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홍성환 길소연기자] 문재인 대통령 집권 4년 차를 맞아 재계가 목소리를 키우고 있다. 특히 문재인 정권 내내 외면을 당했던 전국경제인연합회는 정부의 반(反)기업 법안에 쓴소리를 내면서 기지개를 켜고 있다. 또 현역 4대 그룹 총수가 20년 만에 경제단체장에 등판하는 등 경제 5단체의 수장을 모두 기업인이 맡게 됐다. 정권 5년차에 접어들면서 정부 입김이 점점 약해지는 사이 재계가 영향력을 확대하는 모양새다. 특히 여권의 4·7 재·보궐 선거 참패로 레임덕 가능성이 나오면서 재계의 목소리는 더욱 확대될 전망이다. ◇말문 트인 전경련…1년새 보도자료 2.1배 ↑ 8일 재계에 따르면 전경련은 최근 경제 회복을 위한 제언과 기업규제 반대 입장을 지속해서 내놓고 있다. 올해 들어 전날까지 44개 보도자료를 냈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 낸 보도자료(21개) 대비 2.1배 증가한 수치다. 실제로 올해 발표한 자료를 보면 △탄소세 △이익공유제 △복합쇼핑몰 의무휴업제 △중대재해처벌법 △집단소송제 △환경기술 및 환경산업 지원법 개정안 등 정부와 여권에서 추진하는 각종 기업 규제 법안에 반대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특히 지난달에는 부회장단도 개편했다. 임기가 끝난 박
[더구루=홍성환/길소연 기자] 신동주 전 일본 롯데홀딩스 부회장이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의 롯데홀딩스 대표이사직 해임을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고(故) 신격호 회장 100일재가 끝나고 롯데가 형제의 난이 다시 일어날 조짐이다. 28일 일본 외신에 따르면 신동주 전 부회장이 최근 신동빈 회장의 해임을 요구하는 주주 제안을 제출했다. 신동빈 회장은 앞서 이달 초 일본 롯데홀딩스 회장에 취임했다. 신동주 전 부회장은 "유죄 판결을 받은 당사자가 회장에 오르는 것을 이해하지 못한다"고 주장했다. 신 전 부회장은 롯데홀딩스 지분 2.2%를 보유하고 있다. 신동빈 회장은 박근혜 정부 국정 농단, 롯데 오너가 비리 사건과 관련해 작년 10월 징역 2년6개월에 집행유예 4년을 확정받았다. 두 형제는 지난 2014년부터 경영권 분쟁을 벌여왔다. 신격호 회장 별세 이후 신 회장이 한일 롯데 경영권을 모두 장악함에 따라 경영권 분쟁이 끝날 것처럼 보였지만, 신 전 부회장이 해임 요구로 다시 재점화했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프랑스가 유럽 최강 성능의 군용 슈퍼컴퓨터 '아스가르드(Asgard)'를 본격 가동하기 시작했다. 프랑스는 아스가르드를 활용해 군사 인공지능(AI) 개발 속도를 획기적으로 끌어올린다는 목표다.
[더구루=오소영 기자] 미국 텍사스주가 데이터센터 거점으로 부상하고 있다. 페르미 아메리카와 마이크로소프트(MS), 구글 등 주요 기업들이 투자를 추진하며 한국 기업들의 현지 진출이 더욱 빨라질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