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윤진웅 기자] 중국 샤오미가 추진하는 전기차 개발 프로젝트가 난항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당초 세웠던 계획에 차질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는 것. 결국 제품 경쟁력 저하로 이어질 것이라는 전망이다.
[더구루=오소영 기자] 중국 샤오미가 전기차 배터리 공급사로 CATL과 BYD를 선정했다. 중국 1·2위 배터리 업체를 등에 업고 2024년 첫 전기차 출시에 박차를 가한다.
[더구루=윤진웅 기자] 중국 IT업체 샤오미가 오는 2024년 전기차 양산을 목표로 관련 사업부 규모를 확대하고 있다. 25일 업계에 따르면 샤오미의 전기차 사업부 인력이 500명을 넘어섰다. 지난달 300명에서 불과 한 달 새 200명이 늘었다. 오는 2024년 상반기 전기차 양산 계획을 실현하기 위해 지속해서 인력을 채용·투입한 결과다. 앞서 레이쥔 샤오미 최고경영자(CEO)는 지난달 '투자자의 날' 행사에서 "2024년 상반기부터 전기차 대량 생산을 시작하겠다"고 선언한 바 있다. 샤오미 전기차 사업이 가속화할 전망이다. 샤오미는 일단 전기차 사업 초기 자금으로 10년간 100억위안 (한화 약 1조8426억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이미 '샤오미자동차' 법인 등록도 마쳤다. 레이쥔 CEO가 샤오미자동차도 함께 이끌어나갈 예정이다. 자율주행 전기차 개발도 병행하고 있다. 샤오미는 지난 9월 자율주행차 업체 '딥모션'을 7737만달러(약 910억원)에 인수했다. 딥모션 직원 20여명은 샤오미 전기차 개발팀에 합류한 것으로 전해진다. 자국 라이다 개발업체 '허사이 테크놀로지'(禾赛科技, 이하 허사이)의 시리즈 D 라운드 펀딩에도 참여, 7000만 달러(약 82
[더구루=오소영 기자] 샤오미가 중국 장시간펑리튬의 자회사 간펑배터리테크놀로지(Ganfeng battery technology Co, 이하 간펑배터리)에 330억 여원을 쏟는다. 배터리 기술을 확보해 전기차 개발에 시동을 건다. 5일 업계에 따르면 샤오미는 샤오미양쯔강산업펀드를 통해 간펑배터리의 유상증자에 참여했다. 1억8750만 위안(약 330억원)을 투자해 3.51% 지분을 확보했다. 2011년 6월 설립된 간펑배터리는 휴대폰과 노트북 등 IT 기기에 탑재되는 소형 배터리를 생산·판매하는 회사다. 리튬이온·리튬인산철(LFP)뿐 아니라 전고체 배터리에 대한 연구도 활발하다. 중국 체리자동차의 코스틴(Costin) EC1에 LFP 배터리를 납품하며 사업 영역을 확대하고 있다. 샤오미가 간펑배터리에 투자한 배경은 배터리 기술 확보를 통한 전기차 출시에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샤오미는 지난 3월 스마트 전기차 사업 진출을 선언했다. 홍콩증시 공시를 통해 100% 출자 자회사를 만들고 15억2000만 달러(약 1조7350억원)를 쏟는다. 향후 100억 달러(약 11조4180억원)까지 투자를 늘리며 전기차를 만들 계획이다. 배터리는 전기차 가격의 20~40%를 차지
[더구루=김은비 기자] 현대차 인도법인의 성공적 증시 데뷔 이후 글로벌 완성차 업계에 ‘인도 IPO 바람’이 불고 있다. 이번에는 세계 최대 자동차 메이커 토요타가 인도 자회사 기업공개를 추진, 최대 8억 달러 자금 확보에 나설 전망이다. 현대차에 이어 토요타까지 가세하면서 인도가 새로운 글로벌 완성차 'IPO 격전지'로 부상하고 있다.
[더구루=홍성환 기자] 미국 에너지부(DOE)가 오클로와 엑스에너지, 테레스트리얼 에너지 등 소형모듈원전(SMR) 기업을 첨단 핵연료 시범 사업자로 선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