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을 클릭하시면 해당 기사를 보실 수 있습니다. ▲ SK종합화학 = '스페인 합작사' 일복, 윤활기유 공장 증설 탄력 ▲ 롯데면세점 = 中 따이공 매출 비중 52%…전문 따이공 늘어 ▲ 바디프랜드 = 내년 1월 이탈리아 밀라노 출점 ▲ 삼성전자·LG전자 = 인도서 나란히 매출 '성장세' 기록 ▲ 삼성전자·LG전자 = "소비자 호도" LG 광고 디스전에 삼성 '항의' ▲ 티웨이항공 = 日 '구마모토·사가·오이타' 운항 중단 연장 ▲ 포스코인터내셔널·현대종합상사·LIG넥스원·풍산 = 멕시코 방산시장 '노크' ▲ 현대위아 = 멕시코 공장, 준공 3년만에 엔진 100만대 생산 ▲ 현대자동차 = 베뉴 인도 판매 '10만대' 초읽기…"확실한 볼륨 모델" ▲ 현대자동차 = '친환경 모험가' 피카르, 넥쏘 주행거리 신기록 '달성' ▲ 현대자동차 = 11월 인도 판매 4만4600대 판매 2%↑…기아차 4위 '껑충' ▲ 현대중공업·대우조선 = "양사 합병, 경쟁 저해 우려"…싱가포르, 예비심사 결과 발표 ▲ 현대중공업·대우조선·삼성중공업 = "해외 투자기관, 카타르 LNG선 건조자금 투자 꺼려" ▲ 한국야쿠르트 = 팔도 도시락, 러시아서 표기 위반으로 '행정명령'
'누워서 떡 먹기' 중견기업들의 일감 몰아주기를 두고 하는 말이다. 중견기업은 감시망을 피해 계열사를 부당지원하고 사익을 편취해왔다. 현행 공정거래법이 자산 5조원 이상의 재벌만 규제 대상으로 삼아서다. 중견기업의 일감 몰아주기에 대한 논란이 지속되면서 공정거래위원회는 올해 이를 집중 조사하기로 했다. 중견기업이 공정위의 새 타깃이 된 가운데 매일뉴스에서 이들의 일감 몰아주기 실태를 살펴봤다. -편집자주. GC녹십자의료재단은 임상 검사 전문 의료기관이다. 겉으로 비영리를 추구하나 속을 들여다보면 조금 다르다. 일감 몰아주기로 논란이 되고 있는 GC녹십자엠에스의 내부거래 중 90% 이상이 이 재단에서 나온다. 총수 일가는 GC녹십자엠에스를 지배해 배를 불리고 이를 통해 그룹 정점에 있는 회사의 지분을 사들인다. 비영리를 표방하는 재단이 총수 일가의 사익 편취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다는 분석이다. ◇녹십자엠에스 내부거래, 녹십자의료재단에 집중 1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의약 관련 제품 제조 및 판매업체인 GC녹십자엠에스는 2014~2018년 매출액 대비 내부거래 비중이 20% 안팎이었다. 2014년 18.7%에서 2015년 19%, 2016년 23.4%로 소폭 증
※제목을 클릭하시면 해당 기사를 보실 수 있습니다. ◆26일(화) ▲ SK·LG·포스코·GS = 인니 대통령 25일 회동…투자 확대 논의 ▲ SK이노베이션 = 'LG 소송전' 美 초대형 로펌 선임…"드림팀 뜬다" ▲ 기아자동차 = X씨드, 유럽 2019 골든 스티어링휠 어워드 수상 ▲ 기아자동차 = 유럽서 '순정 부품' 강조…셸과 손잡고 '순정 오일' 출시 ▲ 롯데건설 = 베트남 고급 아파트 개발 속도…현지 개발사에 1100억원 투자 ▲ 롯데면세점 = 그때는 틀리고 지금은 맞다?…신동빈, 인천공항 면세점 내달 재도전 ▲ 삼성엔지니어링 = 美 텍사스 LNG 착공 '초읽기' ▲ 삼성중공업·현대로템·KAI = 말레이시아 총리 회동…“추가 수주 모색” ▲ 한국항공우주산업(KAI) = 英 MBDA "KF-X, 공대공 미사일 공급" ▲ 현대·기아자동차= '불만송'을 현대차가 만들었다고?…"B급 감성로 미래고객 잡아라" ▲ 현대자동차 = 팰리세이드 美서 1만1000여대 리콜…'에어백 불량' ◆27일(수) ▲ LG디스플레이 = 日 JOLED, 잉크젯 OLED 공장 완공 ▲ LG전자 = '특허괴물' 와이랜과 특허분쟁 합의 ▲ SK이노베이션 = '시노펙 합작사' 중한석화, 中
