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윤진웅 기자] 현대자동차가 태국 전기차 시장 공략을 토대로 올해 전년 대비 10% 성장 목표를 제시했다. 특히 내년에는 전기차 공장 가동이 예정된 만큼 현지 판매량과 브랜드 입지가 더욱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26일 현대차 태국판매법인에 따르면 올해 판매 목표를 4100대로 설정했다. 이는 전년 대비 10% 높은 수치이다. 지난해 판매량은 전년 대비 27% 감소한 3800대였다. 현대차는 판매 목표 달성을 위해 전기차 시장을 집중 공략할 계획이다. 방콕에 마련한 트루디지털파크(True Digital Park)에 '아이오닉 랩(IONIQ Lab)'을 통해 현지 시장 트렌드를 이끌어나간다는 방침이다. 트루디지털파크는 지난 2023년 마련된 브랜드 혁신 담당 허브 시설이다. 지속 가능한 혁신은 물론 친환경적인 미래를 설계해나가는 모습을 직관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특히 현대차 전기차 기술과 제품을 탐색할 수 있는 역동적인 공간을 제공하고 있다. 내년 판매 목표는 더욱 상향될 전망이다. 현대차는 오는 2026년 가동을 목표로 태국 수도 방콕 남동쪽 사뭇쁘라깐주에 전기차 반제품조립(CKD) 공장을 마련하고 있다. 이곳 공장 1호 전기차 모델은 아이오닉5로 낙
								[더구루=윤진웅 기자] 현대자동차그룹이 지난달 유럽 자동차 시장에서 4위를 기록했다. 양사 판매량 전년 동기 대비 3.7% 감소했으며, 점유율도 소폭 줄었다. 25일 유럽자동차공업협회(ACEA)에 따르면 현대차·기아는 지난달 유럽 시장에서 총 8만3297대를 판매했다. 이는 전년(8만6540대) 대비 3.7% 하락한 수치다. 유럽연합(EU) 회원국 27개와 유럽자유무역연합(EFTA) 소속 아이슬란드와 노르웨이, 리히텐슈타인, 스위스 등 4개국과 영국 판매를 합산한 결과다. 시장 점유율은 전년(8.5%)보다 0.1%포인트 감소한 8.4%로 집계됐다. 현대차그룹은 완성차 그룹별 월간 판매 순위는 4위를 유지했다. 폭스바겐그룹이 같은 달 26만8409대로 1위를 차지했고, 스텔란티스와 르노그룹이 각각 15만4079대와 9만8910대로 2위와 3위를 기록했다. 르노그룹과 현대차그룹의 판매 격차는 1만4613대이다. 토요타그룹은 8만270대로 현대차에 이어 5위에 랭크됐다. 6위부터 10위는 △BMW그룹(7만192대) △메르세데스-벤츠(4만2532대) △포드(3만1516대) △볼보(2만5172대) △닛산(2만5108대) 순으로 나타났다. 닛산을 제외하고 지난해 연간
								[더구루=윤진웅 기자]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이하 한국타이어)가 인도네시아 동자바 지역 리테일러 등과 파트너십을 공고히 했다. 현지 공식 파트너사와 함께 리테일러 네트워크 강화에 대한 의지를 담은 제품 교육 기회를 마련했다. 25일 업계에 따르면 한국타이어 인도네시아판매법인(PT Hankook Tire Sales Indonesia)은 지난 15~16일 양일간 현지 공식 대리점인 '아레나 반 인도네시아'(Arena Ban Indonesia, ABI) 가 동자바에서 주최한 리테일러 교육에 참여했다. 해당 교육은 한국타이어와 한국타이어 글로벌 브랜드 '라우펜'(Laufenn) 제품 지식을 강화하는 데 목적을 두고 진행됐다. 동자바 전역 60개 타이어 매장에서 총 120명이 참석했으며, 이들은 한국과 라우펜 승용차용 타이어(PCR)과 트럭 및 버스용 타이어(TBR) 제품에 대한 교육 기회를 얻었다. 한국타이어는 이날 새롭게 도입한 현지 보증 서비스도 선보였다. 도로 손상으로 인한 타이어 교체를 90일간 보장하는 내용이 골자다. 올해 판매된 타이어 제품(아이온 시리즈 포함)이 해당된다. 향후 가장 우수한 성과를 거둔 리테일러에게는 한국 생산 거점을 방문할 기회를 제공
								[더구루=윤진웅 기자] 현대자동차가 미국 공장 직원들의 복지 혜택 강화를 위한 투자를 아끼지 않고 있다. 지난해 육아비용 25% 수준에 달하는 보조금 지급을 결정한 데 이어 앨라배마공장 내 직원건강센터를 설립했다. 긍정적인 업무 환경 조성을 토대로 직원들의 사기를 끌어올리겠다는 의지가 엿보인다. 국내 노동조합은 현대차의 해외 사업장 직원 복지 행보를 면밀히 살피고 있다. 25일 몽고메리 상공회의소(Montgomery Area Chamber of Commerce, 이하 MACC)에 따르면 현대차 앨라배마공장(HMMA)은 직원 사기 진작을 위한 이니셔티브를 통해 직원 복지를 강화하고 있다. 직원 건강 지원 차원으로 최근 1400만 달러(한화 약 200억원) 규모 케어 센터를 오픈했다. HMMA 내 마련된 이 센터는 현장 의료와 물리 치료, 응급 대응, 피트니스 리소스, 팀 웨어 등 전반적인 직원 건강과 웰빙 서비스를 제공한다. 케어 센터 오픈에 앞서 지난해 3월에는 현지 육아 지원 플랫폼 투트리스(TOOTRIS)를 도입했다. 투트리스는 맞벌이 부모에게 가까운 보육원과 어린이집, 유치원 위치부터 정부 지원 보조금 등 육아 관련 다양한 정보를 전달하는 온라인 솔루션
								[더구루=윤진웅 기자] 테슬라가 모델S와 모델X 라인업을 이어가기로 했다. 미래 성장 목표와는 동떨어졌다는 점에서 '계륵'처럼 여겨지고 있지만, 여전히 브랜드 대표성을 유지하고 있다는 점을 높게 샀다.
