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홍성일 기자] 이스라엘 바이오 기업 '나녹스(NanoX)'의 자회사 나녹스AI의 관상동맥 석회화(CAC) 솔루션 '헬스CCSng(HealthCCSng)'가 새롭게 업그레이드 됐다. 27일 업계에 따르면 나녹스AI는 최근 미국 식품의약국(FDA)로부터 헬스CCSng V2.0의 510k 승인을 획득했다. 헬스CCSng V2.0를 개발한 나녹스AI의 전신은 지난 2021년 8월 나녹스에 인수된 제브라 메디컬 비전이다. 나녹스AI는 심혈관계 솔루션인 헬스CCSng 외에도 FDA의 승인을 받은 영상 분석 솔루션만 10개 가량 보유하고 있다. 헬스CCSng는 CAC 관련 솔루션이다. CAC는 심장근육에 혈액을 공급하는 관상동맥에 칼슘, 지방, 콜레스테롤 등이 축적되며 형성되는 것으로 이를 수치화하면 심부전 등 미래의 심장관련 질환의 위험을 사전에 관리할 수 있다. CAC 수치가 가장 높은 축에 속하는 사람은 향후 심장 관련 급성 질환 발생 가능성이 일반 범주에 속한 사람보다 13배 이상 높다. 헬스CCSng V2.0에는 기존 솔루션에 △제로 CAC 카테고리 △수치형 CAC 점수 △CAC 카테고리 구성 등의 주요 기능이 추가됐다. 제로 CAC 카테고리는 CAC
[더구루=홍성일 기자] 중국 인공지능(AI) 개발자들이 미국의 반도체 제재를 피하기 위해 우회로를 이용, 허점을 파고 들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27일 업계에 따르면 중국 AI개발자들이 미국 기반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해 미국 정부의 고급 반도체 접근 제한 조치를 우회하고 있다. 현재까지 알려진 바에 따르면 일부 중국 조직들은 엔비디아의 그래픽처리장치(GPU)를 제3국 우회 방식으로 구매하려는 시도를 하기도 했다. 이에 미국 정부는 지난해 8월 사우디아라비아, 아랍에미리트(UAE) 등 일부 중동 국가에 추가 수출 허가 필수화 조치를 취했다. 중국 기업들은 미국의 반도체 수출을 피하기 위해 체계적으로 우회 수입로를 구축해온 것으로 전해졌다. 실제로 제3국을 통한 반도체 장비 수입은 물론 사람, 드론 등을 통한 반도체 밀수 등이 지속적으로 발각됐다. 그 중에서도 미국의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해 AI칩을 구매하지 않고도 같은 효과를 내는 방법을 많이 선택했다. 중국 기업들은 아마존 웹 서비스(AWS) 등을 이용하기 위해서 중개업체를 끼고 자신들의 이름을 가리는 방식을 주로 사용했다. 미국의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한 기관들에는 중국 국가 지원 연구기관인 저장 연구
[더구루=홍성일 기자] 전세계 하드 디스크(HDD) 핵심 공급 기지로써의 역할을 하고 있는 태국이 생산량 증대에 나선다. 태국 정부는 이번 투자로 경제 성장의 동력을 더하게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태국 투자위원회(BOI)는 26일(현지시간) 글로벌 스토리지 전문 생산기업 웨스턴 디지털(Western Digital Storage Technology)의 6억9300만 달러(약 9200억원) 규모 투자를 승인했다. 웨스턴 디지털은 클라우드, 데이터 센터 수요 증가에 따른 HDD 증산을 위해 투자를 준비해왔다. 태국은 전세계 HDD의 80%를 공급하고 있다. 실제로 태국의 HDD 생산이 천재지변으로 차질을 빚으면 전세계 HDD 가격이 출렁이는 상황도 연출돼왔다. BOI에 따르면 웨스턴 디지털은 야유타야의 방파인 산업단지, 프라친 부리의 304 산업단지에 HDD 및 주변기기 제조 공장을 건설한다. 웨스턴 디지털의 생산기지가 완성되면 태국의 HDD 연간 수출액은 2000억 바트(약 7조8160억원)로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BOI는 이번 웨스턴 디지털의 투자로 신규 고용도 크게 늘어날 것으로 예상했다. 또한 HDD, 전원공급 장치용 회로 기판, 플라
