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김형수 기자] 미국 제약업체 바이오젠(Biogen)이 다국적 제약사 비아트리스(Viatris)와의 다발성 경화증 치료제 텍피데라(Tecfidera) 특허소송에서 우군을 얻었다. 비아트리스 우세 흐름이 이어진 양측의 법적 공방에 변화의 기류가 일어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유료기사코드] 14일 업계에 따르면 미국화학학회(American Chemical Society)의 화학·법률담당 부서 CHAL은 미국 연방대법원에 제출한 서한을 통해 바이오젠 특허를 무효화한 이전의 판결에 문제의 소지가 있다고 비판했다. 미국 웨스트버니이자주 북부 지방법원과 미국 연방순회항소법원이 연달아 내놓은 바이오젠의 텍피데라 특허 무효화 판결에 대한 반론이 미국 학계에서 나온 것이다. 미국 법원은 바이오젠이 신청을 제출한 당시 임상 3상을 수행하지 않았으며, 따라서 바이오젠이 주장하는 용량 투여에 따른 효능에 대한 증거가 부족하다고 봤다. 이에 지연 방출 캡슐을 활용해 하루 480㎎의 디메틸푸마르산염(Dimethyl Fumarate)을 투여해 다발성 경화증을 치료하는 내용을 골자로 이뤄진 바이오젠 특허를 무효화하는 판결을 내렸다. CHAL은 바이오젠의 특허를 무효화하는 것
[더구루=김형수 기자] 미국 제약업체 바이오젠(Biogen)이 다국적 제약사 비아트리스(Viatris)와 벌인 다발성 경화증 치료제 '텍피데라'(Tecfidera) 특허소송에서 연이어 고배를 마셨다. [유료기사코드] 21일 업계에 따르면 미국 연방순회항소법원(United States Court of Appeals for the Federal Circuit)은 최근 텍피데라 관련 특허가 무효라는 1심 결정을 재고해달라는 바이오젠의 요청을 받아들이지 않았다. 지난 2020년 6월 서면 설명이 부족하다는 이유로 바이오젠이 보유한 텍피데라 관련 특허를 무효화한 미국 웨스트버지나아 북부 지방법원의 판결을 확인한 미국 연방순회항소법원이 지난해 12월 초 내린 기존 판단을 고수한 것이다. 바이오젠의 재심 청구를 기각하면서 텍피데라 관련 특허는 무효로 남게 됐다. 해당 특허는 지연 방출 캡슐을 활용해 하루 480㎎의 디메틸푸마르산염(Dimethyl Fumarate)을 다발성 경화증(Multiple Sclerosis)을 치료하는 내용을 골자로 이뤄졌다. 해당 특허가 유효했다면 오는 2028년까지 제네릭 경쟁을 미룰 수 있었으나 특허가 무효하다는 재판부의 결정이 나오면서 다른
[더구루=김형수 기자] 미국 제네릭 제약사 마일란 파마슈티컬(Mylan Pharmaceuticals·이하 마일란)이 개발한 심비코트(Symbicort)의 제네릭 의약품을 미국에서 사용할 수 있는 길이 열렸다. [유료기사코드] 16일 업계에 따르면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마이란이 개발한 심비코트(부데소니드·포르모테롤) 흡입 에어로졸의 첫 번째 제네릭 의약품을 6세 이상의 천식 환자의 치료 또는 만성폐쇄성폐질환(COPD) 환자의 유지 치료를 위해 쓸 수 있다고 승인했다. 미국 국립 심장·폐·혈액 연구소(National Heart·Lung and Blood Institute)에 따르면 천식은 2500만명에게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그들 가운데 500만명은 어린이인 것으로 추정된다. 천식은 알레르기 염증으로 인해 기관지가 반복적으로 좁아지는 만성호흡기 질환이다. 기관지가 좁아지면서 숨이 차고, 기침을 하고, 가슴이 답답해지는 증상이 되풀이된다. 만성폐쇄성폐질환을 앓는 환자는 1600만명이 넘는 것으로 추산된다. 기류 차단을 일으키고 심한 경우에는 호흡 곤란을 유발하는 만성질환이다. 마일란의 심비코트 제네릭 의약품은 이들 질환을 치료할 목적으로 개발된 정량식 흡입기
[더구루=홍성일 기자] 글로벌 인공지능(AI) 패권을 두고 미국과 경쟁하고 있는 중국이 자국산 반도체의 기술적 한계라는 벽에 부딪혔다. 딥시크의 자국 칩 사용 시도가 실패로 돌아가면서, 상당기간 중국이 미국 기술에 의존할 수 밖에 없을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유료기사코드] 23일 업계에 따르면 딥시크가 당초 5월 출시 예정이던 최신 거대언어모델(LLM) R2 출시를 당분간 미뤘다. 딥시크 R2 출시가 지연된 배경에는 중국 정부의 권고에 따라 도입한 화웨이 어센드(Ascend) 프로세서의 성능 문제가 있었다. 딥시크는 R2의 훈련 과정에 화웨이 어센드 칩으로 구성된 시스템을 도입했다. 문제는 어센드 칩 시스템이 단 한 번의 학습과정도 완료하지 못했다는 점이다. 화웨이 어센드 시스템은 R2 훈련에 필요한 막대한 양의 연산을 제대로 처리하지 못한 것으로 전해졌다. 결국 딥시크는 R2의 학습은 엔비디아 칩, 추론은 화웨이 어센드 칩을 활용하는 것으로 전략을 수정해야만 했고 출시도 지연될 수 밖에 없었다. AI 모델 개발에서 훈련은 방대한 데이터를 처리하며 모델을 만드는 가장 연산 집약적인 단계이며, 추론은 이미 학습된 모델을 활용해 결과를 도출하는 것으로 하드웨
[더구루=홍성일 기자] 생성형 인공지능(AI) 애플리케이션(앱)의 폭발적인 성장에 힘입어 사상 처음으로 비게임 앱의 지출 규모가 게임을 앞질렀다. AI 기술의 발전이 모바일 앱 시장의 지출 지형도를 바꾸고 있는 모양새다. [유료기사코드] 23일 모바일 데이터 분석기업 센서타워의 '2025년 2분기 디지털 시장 지표'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2분기 글로벌 모바일 인앱결제 수익은 전년 동기 대비 11.5% 증가한 410억 달러(약 57조3430억원)를 기록했다. 센서타워는 조사를 시작한 이래 분기 수익으로는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고 덧붙였다. 특히 이번 조사에서는 비게임 앱 지출이 전년 동기 대비 24%나 급증한 211억 달러(약 29조5100억원)를 기록, 200억 달러(약 27조9700억원)에 머문 모바일 게임 부문을 사상 처음으로 넘어섰다. 10년 전 게임 부문 매출은 비게임 앱에 6배에 달했었다. 비게임 앱의 매출 성장은 구독 모델의 보편화와 숏폼 플랫폼 틱톡의 수익화 전략 성공 등으로 모바일 결제에 대한 심리적 장벽이 낮아진 것이 일차적인 이유로 꼽힌다. 틱톡은 인앱 결제를 통해 크리에이터에게 보낼 가상 선물을 구매할 수 있도록 해 막대한 수익을 올리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