※제목을 클릭하시면 해당 기사를 보실 수 있습니다. ▲ LG그룹 = LG전자·2.5세…구광모호 인사 키워드 ▲ SK이노베이션 = "SK 최고" 잭슨카운티 美서 '올해의 투자' 선정 ▲ SK텔레콤 = 5G 기술 담금질…에릭슨 '클라우드 패킷 코어' 도입 ▲ 삼성엔지·코오롱글로벌·포스코건설 = 베트남 정부, 호찌민 하수처리 입찰 재고 요청 ▲ 삼성전자 = 베트남서 3년 연속 매출 1위 기업 '예약' ▲ 삼성전자 = 외신 "삼성, 베트남서 LG 광고 신고" ▲ 삼성중공업 = '890억 벌금 폭탄' 뇌물 액수는 ▲ 한국전력 = 프랑스 악사, 석탄화력 기업에 등 돌려 ▲ 한국항공우주(KAI) = 말레이시아 '경공격헬기' 도입사업 3년째 표류 ▲ 한화테크윈 = '기회의 땅' 인도네시아 보안시장 진출 ▲ 현대·기아자동차 = 인도 수출 첨병 역할…상위 10개 중 4개 차지
※제목을 클릭하시면 해당 기사를 보실 수 있습니다. ▲ CJ대한통운 = 말레이시아 자회사 3분기 연속 적자…수익성 '숙제' ▲ LG전자 = 블랙프라이데이 기간 국내 절반 가격에 TV 판매 ▲ LG화학 = 인도네시아 배터리 투자 '가시화'…사업타당성 조사 완료 ▲ SK이노베이션·LG화학 = 완성차 업체 "합의 촉구"…배터리 소송전 '변수' ▲ 기아자동차 = '셀토스' 남아공 출격…인도 공장서 수출 ▲ 롯데마트 = 인도네시아 정부 "대형 할인점, 인허가 엄격한 잣대 적용" ▲ 삼성전자 = "실물 '갤럭시 S11+' 공개된 렌더링과 차원이 다르다" ▲ 삼성전자 = 갤럭시 폴드, 베트남서 6시간 만에 매진…'완판 신화' 이어간다 ▲ 신라면세점 = 홍콩공항서 몽블랑 제휴 부티크 오픈 ▲ 에어서울 = "운항 재개해 달라"...'日시민 3132명' 서명 탄원서 제출 ▲ ㈜STX = 플라스틱 재활용 사업 드라이브 ▲ 현대중공업·삼성중공업 = 모잠비크발 LNG선 8척씩 수주…총액 3.4조
※제목을 클릭하시면 해당 기사를 보실 수 있습니다. ▲ LG화학·한화케미칼·애경유화 = 터키, 한국산 친환경 가소제 반덤핑 관세 ▲ STX = 중남미 방산시장 정조준…'페루와 공동전선 구축' ▲ 기아자동차 = 2025년 中서 레벨4 자율주행차 생산한다 ▲ 넥슨 = 김정주, '레고 성지' 브릭링크 매각…'금액 비공개' ▲ 대상 = 필리핀 사업 확대 추진…정홍언 사장, 두테르테 대통령과 협의 ▲ 대한항공 = 세계 최고 항공사 '톱10' 진입 2년째 실패 ▲ 미래에셋자산운용 = 인도 '공유 스쿠터' 스타트업 투자 추진 ▲ 삼성전자 = CES 프레스 컨퍼런스 한 텀 쉰다 ▲ 예금보험공사 = 캄코시티 해결 실마리 찾나?…캄보디아 정부 '정상화 의지' 밝혀 ▲ 제일기획 = HP 출신 광고전문가 영입…삼성 모바일 마케팅 전략 바뀌나? ▲ 포스코인터내셔널 = 가나에 팜오일 정제소 설립…ADB 지원사격 ▲ 한국공항공사 = 페루 친체로 신공항 건설 전초기지 마련…지사설립 추진 ▲ 한국타이어 = '헝가리 공장' 사흘간 생산 중단…오너 공백 이어 악재 ▲ 현대건설 = 필리핀 철도 사업 '물밑 수주전'…두테르테 대통령 회동 ▲ 현대중공업·현대건설기계 = 배상금 이어 전 법률대리인