[더구루=홍성일 기자] 빛을 이용한 새로운 무선통신 기술인 '라이파이(Light Fidelity)'가 차세대 무선통신 옵션으로 떠오르고 있다. 아직까지 생태계 조성 작업이 진행 중이지만 발전 가능성이 무궁무진하다는 전망이다. [유료기사코드] 27일 업계에 따르면 올레드컴(Oldecomm), 더 라이파이 그룹(The Li-Fi Group) 등이 라이파이 제품 개발에 속도를 내고 있다. 이들 기업들은 라이파이 상용화가 늦어도 2029년 안에는 마무리될 것으로 보고 있다. 라이파이는 발광다이오드(LED) 조명의 꺼짐과 커짐을 이용한 무선통신 방식이다. 즉 정보가 전파가 아닌 빛(가시광선)을 통해서 전달되는 것이다. 라이파이가 가능한 것은 LED가 반도체 부품으로 이뤄진 광원인 만큼 사람들이 구분할 수 없을 정도로 빠르게 꺼졌다 켜지기를 반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라이파이 LED는 1초당 1억번을 켜고 끄고를 반복한다. 라이파이의 장점은 무엇보다도 엄청나게 빠른 전송 속도다. 라이파이의 이론상 속도는 224Gbps로 최신 와이파이 기술인 '와이파이7'의 이론상 최대 속도인 46Gbps에 비해 5배 빠르다. 또한 LED 조명을 활용하는 만큼 빛이 들어오지 않는
[더구루=홍성일 기자] 호리구치 코타로(Kotaro Horiguchi, 이하 호리구치) 대표가 이끄는 100스튜디오(원더블오 스튜디오)가 서울에 스튜디오를 설립한다. 글로벌 애니메이션 산업의 중심에서 일해온 호리구치 대표는 '십이대전', 'HELLO WORLD' 등의 애니메이션의 제작을 이끌었다. 그런 호리구치 대표를 이국 땅으로 이끈 것은 한국의 대학생들이 만든 애니메이션 티저 영상이었다. 26일 100스튜디오에 따르면 호리구치 대표는 그동안 한국 창작자들과 함께 일하며 확인한 역량과 예비 창작자들의 발전 가능성을 보며 100스튜디오의 서울 지사 설립을 결정했다. 아직 더위가 채 가시지 않은 날, 서울 지사 설립을 목표로 한국과 일본을 오가고 있는 호리구치 대표를 만났다. 2박 3일간의 짧은 일정 속에서 만난 호리구치 대표는 애니메이션 얘기를 하며 텐션이 높아졌다. 인터뷰 전 그가 제작한 작품에 대해 얘기했을 때 그는 자신의 작품에 대한 큰 애정을 드러냈다. 또한 한국인 동료들과의 에피소드, 청강문화산업대학교와의 산학협력 MOU에 대해서 얘기할 때는 한국 창작자들에 대한 높은 기대감을 보였다. 그는 한국 창작자들과 함께할 100스튜디오 서울 지사에 대한 큰
[더구루=홍성일 기자] 매사추세츠 공과대학(MIT) 연구팀이 '모래알 보다 작은 크기'의 마이크로 배터리를 개발하는데 성공했다. 새로운 접근방식으로 제작된 배터리가 등장하면서 마이크로 로봇 개발에 속도가 붙을 것으로 보인다. [유료기사코드] 26일 업계에 따르면 MIT 화학공학과 마이클 스트라노(Michael Strano) 교수가 이끄는 연구팀은 콜로이드 로봇(colloidal robotics)에 활용할 수 있는 아연-공기 마이크로 배터리 연구 결과를 공개했다. 해당 연구 논문은 14일(현지시간) 사이언스의 로봇전문 학술지 '사이언스 로보틱스(Science Robotics)'에 게재됐다. 연구팀은 기존에 연구되던 유선 마이크로 로봇은 외부에서 에너지원을 투입, 제어해야하는 만큼 투입되는데 한계가 명확하다고 봤다. MIT 연구팀은 세포 크기의 콜로이드 로봇 개발에 집중해왔다. 콜로이드는 1나노미터(nm)에서 100 마이크로미터 사이의 크기를 갖는 입자들로 구성된 혼합물의 일종으로, 입자들이 완전히 녹지 않고 입자형태로 용매가 되는 액체에 떠 다니는 모습을 보여준다. 지난 2018년에는 마이클 스트라노 교수가 이끄는 연구팀이 콜로이드에 마이크로 기판을 결합시킨
