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정등용 기자] 우리금융지주가 다올금융그룹 계열사 다올인베스트먼트를 인수한다. 비은행 포트폴리오를 강화해 종합금융그룹으로 한걸음 더 나아가겠다는 행보로 해석된다. 우리금융은 27일 다올인베스트먼트 경영권 지분 52%를 인수하기 위한 주식매매계약(SPA)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우리금융은 오는 3월23일로 예정된 다올인베스트먼트 정기주주총회일에 거래를 종결하고 15번째 자회사로 편입할 예정이다. 다올인베스트먼트는 국내 1세대 벤처캐피털인 한국종합기술금융(KTB네트워크)에 뿌리를 두고 있다. 지난해 말 기준 약 1조4000억원 규모의 펀드를 운용하며 업계 톱5의 대형 벤처캐피탈 회사로 성장했다. 우리금융은 이번 인수로 비은행 포트폴리오를 강화하고 종합금융그룹으로 한걸음 더 나아갈 수 있게 됐다. 다올인베스트먼트는 혁신기업 투자를 통해 벤처기업의 성장을 돕는 기업금융 벨류체인의 한 축을 담당할 전망이다. 다올금융은 사업구조 재편의 일환으로 다올인베스트먼트 매각을 진행했다. 불투명한 금융시장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선택과 집중을 통해 그룹의 안정적 성장을 지속해 나가기 위한 결정이다. 이번 거래가 종결되면 다올인베스트먼트는 2125억원 규모의 유동성 자금을 확보
[더구루=홍성일 기자] 큐리언트(Qurient)의 독일 자회사인 QLi5 테라퓨틱스(QLi5 Therapeutics)가 신규 투자 유치에 성공했다. 13일 IB업계에 따르면 QLi5 테라퓨틱스는 시리즈A 투자 라운드를 통해 1000만 유로(약 140억원)를 조달했다. 이번 투자 라운드는 SV인베스트먼트, 독일 KHAN 테크놀로지 트랜스퍼 펀드1, 에이티넘인베스트먼트, 다올인베스트먼트 등이 투자자로 참여했다. QLi5 테라퓨틱스는 이번 투자금을 사용해 다양한 적응증을 치료할 수 있는 프로테아좀 억제제 파이프라인들을 개발할 계획이다. 프로테아좀은 잘못 접히거나 손상 혹은 역할을 다한 단백질을 제거하는 세포 '쓰레기 처리 시설' 역할을 한다. 세포 생존에 중요하며, 프로테아좀이 단백질을 제거하는 메커니즘에 문제가 생기면 암, 염증 및 자가면역 질환을 야기 할 수 있어, 해당 질환들의 치료 표적으로 연구 되어 왔다. 노벨상 수상자이자 회사 공동 설립자인 로버트 후버 교수가 프로테아좀 전문 지식을 보유 하고 있다. 그가 몸 담고 있는 막스 플랑크 생화학 연구소와 리드 디스커버리 센터(LDC)는 다년간의 협력을 바탕으로 QLi5는 차세대 프로테아좀 치료제 플랫폼을 구축
[더구루=홍성환 기자] 국내 벤처캐피털(VC) 다올인베스트먼트가 인도 미디어·엔터테인먼트 스타트업 러스크 미디어(Rusk Media)에 투자했다. 18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다올인베스트먼트는 러스크 미디어의 950만 달러(약 130억원) 규모 시리즈A 자금조달 라운드를 성공적으로 완료했다. 다올인베스트먼트와 오데시티벤처스가 공동으로 주선한 이번 펀딩에는 인포엣지벤처스·미스트리벤처스·수르밤파트너스 등이 참여했다. 인도 뉴델리에 본사를 둔 러스크 미디어는 지난 2019년 설립한 미디어·엔터테인먼트 기업이다. 올라이트와 플레이그라운드 등 두 개 플랫폼을 운영하며 드라마, 음식·패션·여행 콘텐츠, e-스포츠 등의 영상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월 이용자가 5억명에 이른다. 이와 함께 자사 IP(지식재산권)을 활용한 소셜 게임 플랫폼 구축도 추진 중이다. 인도 미디어·엔터테인먼트 시장은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코트라에 따르면 지난해 인도 미디어·엔터테인먼트 시장 규모는 215억 달러(약 28조1400억원)로 전년 대비 16.4% 성장했다. 오는 2024년까지 연평균 13% 성장해 310억 달러(약 40조5800억원)에 이를 전망이다.