※제목을 클릭하시면 해당 기사를 보실 수 있습니다. ▲ LG디스플레이 = 日 JOLED, 잉크젯 OLED 공장 완공 ▲ LG전자 = '특허괴물' 와이랜과 특허분쟁 합의 ▲ SK이노베이션 = '시노펙 합작사' 중한석화, 中 원유 수입 쿼터 획득 ▲ 기아자동차 = 美 '포스 마케팅'과 손잡고 '옴니 채널 마케팅' 강화 ▲ 대우건설 = 카타르 NFE 프로젝트 입찰 연기…"선박 발주 연기 가능성 ▲ 롯데마트·이마트·홈플러스 = 할인점 '빅3' 녹색매장 비교 ▲ 삼성전자 = 갤럭시 S11 '엑시노스 990 탑재 모델' 벤치마크 공개 ▲ 한국가스공사, LNG 캐나다 설비증설 참여 추진 ▲ 현대자동차 = '유니버스' 내세워 日 시장 공략…전시회 '버스테크' 참가 ▲ 현대중공업·대우조선해양·삼성중공업 = 러시아발 '6.8조' 선박 발주 랠리 시작된다 ▲ 현대제철·세아제강 = 美 스탠더드 강관 관세폭탄 피하나 ▲ 효성중공업 = 중동 전시회 참가…전력 기술 뽐낸다
※제목을 클릭하시면 해당 기사를 보실 수 있습니다. ▲ SK·LG·포스코·GS = 인니 대통령 25일 회동…투자 확대 논의 ▲ SK이노베이션 = 'LG 소송전' 美 초대형 로펌 선임…"드림팀 뜬다 ▲ 기아자동차 = X씨드, 유럽 2019 골든 스티어링휠 어워드 수상 ▲ 기아자동차 = 유럽서 '순정 부품' 강조…셸과 손잡고 '순정 오일' 출시 ▲ 롯데건설 = 베트남 고급 아파트 개발 속도…현지 개발사에 1100억원 투자 ▲ 롯데면세점 = 그때는 틀리고 지금은 맞다?…신동빈, 인천공항 면세점 내달 재도전 ▲ 삼성엔지니어링 = 美 텍사스 LNG 착공 '초읽기' ▲ 삼성중공업·현대로템·KAI = 말레이시아 총리 회동…“추가 수주 모색” ▲ 한국항공우주산업(KAI) = 英 MBDA "KF-X, 공대공 미사일 공급" ▲ 현대·기아자동차= '불만송'을 현대차가 만들었다고?…"B급 감성로 미래고객 잡아라 ▲ 현대자동차 = 팰리세이드 美서 1만1000여대 리콜…'에어백 불량'
'누워서 떡 먹기' 중견기업들의 일감 몰아주기를 두고 하는 말이다. 중견기업은 감시망을 피해 계열사를 부당지원하고 사익을 편취해왔다. 현행 공정거래법이 자산 5조원 이상의 재벌만 규제 대상으로 삼아서다. 중견기업의 일감 몰아주기에 대한 논란이 지속되면서 공정거래위원회는 올해 이를 집중 조사하기로 했다. 중견기업이 공정위의 새 타깃이 된 가운데 매일뉴스에서 이들의 일감 몰아주기 실태를 살펴봤다. -편집자주. 310억원짜리 회사로 7012억원짜리 기업을 거느린다. 이상웅 세방그룹 회장의 이야기다. 이 회장이 보유한 시스템통합업체(SI) 이앤에스글로벌은 ㈜세방의 최대 주주다. 아들이 있는 회사에 일감을 몰아줘 덩치를 키우고 이를 통해 얻은 배당금으로 그룹 지분을 확보하는 재벌들의 전형적인 승계 방식은 세방에서도 나타난다. 딸 또한 내부거래로 사익을 챙겼다. 이의순 명예회장의 차녀인 이상희씨는 부동산 임대업체 세방이스테이트의 일감 몰아주기로 배를 불렸다. ◇세방 경영 승계의 핵심 '이앤에스글로벌' 24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세방의 최대 주주는 작년 말 기준 이앤에스글로벌(지분 18.32%)이다. 이앤에스글로벌은 이상웅 회장이 지분 80%로 최대 주주에 올라있다.