[더구루=홍성일 기자] 유비소프트가 인텔과 신작 액션게임 '어쌔신 크리드 섀도우스(Assassin's Creed Shadows)' 흥행을 위해 손잡았다. 실적 악화 등으로 위기에 처한 유비소프트와 인텔이 신작 콘텐츠를 앞세워 반전을 모색한다. [유료기사코드] 26일 업계에 따르면 유비소프트는 인텔을 어쌔신 크리드 섀도우스 공식 파트너로 선정하고 프로모션을 진행하기로 했다. 이번 파트너십에 따라 인텔의 특정 중앙처리장치(CPU)나 그래픽처리장치(GPU)를 구매하는 소비자에게는 어쌔신 크리드 섀도우즈가 제공된다. 이번 프로모션은 '인텔 게이머 데이(Intel Gamer Days) 2024'를 통해 진행된다. 인텔 게이머 데이는 매년 8월 말부터 9월 초까지 진행되는 이벤트로, 인텔의 CPU와 GPU는 물론 해당 부품이 장착된 노트북 등을 할인 판매한다. 특히 매년 공식 게임을 선정해 이 기간 이벤트 대상 제품을 구매하는 소비자들에게 게임 타이틀을 제공하고 있다. 2022년 게이머 데이에서는 콜오브듀티 모던 워페어2, 2023년에는 나이팅게일, 어쌔신 크리드 미라지 등이 제공됐다. 인텔 게이머 데이 2024는 내달 15일까지 진행된다. 인텔 게이머 데이 2024
[더구루=홍성일 기자] 러시아 IT기업들이 중국어와 한국어를 구사할 수 있는 직원을 대거 채용하고 있다.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러시아 IT 분야에 대한 아시아의 영향력이 더욱 커졌다는 분석이다. [유료기사코드] 25일 업계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7월까지 러시아 IT 기업들의 중국어 구사 가능 직원 채용 수요가 전년대비 31% 증가했다. 주 채용 분야는 프로그래머·개발자였다. 러시아 IT 기업들이 중국어 구사 가능 직원을 채용하고 나선 것은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해 서방 기업들이 철수한 자리를 중국 기업들이 채웠기 때문이다. 실제로 지난 1년동안 러시아 공식 안드로이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스토어인 '루스토어(RuStore)'에 등록된 중국 애플리케이션의 수는 5배가 증가했다. 러시아 IT 기업들은 중국산 애플리케이션을 수입해와 현지화 과정을 거쳐 루스토어 등에 출시하고 있다. 또한 휴렛패커드(HP), 지멘스, IBM 등이 공급한 장비들도 중국산 제품으로 교체됐다. 이에따라 장비의 원활한 사용을 위해서라도 중국어 구사 능력이 중요해졌다. 중국 기업들의 러시아 진출 외에도 러시아 IT 기업의 중국 수출이 증가하는 것도 이유가되고 있다. 러시아 IT 기업들은 중국
[더구루=홍성일 기자] 캘리포니아주를 기반으로 한 민주당 의원들이 연방정부에 중국 화웨이의 수출제한을 풀어달라는 요청을 하고 나섰다. 대선을 앞둔 가운데 바이든 행정부가 어떤 선택을 하게 될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25일 업계에 따르면 캘리포니아를 지역구로 둔 민주당 소속 알렉스 파딜라(Alex Padilla) 상원의원, 조이 로프그렌(Zoe Lofgren) 하원의원은 미국 상무부 알란 에스테베즈(Alan Estevez) 산업안보 차관에 서한을 보내 중국 기업에 대한 추가 제재가 미국 산업 경쟁력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를 표명했다. 