약(Fosun Pharma)이 개발했다. 2차 접종까지 완료한 60세 이상 인구를 대상으로 한 유효율 비교에서는 BNT162b2이 시노백의 코로나19 백신을 앞서는 결과가 나왔다. 시노백 코로나19 백신의 중증 질환 예방 유효율은 72.2%, 사망 예방 유효율은 77.4%로 중증 질환 예방 유효율 89.6%,
[더구루=김형수 기자] 에콰도르 정부가 중국 제약업체 시노백(Sinovac)과 손잡고 에콰도르 현지에서의 코로나19 백신 생산을 위한 공장 설립에 나선다. [유료기사코드] 26일 업계에 따르면 에콰도르 정부와 시노백은 에콰도르 영토 내에 코로나19 백신 공장을 세우기 위한 로드맵을 정의한 계약에 서명할 것으로 전망된다. 에콰도르 정부와 시노백의 이번 계약은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을 계기로 열린 양국의 정상회담에서 시진핑 중국 주석과 기예르모 라소 에콰도르 대통령이 보건 분야에서 협력하기로 의견을 모은 이후 이뤄진 것이다. 기예르모 라소 대통령은 이달 초 정상회담 이후 트위터에 게시한 글을 통해 “시진핑 중국 주석과 생산적 회담을 가졌다”면서 "통상 개방, 보건 협력, 부채 재협상 등에서 매우 좋은 결과를 얻었다”고 밝혔다. 에콰도르 보건부는 지난 11일 시노백 측과 만나 에콰도르 현지에 백신 생산 시설을 설립하는 것에 대한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히메나 가손(Ximena Garzón) 에콰도르 보건부 장관이 직접 미팅에 참가해 잭 탕(Jack Tang) 시노백 라틴아메리카 운영매니저를 만났다. 이 자리에서 시노백은 오는 2032년까지의 잠정적 계획을 제시
[더구루=김형수 기자] 태국 보건 당국의 결정에 따라 태국 아동들은 중국산 코로나19 백신을 맞을 수 있게 됐다. [유료기사코드] 7일 업계에 따르면 태국 보건부 소속 태국 식품의약품청(FDA)은 6세 이상 아동에 대한 시노백(Sinovac)과 시노팜(Sinopharm) 코로나19 백신 접종을 승인했다. 기존에는 18세 이상 성인만 시노백과 시노팜 코로나19 백신을 맞을 수 있었는데 두 백신을 접종할 수 있는 대상 연령대가 확대됐다. 지난해 12월 5세~11세 인구에 대한 화이자 코로나19 백신 접종을 승인한 데 이어 중국산 코로나19 백신도 미성년자들이 맞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중국 국영기업 시노백과 민간회사 시노백이 개발한 코로나19 백신은 화학 처리 과정을 거쳐 감염력이 사라진 코로나19 바이러스를 활용해 만드는 불활성 백신이다. 세계보건기구(WHO)는 지난해 5월 시노팜 코로나19 백신 사용을 승인한 데 이어 작년 6월 시노백 코로나19 백신의 긴급사용을 승인했다. WHO 전문가 패널은 시노백 백신을 2주~4주 간격을 두고 두 차례 접종할 경우 51%의 효능을 보였으며, 중증으로 진행되거나 입원하는 것은 100% 예방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전했다.
[더구루=홍성환 기자] 미국 최대 전기차 충전소 기업 'EV고(EVgo)'가 약 3100억원의 유동성을 확보했다. 전기차 충전 인프라 확장에 속도를 높일 방침이다. EV고는 29일 "프로젝트 파이낸싱(PF) 금융기관과 2억2500만 달러(약 3100억원) 규모 대출 약정을 맺었다"고 밝혔다. 이번 PF는 일본 대표 금융기관인 미쓰이스미토모은행(SMBC)이 주관했다. 공동 북러너(투자자 모집기관)로 몬트리올은행, 캐나다왕립은행, ING은행이 참여했다. EV고는 조달 자금으로 북미 지역 1500개 이상 고속 충전소를 확충할 방침이다. EV고의 바다르 칸 CEO는 "신규 자금 유치는 회사의 인프라 확충을 가속화해 전기차 운전자에게 고속 충전 접근권을 제공할 것"이라고 전했다. 2010년 설립된 EV고는 미국 최대 전기차 고속 충전 네트워크로 100% 재생 에너지로 구동된다. 북미 40여개 주 1100개 이상의 고속 충전소를 운영 중이다. 소매업체, 식료품점, 레스토랑, 쇼핑센터, 주유소, 승차공유, 자율주행 등 기업과 협력해 충전 인프라 접근성을 높이고 있다.
[더구루=길소연 기자] 대만의 주요 집적회로(IC) 설계 업체들이 하반기 성숙 노드용 웨이퍼 파운드리 주문을 크게 줄이고 있다. 관세로 인한 수요 증가 효과가 종료되고, 스마트폰과 자동차 애플리케이션 등의 수요가 예상보다 미미한 회복을 보이는데다 신대만 달러(NDT) 강세에 따른 지속적인 압박이 이어지자 주문 물량을 대폭 축소했다. [유료기사코드] 29일 대만 시장조사기관 트렌드포스(TrendForce)에 따르면 3분기 성숙 노드용 웨이퍼 파운드리 주문량이 2분기 대비 20~30% 감소했다. 이로 인해 성숙 노드 파운드리 시설의 가동률은 상반기 약 70%에서 하반기 60% 이하로 하락할 수 있다. 미국이 8월 1일부터 전 세계적으로 상호 관세를 시행함에 따라 웨이퍼 파운드리의 초기 주문 증가 모멘텀은 종료되고, 글로벌 소비재 시장의 지속적인 약세로 인해 성숙 노드에 대한 수요가 더욱 약화됐다. 신대만 달러(NTD)의 급격한 강세도 대만 반도체 산업, 특히 파운드리 업체에 부정적 영향을 끼친다. 기관 분석과 업계 데이터에 따르면 NTD가 1% 상승할 때마다 파운드리 매출 총이익률은 일반적으로 0.3%에서 0.5% 감소한다. 업계 관계자는 "미국 반도체 기업 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