※제목을 클릭하시면 해당 기사를 보실 수 있습니다. ◆19일(화) ▲ BMW = '테슬라 대항마' i4, 530마력에 제로백 4초 ▲ HDC현대산업개발 = 방글라 병원프로젝트 순항…현지 시멘트 공급계약 체결 ▲ LG전자 = 美 TV 영업담당 교체…'8K TV 대전' 전열정비 ▲ SK그룹= 최태원 동남아 공략 가속화…인니 산업부장관과 회동 ▲ 대한항공 = "취리히·바르셀로나 좌석 확대"…내년 하계시즌 유럽노선 강화 ▲ 롯데백화점 - 'BTS 정국 생활한복', 부산점 입점 '눈길' ▲ 삼성전자 = '안전 규격 충족' 차량용 반도체 '선점'…시놉시스 지원 ▲ 삼양식품 = '라이트 불닭볶음면' 싱가포르 상륙…인니·베트남 진출 속도내나 ▲ 칭화유니그룹 = 사카모토 유키오 전 엘피다메모리 사장 영입 ▲ 포스코 = '오디샤 프로젝트' 후유증 여전…폭력사태·피해보상 해결과제 '산적' ▲ 한화테크윈 = 유럽 영업망 확대…英 딜러사 추가 ▲ 현대자동차 = 팰리세이드 러시아서 디자인 특허출원…출시 사전준비 ▲ 현대자동차·LG화학 = 인니 산업부장관 방한…최종 투자 조율 ◆20일(수) ▲ LG전자·LG이노텍 = '광학필터 특허 침해' 美 ITC 피소 ▲ LG화학·삼성SDI·SK이
※제목을 클릭하시면 해당 기사를 보실 수 있습니다. ▲ LG화학 = 인니 산업부 장관 "배터리 공장 짓는다"…2.7조 투자 ▲ LIG넥스원 = 美 레이시온 '2년 연속' 우수협력사 선정…"기술력 인증" ▲ 메르세데스 벤츠 = 마이바흐, 초럭셔리 SUV 'GLS 600' 공개…"내년 하반기 출시" ▲ 이노션 = 中 틱톡 대행사 수주전 출사표 ▲ 삼성전자 = '갤럭시 A71' 렌더링 이미지 노출…내년 초 출시 ▲ 삼성전자 = '이재용 재판' 美 연방양형기준 8장 공부하나 ▲ 삼성전자·애플 = 佛 유명 정치인 "환경오염 주범"…스마트폰 광고 중단 촉구 ▲ 포스코인터내셔널·한국석유공사 = 우즈베키스탄 신사업 '만지작' ▲ 한국가스공사 = 그리스 정부, 키프로스 해상광구 개발 연장 승인 ▲ 현대로템 = 우크라이나 정부 "고속열차 10대 구매 합의“ ▲ 현대자동차 = 유럽 축구 마케팅 강화…이번엔 여성 프로팀 후원 ▲ 현대자동차 = 러시아서 베뉴 디자인 특허 출원…SUV 라인업 강화 ▲ 호텔롯데 = "3억 침대서 1박 1100만원" 뉴욕 팰리스호텔, '숙면 끝판왕' 등극
※제목을 클릭하시면 해당 기사를 보실 수 있습니다. ▲ LGU+ = 핀란드·中 넘어 베트남…'5G 로밍' 영토 확대 ▲ SK그룹 =인니 산업부 장관 "SK, 석유화학사업 투자 추진"…실사팀 파견 ▲ SK바이오텍 = 아일랜드 공장 노조 달래기 나서 ▲ 기아자동차 = 셀토스, 美서 '강한 놈'으로 재탄생…셀토스 X라인 ▲ 대한항공 = 내년 하계시즌 밀라노 노선 '주3→4회' 증편 ▲ 삼성전자 = 샤오미 '레드미 노트7S' 발화…삼성 ODM 전략 영향받나 ▲ 삼성전자 = 애플 심장부에 체험매장 오픈 ▲ 포스코건설 = '송도전쟁' 급반전…게일, 美법원 중재신청 ▲ 한국동서발전 = 美바이오매스 폐쇄 한 달…'찬반 공방' 가열 ▲ 한국야쿠르트 = 팔도 ‘틈새라면’ 日 시장 진출…"연간 100만개 판매 목표 ▲ 한국야쿠르트, 판매거점 축소하자 회사 떠나는 '야쿠르트 아줌마' ▲ 현대자동차 = 신형 아이오닉EV, 닛산 리프 성능 추월…주행거리 231km→273km 향상