이들은 화웨이 등 중국 기업들이 미국 기술에서 차단되면서 오히려 미국이 경쟁에서 뒤처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그러면서 "첨단 반도체 및 반도체 제조 장비 부문에서 미국의 경쟁력을 손상시키지 않는다는 것을 증명할 때까지 일방적인 추가 수출 통제를 중단할 것"을 촉구했다. 이번 서한은 상무부가 중국에 대한 추가 기술 수출 제한을 검토하고 나서면서 제출됐다. 민주당 정치인들이 중국에 대한 수출 규제를 풀어달라고 나선 것은 LAM리서치, KLA 코퍼레이션,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즈 등 반도체 기업들이 대거 캘리포
◇마브렉스 넷마블 블록체인 자회사 마브렉스(MARBLEX)가 게임 전문 글로벌 블록체인 플랫폼 '이뮤터블(Immutable)'과 함께 '게임 온, 체인 온(Game On, Chain On.)' 오프라인 행사를 개최한다. 게임 온, 체인 온은 내달 1일부터 일주일간 진행하는 '코리아 블록체인 위크 2024(KOREA BLOCKCHAIN WEEK 2024, KBW 2024)'의 사이드 이벤트로 9월 4일 오후 6시부터 자정까지 성수동에 위치한 복합문화공간 'MM성수'에서 진행된다. 행사장은 △게이밍 익스피리언스 존(Gaming Experience Zone) △포토부스 △쿵야 브랜드 NFT 존 △VIP 존 등으로 구성되며 방문객들은 각 부스를 방문해 마브렉스 온보딩 게임 시연, 기념사진 촬영 등을 자유롭게 즐길 수 있다. 특히 이번 행사를 통해 최초 공개되는 '쿵야 NFT(대체불가토큰)'도 확인할 수 있다. 이외에도 럭키 드로우, 보물 찾기 등의 다양한 현장 이벤트를 통해 쿵야 굿즈 등 풍성한 선물을 증정한다. 게임 온, 체인 온은 이벤트 주최 플랫폼 '루마(luma)'에서 마브렉스 검색 후, 초청 페이지 사전 등록을 통해 무료 참석할 수 있다. ◇디랩스 웹3 게
◇넷마블 넷마블이 액션 게임 '나 혼자만 레벨업:어라이즈' 최강의 헌터를 가리는 '나 혼자만 레벨업:어라이즈 챔피언십'을 개최한다. 이 행사는 나 혼자만 레벨업:어라이즈의 인기 콘텐츠인 '시간의 전장'으로 실력을 겨루는 대회로 24일부터 내달 30일 오전 9시까지 전국 2800개 PC방에서 예선전이 진행된다. 챔피언십에는 본인 명의의 계정을 보유한 만 19세 이상 이용자라면 누구나 참여 가능하다. 예선전 상위 32명의 참가자는 총 3라운드로 경기가 진행되는 본선에 진출하게 된다. 본선은 10월 5일 서울 잠실 비타500 콜로세움에서 열린다. 대회 총 상금은 1000만 원이며 에이수스(ASUS) ROG ALLY X, LG 울트라기어 OLED 게이밍 모니터, COLORFUL 커스텀 지포스 RTX 40 그래픽카드 등 각종 경품이 제공된다. 넷마블은 나 혼자만 레벨업:어라이즈 챔피언십 개최를 기념해 예선 참여가 가능한 PC방에서 이벤트도 진행된다. 해당 PC방에서 나 혼자만 레벨업:어라이즈를 1시간 이상 플레이한 이용자에게 PC방 마일리지와 함께 마정석 2500개를 지급한다. 이외에도 다양한 현장 이벤트와 함께 카카오엔터테인먼트·디앤씨미디어와 함께하는 이벤트 및 경
