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홍성환 기자] 서학개미들 사이에서 월 배당주로 주목받는 미국 리테일 리츠(REITs) 리얼티인컴(Realty Income)이 실내농업 스타트업에 베팅했다. 실내농업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어 투자 가치가 충분하다는 판단에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유료기사코드] 리얼티인컴은 실내농장 기업 플렌티 언리미티드(Plenty Unlimited)와 수직농장 개발을 지원하기 위한 전략적 부동산 파트너십을 맺었다고 23일 밝혔다. 제휴에 따라 리얼티인컴은 플렌티에 개발 자금과 부동산을 지원할 예정이다. 계약 가치는 최대 10억 달러(약 1조3000억원)에 이른다. 양사는 우선 버지니어주(州) 리치몬드에 실내수직농장을 개발할 계획이다. 플렌티는 캘리포니아주 샌프란시스코에 본사를 둔 실내농업 스타트업이다. 전통적인 농업보다 최대 350배 생산성이 높은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실내농업은 첨단 기술로 환경 요인을 조절하는 실내에서 농산물을 재배하는 방식이다. 최첨단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기술을 통해 식물의 성장 과정을 통제하기 때문에 재래식 농업에 비해 높은 품질의 농산물을 얻고 생산성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글로벌 실내농업 시장은 2019년 1126억 달러(약 146조원
[더구루=홍성환 기자] 서학개미들 사이에서 대표적인 월 배당주로 주목받는 미국 리테일 리츠(REITs) 리얼티인컴(Realty Income)이 613개월 연속 배당을 실시했다. 30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리얼티인컴은 내달 13일 주당 0.2355달러의 배당을 실시할 예정이다. 리얼티인컴은 1969년 설립한 미국 대표적인 리테일 리츠다. 설립 이후 매월 배당을 실시, 월 배당주로 서학개미들 사이에서 유명하다. 1994년 뉴욕증권거래소 상장 이후에는 지급액을 111배로 늘렸다. 미국과 푸에르토리코, 영국에 소매용 상업 시설 6600여개를 보유했다. 세븐일레븐, 페덱스, 월마트 등 대형 프랜차이즈가 주요 임차인이다. 한국예탁결제원 증권정보포털 세이브로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국내 투자자의 리얼티인컴 순매수액은 9380만 달러(1080억원)로 미국 증시에 상장된 주식 가운데 31번째로 많았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세 둔화에 따른 부동산 경기 회복 기대감으로 리츠에 대한 주목도가 커지고 있다.
[더구루=홍성환 기자] 서학개미들 사이에서 '월 배당주'로 주목받는 미국 대표적인 리테일 리츠(REITs) 리얼티인컴(Realty Income)이 신주 발행을 통해 약 6800억원을 조달했다. 9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리얼티인컴은 920만주 규모 신주 공모를 마감했다. 이를 통해 5억9200만 달러(약 6820억원)를 모았다. 조달한 자금은 차입금 상환에 사용될 예정이다. 리얼티인컴은 1969년 설립한 미국 대표적인 리테일 리츠다. 월 배당주로 서학개미들 사이에서 유명한 종목이다. 실제로 한국예탁결제원 증권정보포털 세이브로에 따르면 지난달 9일부터 이달 8일까지 국내 투자자의 리얼티인컴 순매수액은 2540만 달러(약 290억원)로 해외 주식 가운데 11번째로 많았다. 8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증권거래소에서 리얼티인컴의 주가는 67.90달러(약 7만7980달러)로 연초 대비 8% 상승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세 둔화에 따른 부동산 경기 회복 기대감으로 리츠에 대한 주목도가 커지고 있다. 글로벌 부동산 서비스 회사 존스랑라살르(JLL)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미국 내 리츠 인수합병(M&A) 거래 규모는 700억 달러(약 80조원)에
[더구루=오소영 기자] 말레이시아 정부가 원전 사업에 대한 타당성조사에 나선다. 관련 부처·기관의 협업을 통해 국제원자력기구(IAEA)의 지침을 준수하고 국제 기준에 부합하는 원전을 건설한다는 계획이다. 에너지 전환에 한 걸음 다가가고자 원전 사업에 다시 시동을 걸었다. [유료기사코드] 21일 말레이시아 에너지전환수자원부(PETRA)와 월드뉴클리어뉴스 등 외신에 따르면 말레이시아는 신규 원전 도입을 위한 타당성조사를 시작한다. PETRA 산하 마이파워 코퍼레이션(MyPOWER Corporation)은 국제원자력기구(IAEA)의 지침에 따라 준비 작업을 주도한다. 각 부처와 관련 기관들이 협업하며 IAEA 마일스톤 접근법(Milestones Approach)을 따른다. 이 접근법은 처음으로 원전 도입을 검토하거나 계획하는 국가를 지원하고자 IAEA에서 권고하는 단계적 접근 방식이다. 원전 준비와 건설, 운영, 폐기 등 단계를 명확히 구분하고, 단계별로 필요한 활동과 고려사항을 제시한다. 제도적 기반 수립과 안전 관리 체계 구축, 인적 자원 개발, 이해관계자 참여 방안 등을 담고 있다. PETRA는 이번 조사를 통해 국제 표준을 충족하는 원전을 개발한다는 계획이
[더구루=정예린 기자] 일본 키옥시아가 포스트 5G·6G 시대를 겨냥한 고용량·고속 플래시 메모리 모듈 시제품을 개발하며 기술 한계를 뛰어넘었다. 대규모 인공지능(AI) 처리, 실시간 데이터 분석, 스마트 제조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디지털 전환을 가속화할 것으로 기대된다. [유료기사코드] 21일 키옥시아에 따르면 5TB 용량과 초당 64기가바이트(GB) 전송 속도를 동시에 구현한 플래시 메모리 기반 모듈 시제품 개발에 성공했다. 이번 연구는 일본 국가 연구개발기관 '신에너지산업기술개발기구(NEDO)'가 위탁한 '5G 이후 정보통신 시스템 인프라 강화 R&D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진행됐다. 이번 시제품은 기존 D램 기반 메모리에서는 달성하기 어려웠던 대용량과 고속 전송을 동시에 구현했다는 데 의미가 있다. 키옥시아는 각 메모리 보드에 컨트롤러를 체인처럼 연결하는 '데이지 체인' 구조를 적용, 플래시 메모리 수가 많아져도 데이터 전송 속도가 떨어지지 않도록 했다. 데이터를 더 빠르게 읽을 수 있는 '프리페치 기술'을 활용해 신호 왜곡을 보정하며 저전압 신호를 사용하는 기술로 메모리 대역폭을 높였다. 데이터 전송에는 기존 병렬 방식이 아니라 4레벨 전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