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김다정 기자] 빙그레가 '바나나맛 우유+쭈쭈바'를 내세워 대만 아이스크림 시장 확대에 나섰다. 특히 바나나맛 우유의 현지 인기를 아이스크림 영역으로 확대, 대만을 홀린다는 각오다. 1일 업계에 따르면 빙그레는 편의점 '세븐일레븐 대만'을 통해 '바나나보이' 제품을 한정 수량으로 판매한다. 바나나보이는 짜먹는 튜브 형태의 아이스크림으로, 진한 바나나우유 맛을 자랑하는 게 특징이다. 빙그레의 주력 제품인 바나나맛 우유 단지 한 통을 그대로 얼린 것 같은 맛이다. 외관도 바나나모양으로 만들어 맛의 특징을 살렸다. 최근 빙그레는 스데티셀러인 바나나맛 우유를 통해 글로벌 시장에서 브랜드 인지도를 제고해 나가는 가운데 아이스크림을 추가로 선보이면서 시장 확대에 고삐를 죌 전망이다. 메로나와 함께 빙과시장에서 라인업을 확장하는 동시에 바나나맛 우유의 인지도 확대도 기대되는 대목이다. 빙그레는 지난 2004년 미국을 시작으로 태국 포함 중국, 대만, 홍콩, 뉴질랜드, 캐나다, 싱가포르, 필리핀, 말레이시아 등에 바나나맛 우유를 수출하고 있다. 최근에는 ‘단지가 궁금해’ 시리즈로 스테디셀러 바나나맛우유에 새로운 맛과 색깔을 입혀주는 제품을 선보이고 있다. 메로나의
[더구루=김다정 기자] 빙그레가 미국 시장에서 메로나 인기에 힘입어 '멜론 재발견' 기업으로 소개됐다. 미국 유력 매체인 뉴욕타임즈 자매지 'NYT 쿠킹'은 지난 3일(현지시간) 멜론의 재발견 제품으로 메로나를 소개하면서 “한 번도 먹어본 적이 없다면 가까운 한국 식료품점에 가서 즉시 구매해야 한다”고 극찬했다. 제조사인 빙그레에 대해서는 지난 1992년 메로나라는 신제품을 출시하면서 즉각적인 성공을 거두고, 미국 하와이 시장에서의 인기를 바탕으로 미국 본토까지 진출했다고 설명했다. NYT 쿠킹은 "(메로나는) 크리미하고 신축성이 좋으며 약간 쫄깃한 식감이 훌륭하다"며 "무엇보다 미국의 여느 아이스크림보다 덜 달고, 꿀과 이슬에 담근 듯한 꿀이슬의 에센스 향"이 난다고 평가했다. 매로나는 미국 시장에서 현지인들의 입맛을 사로잡으며 인기몰이를 하고 있다. 한인 교민 사회를 중심으로 시작된 메로나 인기는 아시아계는 물론 미국 주류 사회에서 인기를 끌고 있다. 미국 소비자들은 허니듀 메론 맛을 선호하는 가운데 우유의 풍부한 부드러움과 메론 과일의 달달하고 상큼한 맛을 더해 인기를 끌고 있다는 평가다. 특히 지난 2017년 국내 빙과업계 최초로 미국 현지 생산을 결
[더구루=홍성일 기자] 인도 최대 배터리 제조사인 엑사이드 인더스트리(Exide Industries, 이하 엑사이드)가 현대자동차와 진행하는 전기차(EV)용 배터리 공동 개발 프로젝트가 순항하고 있다. 현대차는 엑사이드 뿐만 아니라 인도 배터리 제조사 다수로부터 '메이드 인 인디아' 배터리를 공급받아 현지 공급망 체계를 지속 강화한다는 목표다. [유료기사코드] 12일 업계에 따르면 엑사이드는 최근 진행된 투자자콜에서 "자회사인 엑사이드 에너지와 현대차의 계약에 따라 배터리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현대차는 지난해 4월 엑사이드 에너지와 인도 전용 EV 배터리셀 현지화를 위한 전략적 업무협약(MOU)을 체결했으며, 12월에는 MOU의 연장선으로 구속력 있는 배터리 셀 공급 계약도 체결했다. 공시된 자료에 따르면 현대차 인도법인은 엑사이드 에너지로부터 계약서에 명시된 가격으로 배터리를 공급받는다. 엑사이드 에너지의 배터리 공급은 내년 초 본격화 될 것으로 전망된다. 엑사이드 에너지는 현재 벵갈루루에 리튬이온 배터리 셀 제조시설을 구축하고 있다. 엑사이드 에너지는 내년 1분기 중으로 해당 공장의 1단계 상업생산을 시작한다는 계획이다. 해당 공장의 1단계
[더구루=진유진 기자] 캐나다 광산기업 퍼스트 퀀텀 미네랄(First Quantum Minerals)이 파나마의 구리 광산 재가동에 대해 "조심스럽게 낙관적"이라는 입장을 내놨다. 이 광산은 한국광해광업공단(KOMIR)이 공동 투자한 사업으로, 지난 2023년 11월부터 1년 5개월째 가동이 중단된 상태다. [유료기사코드] 12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퍼스트 퀀텀은 코브레 파나마 광산 법인을 통해 파나마 정부를 상대로 제기했던 국제 중재 소송을 지난 달 자진 철회한 이후, 파나마 정부와의 협상 여건이 개선될 수 있다는 기대를 드러냈다. 최근 파나마 당국은 광산에 비축된 구리 정광 수출과 퍼스트 퀀텀이 운영 중이던 화력 발전소 재가동을 허용하는 방안을 두고 법적 논의를 시작했다. 호세 라울 물리노 파나마 대통령은 광산을 국가 자산으로 전환하는 새로운 민관 파트너십 모델을 검토 중이다. 그는 "광산 영구 폐쇄에는 최대 15년이 걸릴 수 있다"며 "우리가 이미 보유한 광산으로부터 파나마 국민이 최대한의 이익을 얻을 수 있도록 현명하게 대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당초 환경 감사에서 시작된 광산 재검토는 재무적 측면까지 확대될 전망이다. BMO 캐피털 마켓의 매트 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