◇KT KT가 경기도 성남시에 위치한 판교 사옥에서 'DB-벨 세리머니(DB-Bell Ceremony)'를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오픈 이노베이션 센터에 입주한 11곳의 유망 벤처·스타트업의 상반기 성과를 공유하고 KT 그룹과의 사업협력 개시를 축하하기 위해서 개최됐다. DB-벨 세리머니의 DB는 입주기업들의 성공과 발전을 기원하는 'Development of Business'를 의미한다. 성공 경험을 모아 다 같이 'DB-벨'을 울리고 성공 노하우를 공유하고 축하하는 행사다. 입주 기업들 사이에서 DB는 사업의 큰 성공을 의미하는 일명 '대박'의 약자로 해석되기도 한다. DB-벨은 지난 3월 판교 오픈 이노베이션 센터 개소식 당시 KT와 입주기업의 협업 기반 성공 경험 창출을 기원하기 위해 설치했다. 상반기에 입주기업은 각종 지원 과제 선정, 사업 수주 및 KT와의 사업협력 추진 등 다양한 성과를 거뒀다. 반려동물 헬스케어 전문기업 '페보'는 KT Device본부와 함께 스마트 목줄을 통해 수집되는 반려동물의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한 맞춤형 마케팅 시범사업을 추진한다. AI 검색 전문기업 '에이아이오투오'는 신간 도서에 메타 데이터 구축과 생성형 AI를 활용
[더구루=김은비 기자] 테슬라 고성능 전기 SUV 모델 ‘모델 Y 퍼포먼스’의 신형 프로토타입이 시험 주행중인 모습이 미국 캘리포니아에서 포착됐다. ‘주니퍼(Juniper)’ 디자인이 적용된 첫 퍼포먼스 트림으로, 연내 출시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시장의 기대감을 끌어올리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1일 미국 전기차 전문 매체 일렉트렉(Electrek)에 따르면 모델 Y 퍼포먼스로 추정되는 프로토타입 차량이 테스트 주행 중인 모습이 캘리포니아 팔로알토에 위치한 테슬라 엔지니어링 본사 인근 도로에서 목격됐다. 이번에 포착된 차량은 전면 위장막이 씌워져 있었으나 실루엣과 휠 사양, 브레이크 구성을 통해 모델 Y 퍼포먼스임을 식별할 수 있다. 퍼포먼스 트림 전용인 플래드(Plaid) 20인치 휠과 대형 레드 브레이크 캘리퍼가 적용돼 있다. 이번 테스트 차량이 공개되면서 해당 트림 출시가 임박했다는 해석이 나온다. 테슬라는 지난 1월 모델 Y의 페이스리프트 버전인 ‘주니퍼’를 공개했으나 퍼포먼스 트림은 초기 라인업에 포함되지 않아 주문이 중단된 상태였다. 이번 신형 모델 Y 퍼포먼스는 외관뿐만 아니라 파워트레인, 배터리 효율 측면에서도 업그레이드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키옥시아가 차량용 반도체 시장을 겨냥해 유니버셜플래시메모리(UFS) 4.1 규격을 지원하는 내장형 낸드플래시 메모리 샘플링을 개시했다. 키옥시아는 미래 자동차 시장에 인공지능(AI)과 실시간 데이터 처리가 중요해지는 만큼 차량용 고성능 메모리의 필요성도 더욱 커질 것으로 보고있다. [유료기사코드] 1일 업계에 따르면 키옥시아 아메리카는 8세대 3D 낸드 기술 'BiCS 플래시(BiCS FLASH)' 기반 차량용 UFS 4.1 임베디드 메모리 디바이스의 샘플링을 시작했다. 용량은 △128GB △256GB △512GB △1TB로 구성됐다. 키옥시아는 해당 제품에 대해 차세대 인포테인먼트, 첨단 운전자 지원 시스템(ADAS), 텔레매틱스 등 다양한 차량 내 시스템의 요구사항을 충족하도록 설계됐다고 설명했다. 키옥시아는 UFS 3.1에서 4.1로 업그레이드되면서 순차 읽기와 순차 쓰기 성능은 각각 2.1배, 2.5배가 향상됐다고 설명했다. 임의 읽기와 임의 쓰기 성능은 각각 2.1배와 3.7배가 좋아졌다. UFS는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같은 모바일 기기에 사용되는 고속 내장형 저장장치 규격이다. 최신 버전인 UFS 4.1은 고속 데이터 처리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