[더구루=정등용 기자] 다올인베스트먼트가 투자한 인도 부동산 플랫폼 노브로커(NoBroker)가 함박웃음을 짓고 있다. 최근 인도 주요 대도시를 중심으로 부동산 임대 수요가 폭증하고 있어서다. 26일 노브로커는 지난 4월부터 6월까지 플랫폼에 등록된 부동산 임대 매물 40%는 광고 게시 후 6시간 안에 계약이 성사됐다고 밝혔다. 지역 별로 보면 벵갈루루의 경우 24시간 안에 계약된 건수가 1만8000건에 달했으며 첸나이가 7000~8000건, 푸네와 하이데라바드가 각각 5000건을 기록했다. 이는 코로나19 발병 이전보다 평균 5배 증가한 수준이다. 부동산 임대 수요가 증가한 것과 관련해 노브로커는 코로나19 발병 이후 재택 근무가 늘어난 것이 주 요인이라고 분석했다. 많은 기업들이 여전히 재택 근무를 시행 중이기 때문에 특히 임대 아파트에 대한 수요가 증가했다는 설명이다. 아밋 아가왈 노브로커 최고경영자(CEO)는 “부동산 임대 수요가 높아지면서 임대 가치가 10~15% 상승하고 있다”면서 “회사 사무실과 학교가 문을 열면 이 같은 효과가 더 커질 가능성도 있다”고 전망했다. 노브로커는 현재 델리와 뭄바이, 벵갈루루, 하이데라바드, 첸나이, 푸네에서 부동산
[더구루=홍성환 기자] 인도 최대 음식 배달 플랫폼 조마토(Zomato)가 배달 스타트업 블링킷(Blinkit·옛 그로퍼스)의 인수를 확정했다. 7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조마토는 이사회 열고 블링킷을 445억 루피(약 7400억원)에 인수하는 것을 승인했다. 내달 주식매매계약을 체결할 예정이다. 조마토는 블링킷 인수를 통해 종합 배달 서비스 사업을 확대할 것으로 기대했다. 2013년에 설립된 블링킷은 식료품과 생필품을 빠르게 배달해주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스타트업이다. 조마토는 앞서 작년 8월 이 회사 지분 9%를 52억 루피(약 860억원)에 인수한 바 있다. <본보 2022년 6월 27일자 참고 : 미래에셋·네이버 투자 조마토, 인도 식료품 배달 '블링킷' 지분 추가 매입> 이번 매각으로 블링킷의 기존 주주들은 조마토의 지분을 대신 받을 예정이다. 최대 주주인 소프트뱅크가 2871만주(3.2%), 미국 헤지펀드 타이거글로벌 매니지먼트가 1234만주(1.3%)를 각각 받는다. 다올은 366만주를 받게 된다. 다올은 다올인베스트먼트를 통해 이 회사에 투자해 현재 지분 3.8%를 보유 중이다. <본보 2021년 9월 30일자 참고 : [단독] K
[더구루=홍성일 기자] 엔비디아(Nvidia)가 영국에 10만장이 넘는 그래픽처리장치(GPU)를 신규 공급하는 대규모 투자 계획을 발표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영국 국빈 방문에 맞춰 미국 기업들의 투자가 이어지는 모양새다. [유료기사코드] 엔비디아는 16일(현지시간) 데이터센터 파트너사인 엔스케일(Nscale), 코어위브(CoreWeave) 등과 협력해 내년 말까지 영국에 최신 '블랙웰 울트라(Blackwell Ultra)' GPU를 최대 12만 장 공급할 것이고 발표했다. 엔비디아는 이번 공급은 기존에 계약됐던 물량이 아니라 온전히 신규 주문된 것이라고 강조하며, 최대 110억 파운드(약 20조7260억원) 규모에 달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엔비디아는 이번 프로젝트는 유럽 최대 규모의 AI 인프라 구축 사업에 투입될 것이라며, 오픈AI(OpenAI)가 해당 시설을 사용하기로 확정했다고 덧붙였다. 앞서 블룸버그는 지난 12일 오픈AI와 엔비디아가 엔스케일과 손잡고 영국에 데이터센터 건설을 추진하고 있다는 보도를 한 바 있다. 엔스케일은 12만 장 중 절반인 6만 장 가량을 공급받는다. 공급 받은 GPU는 엔스케일과 오픈AI가 공동을 추진하고 있는 인
[더구루=길소연 기자] 일본 전기차 1위 닛산자동차가 배터리 부족으로 신형 전기차 '리프'(Leaf) 생산 계획을 축소한다. 중국의 희토류 수출 제한으로 인한 배터리 생산에 차질을 빚자 신형 전기차 생산을 줄인다. [유료기사코드] 17일 일본 경제지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에 따르면 닛산은 올해 출시 예정인 신형 전기차(EV) 리프의 생산 계획을 대폭 하향 조정했다. 배터리 조달 지연으로 이달부터 11월까지 3개월간 생산량이 기존 계획 대비 절반 이상으로 축소했다. 구체적인 생산량은 공개되지 않았지만 미국과 일본 시장에 공급되는 도치기현(栃木県) 가미노카와마치(上三川町) 공장의 생산량이 월간 수천 대까지 줄어들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공장은 전기차 생산 축소 계획에 따라 임시직 채용을 중단했다. 신형 리프는 닛산의 실적 개선을 위한 핵심 모델 중 하나로, 이번 계획 수정으로 닛산의 경영 구조조정 추진에 차질을 빚을 전망이다. 닛산은 2010년 12월 전기차 '리프'를 출시한 이후, 15년 가까이 월간 기준 선두 자리를 지켰다. 하지만 긴 시간 동안 업그레이드 없이 모델 수명을 이어간 탓에 지난 8월 판매량이 193대로 반토막 수준으로 떨어졌다. 이에 닛산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