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홍성일 기자] 인도네시아의 게임사 아이즈퍼가 대체불가토큰(NFT), 암호화폐 등을 결합한 새로운 게임을 출시했다. 글로벌 시장에서 블록체인 기반 게임이 계속해서 출시되고 있는 가운데 국내에서는 규제의 벽에 막혀 게임 출시가 막혀있어, 뒤쳐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아이즈퍼는 지난 21일(현지시간) 블록체인 기반 ARPG(액션롤플레잉게임) 아이즈퍼 체인의 알파테스트를 시작했다. 아이즈퍼는 9월부터 알파테스터를 모집해왔으면 2000여명의 테스터가 이번 알파테스트에 참가했다. 아이즈퍼 체인은 25제곱킬로미터(㎢) 규모의 필드를 자유롭게 탐험하며 다양한 스토리와 역할을 체험해볼 수 있는 액션 RPG다. 게임 내 에는 다양한 NPC캐릭터가 등장하며 이들과 상호작용을 통해 다양한 퀘스트를 진행할 수 있다. 아이즈퍼 체인의 가장 큰 특징은 NFT와 암호화폐 기술을 접목해 게임 플레이를 통해 수익을 올릴 수 있는 P2E(Play to Earn) 모델 구현했다는 것이다. 아이즈퍼 체인은 다양한 아이템을 NFT화해 가치를 부여했으며 아이템의 소유권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했다. 또한 탈중앙화 자율조직(DAO, Decentralized Auto
[더구루=홍성일 기자] 게임개발사 위메이드의 창업자인 박관호 의장이 미르4의 글로벌 흥행에 힘입어 자산 10억 달러를 돌파한 것으로 나타났다. 21일 포브스재팬에 따르면 박관호 의장의 자산은 12억 달러(약 1조4100억원)를 넘어선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박관호 의장의 자산이 급증한 것은 지난 8월 26일 글로벌 서비스를 시작한 미르4의 대흥행이 있었다는 분석이다. 위메이드는 지난 8월 26일 모바일 MMORPG(다중접속역할수행게임) 미르4의 글로벌 출시를 단행했다. 출시 이후 미르4의 유저는 빠르게 늘어갔으며 지난 14일 글로벌 동시접속자 80만명을 돌파했다. 게임 마케 플랫폼인 스팀에서도 동시접속자 5만 명을 넘어섰다. 미르4의 흥행에는 대체불가토큰(NFT)의 접목이 있었다. 미르4 글로벌은 게임 내에서 아이템 강화에 사용되는 '흑철'을 NFT화했으며 이를 암호화폐인 '드레이코'와 연동, 위믹스 플랫폼에서 거래할 수 있도록했다. 이를 통해 게임 플레이를 통해 수익을 올릴 수 있는 P2E(Play to Earn) 모델 구현에 성공했다. 미르4의 글로벌 흥행은 위메이드의 주가 급상승으로 이어졌다. 지난 8월 26일 종가기준 1주당 3만5867원이던 위메이드
[더구루=홍성일 기자] 일본 전자기업 맥셀(Maxell)이 극한 환경에서도 충방전이 가능한 전고체 배터리를 개발했다. 맥셀은 이번 달부터 샘플을 출하하며 상용화에 속도를 낸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중국발 이커머스(C-commerce) 공세가 거세지고 있다. 알리익스프레스(AliExpress), 테무(Temu)에 이어 패스트 패션 플랫폼 '쉬인(Shein)'이 한국 시장에서 폭발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 것. 쉬인은 올해 애플리케이션(앱) 다운로드와 웹 트래픽이 동시에 급증하며, 한국 시장에서 영향력을 빠르게 확대하는데 성공한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