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김형수 기자] 아모레퍼시픽의 뷰티 브랜드 라네즈가 방탄소년단(BTS) 콜라보 제품을 선보이며 홍콩 시장에서 가파른 성장을 예고했다. 방탄소년단을 앞세워 북미를 넘어 홍콩 시장 공략에 가속도를 붙이겠다는 전략이다. 27일 업계에 따르면 라네즈는 다음달 1일 홍콩에서 '방탄소년단·아모레퍼시픽 립슬리핑 마스크 퍼플 에디션'을 출시한다. 아모레퍼시픽은 지난해 11월 방탄소년단의 'BTS PERMISSION TO DANCE ON STAGE’ 투어를 기념해 해당 제품을 출시했다. '스윗 퍼플 드림스!(Sweet Purple Dreams!)'라는 콘셉트를 표방했다. 달콤함이 특징인 거미 베어(Gummy Bear) 향을 활용해 '달콤한 보랏빛 꿈'이라는 메시지를 표현했다. 또한 아모레퍼시픽은 로스엔젤레스 콘서트 현장에 부스를 설치하고 홍보 영상을 상영하며 방탄소년단 콜라보 제품을 알렸다. 제품 상자에 방탄소년단의 투어 아트웍을 반영하고 제품 용기 전면에 BTS 로고를 입혀 소장 가치를 높였다. 방탄소년단 영향력은 고스란히 실적에 반영됐다. 지난해 4분기 아모레퍼시픽의 북미 지역 매출은 292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84% 증가했다. 립 슬리핑 마스크는 라네즈의 글
[더구루=김형수 기자] 아모레퍼시픽은 미국 여배우 시드니 스위니(Sydney Sweene)를 라네즈 뮤즈로 선정됐다. 시드니 스위니는 '마블 시리즈' 출연을 앞두고 있어 젊은층을 중심으로 라네즈 글로벌 판매 확대가 기대된다. 4일 업계에 따르면 아모레퍼시픽의 스킨케어 브랜드 라네즈는 첫 번째 미국 셀러브리티 파트너십으로 시드니 스위니를 발탁했다. 시드니 스위니는 미국에서 블루 히알루론산 성분을 활용해 더욱 효과적인 수분 공급 효과를 갖추게 된 라네즈 워터뱅크 콜렉션(Water Bank Collection)을 미국에서 홍보하는 역할을 맡게 됐다. 지난 2018년 넷플릭스 시리즈 '판타스틱 하이스쿨'에서 주연을 맡았던 시드니 스위니는 HBO MAX에서 방영되는 중인 '유포리아 시즌2'에서 주연인 캐시 하워드 역을 맡으면서 입소문을 타고 있다. 라네즈 역시 미국에서 인기몰이 중이다. 특히 립 슬리핑 마스크는 3초에 한개씩 팔려 베스트셀링 뷰티 제품으로 등극, 라네즈의 북미 성장을 견인하고 있다. 라네즈는 아마존에서 가장 많이 검색된 스킨케어 브랜드 '톱5'에 이름을 올렸다. 아모레퍼시픽이 지난해 성장세를 나타낸 미국 시장 공략에 힘을 싣는 모양새다. 지난해 미국을
[더구루=홍성일 기자] 글로벌 인공지능(AI) 패권을 두고 미국과 경쟁하고 있는 중국이 자국산 반도체의 기술적 한계라는 벽에 부딪혔다. 딥시크의 자국 칩 사용 시도가 실패로 돌아가면서, 상당기간 중국이 미국 기술에 의존할 수 밖에 없을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유료기사코드] 23일 업계에 따르면 딥시크가 당초 5월 출시 예정이던 최신 거대언어모델(LLM) R2 출시를 당분간 미뤘다. 딥시크 R2 출시가 지연된 배경에는 중국 정부의 권고에 따라 도입한 화웨이 어센드(Ascend) 프로세서의 성능 문제가 있었다. 딥시크는 R2의 훈련 과정에 화웨이 어센드 칩으로 구성된 시스템을 도입했다. 문제는 어센드 칩 시스템이 단 한 번의 학습과정도 완료하지 못했다는 점이다. 화웨이 어센드 시스템은 R2 훈련에 필요한 막대한 양의 연산을 제대로 처리하지 못한 것으로 전해졌다. 결국 딥시크는 R2의 학습은 엔비디아 칩, 추론은 화웨이 어센드 칩을 활용하는 것으로 전략을 수정해야만 했고 출시도 지연될 수 밖에 없었다. AI 모델 개발에서 훈련은 방대한 데이터를 처리하며 모델을 만드는 가장 연산 집약적인 단계이며, 추론은 이미 학습된 모델을 활용해 결과를 도출하는 것으로 하드웨
[더구루=홍성일 기자] 생성형 인공지능(AI) 애플리케이션(앱)의 폭발적인 성장에 힘입어 사상 처음으로 비게임 앱의 지출 규모가 게임을 앞질렀다. AI 기술의 발전이 모바일 앱 시장의 지출 지형도를 바꾸고 있는 모양새다. [유료기사코드] 23일 모바일 데이터 분석기업 센서타워의 '2025년 2분기 디지털 시장 지표'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2분기 글로벌 모바일 인앱결제 수익은 전년 동기 대비 11.5% 증가한 410억 달러(약 57조3430억원)를 기록했다. 센서타워는 조사를 시작한 이래 분기 수익으로는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고 덧붙였다. 특히 이번 조사에서는 비게임 앱 지출이 전년 동기 대비 24%나 급증한 211억 달러(약 29조5100억원)를 기록, 200억 달러(약 27조9700억원)에 머문 모바일 게임 부문을 사상 처음으로 넘어섰다. 10년 전 게임 부문 매출은 비게임 앱에 6배에 달했었다. 비게임 앱의 매출 성장은 구독 모델의 보편화와 숏폼 플랫폼 틱톡의 수익화 전략 성공 등으로 모바일 결제에 대한 심리적 장벽이 낮아진 것이 일차적인 이유로 꼽힌다. 틱톡은 인앱 결제를 통해 크리에이터에게 보낼 가상 선물을 구매할 수 있도록 해 막대한 수익을 올리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