[더구루=오소영 기자] 캐나다 인공지능(AI) 스타트업 텐스토렌트(Tenstorrent)가 미국 반도체 설계자산(IP) 업체 '블루 치타 아날로그 디자인(Blue Cheetah Analog Design, 이하 블루 치타)'를 품는다. 고성능 인공지능(AI) 반도체 요구에 대응할 대안으로 각광받는 '칩렛 기술'을 선제적으로 확보한다. [유료기사코드] 텐스토렌트는 1일(현지시간) 블루 치타를 인수했다고 밝혔다. 인수 금액은 공개되지 않았다. 블루 치타는 아날로그·혼성신호 설계 전문가인 엘라드 알론(Elad Alon) 박사가 2019년 설립한 회사다. 다이간 직접 연결을 통해 데이터 전송 속도를 높이는 '다이-투-다이(D2D)'와 시스템온칩(SoC) 내부 저속 병렬 데이터를 직렬화해 초고속으로 전송하는 '서데스(SerDes)' 등 칩렛 구현을 위한 핵심 IP를 보유하고 있다. 칩렛은 연산과 저장, 통신 등 기능별로 칩을 쪼갠 후 원하는 용도대로 재조립하는 방식이다. 고객사 요구에 따라 주문 제작이 가능하고, 수율 향상에도 용이하다. 이러한 장점 덕분에 회사별 맞춤형 설계를 필요로 하는 AI 반도체 시대에 주목받고 있다. 블루 치타는 칩렛 기술을 바탕으로 LG전자와
[더구루=홍성일 기자] 6월 마지막 주(23일~29일) 테슬라의 중국시장 주간 판매량이 2만 대를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모델Y 주니퍼의 선전으로 테슬라의 중국 판매량이 회복세를 보이고 있지만, 경쟁 모델 출시가 이어지면서 단기 성장에 그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2일 업계에 따르면 6월 마지막 주 테슬라 중국법인의 보험 등록은 총 2만680건을 기록했다. 이는 전주(1만3900건) 대비 49.3%, 전년동기 대비 46.7% 증가한 수치다. 또한 올해 2분기 주간 기록 최고치이기도 하다. 올해 2분기 테슬라 중국 판매량은 '상저하고'의 모습을 보였다. 실제로 10주차까지는 지난해 2분기보다 안좋은 성적을 거뒀다. 2분기 6주차의 경우 지난해 1만대 안팎으로 등록됐지만 올해는 3100대가 등록되는데 그쳤다. 테슬라 판매 약세는 모델Y 주니퍼 판매가 급증한 11주차에 들어서며 반전되기 시작했다. 이 기간 테슬라 중국법인은 전년동기 대비 32.5% 증가한 1만5500건의 보험 등록을 진행했다. 이에 테슬라의 2분기 중국시장 판매량은 전년동기 대비 10.9% 감소하는데 그칠 것으로 전망됐다. 테슬라 중국 판매 회복세는 모델Y 주니퍼가 주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