								[더구루=윤진웅 기자] 한온시스템이 이탈리아 공장 폐쇄 검토 단계에 돌입하면서 노사 갈등이 발생하고 있다. 아직 노사간 협의 단계이지만, 이탈리아 파르티잔 국가연합(ANPI)이 공장 노조와 연대를 제안하면서 갈등이 격화되는 분위기다. 24일 업계에 따르면 ANPI는 최근 성명을 통해 한온시스템 이탈리아 베네벤토 공장 소속 이탈리아 금속노조(FIOM-CGIL, FIM-CISL)에 연대를 제안했다. ANPI는 "60여 명의 노동자가 종사하는 이곳 자동차 부품 공장은 내년 5월 생산을 중단하고 직원들을 모두 해고하겠다고 발표했다"며 "때문에 이들 노동자는 공장 정문 앞에서 피켓 시위를 벌이고 있다"고 연대 제안의 배경을 밝혔다. 이어 "재정적 어려움이나 저조한 성과가 배경이 된 것이 아닌 노동 비용이 낮은 국가로 생산을 이전하기 위해 추진되고 있다는 점에서 노동자의 존엄성을 왜곡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미 공장 경영진들이 탁월한 생산성을 인정했다는 이유에서다. ANPI는 당국의 적극적인 개입 필요성을 제기하면서 "이곳 공장은 수년간 인센티브와 사회적 안전망을 통해 성장을 했던, 즉 시민의 세금으로 혜택을 누렸던 곳"이라며 "인구 감소 등으로 경제적, 사회적으로
								[더구루=윤진웅 기자] 이스라엘 차량용 스마트 유리 및 첨단운전자보조시스템(ADAS) 개발 전문 업체 가우지(Gauzy)가 국내 자동차 부품 제조 업체 마바산업(MABA Industrial) 손 잡고 한국 상용차 시장에 인공지능(AI) 기반 운전자 지원 시스템을 선보인다. 한국을 중심으로 아시아태평양 상용차 시장에서의 입지를 확대할 방침이다. 24일 업계에 따르면 가우지는 최근 마바산업과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AI 기반 카메라 모니터 시스템(CMS) '스마트 비전'을 상용차에 탑재하기 위해서다. 마바산업의 30년간 노하우와 전략적 투자자인 현대자동차·기아 등 주요 한국 OEM 파트너사들과의 관계를 토대로 한국 상용차 시장에서 상당한 점유율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봤다. 한국 상용차 시장 연평균 규모는 25만5000대이다. 가우지 스마트 비전은 한국의 밀집된 도시 환경에 맞춰진 포괄적인 안전 솔루션을 제공한다. 고유한 사각지대와 제한된 기능이 있는 기존 거울을, 통합된 고화질 외부 카메라와 내부 캡 디스플레이 네트워크로 대체해 사각지대를 없애고 확장된 가시성을 확보했다. 번잡한 도시 거리와 환승 허브를 탐색하는 데 중요한 기능이다. 특히 상업용 차량용
								[더구루=윤진웅 기자] 테슬라가 모델Y 페이스리프트(부분변경) 모델(이하 모델Y 주니퍼) 고객 인도를 앞두고 공식 사용 설명서를 공개했다. 이전 모델과 비교해 달라진 사항들을 한 눈에 볼 수 있어 구매 결정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더구루=윤진웅 기자] 현대자동차가 중국 상하이에 인공지능(AI) 사업 다각화를 위한 100% 자회사를 설립했다. 자율주행을 미래 성장동력 삼아 경쟁력을 확보하고 신규 수요 모색에 나설 계획이다. 특히 그룹 미래 사업을 총괄하는 컨트롤타워인 '미래전략본부'가 이를 주도했다는 점에서 상하이 첨단기술연구개발 등 현지 R&D 인프라와 협업도 더욱 강화될 것으로 보인다. 24일 중국기업조회시스템(Qichacha)에 따르면 현대차는 최근 중국에 '현대 모던 코모 테크놀로지 유한회사'(Hyundai Modern Kemo Technology Co., Ltd.)'를 설립했다. 초기 자본금 2억1300만 위안(한화 약 422억 원)을 출자했다. △AI와 사물인터넷(IoT) 서비스,△AI 기반 소프트웨어 △AI 응용 소프트웨어 △AI 산업 응용 시슽템 통합 서비스 △AI 알고리즘 소프트웨어 등 개발을 위해서다. 현지 전략형 전기차 모델 출시 채비와 더불어 자율주행과 소프트웨어 정의 자동차(SDV) 시장에서 경쟁력 확보에 본격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무엇보다 전기차 기술력에 비해 상대적으로 자율주행 기술력이 부족하다는 현지 평가를 의식한 것으로 보인다. 특히 현대차는 연
								[더구루=윤진웅 기자] 미국 테슬라가 인도 전기차 시장 진출에 '고삐'를 죄고 있다. 모디 총리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만남으로 미뤄왔던 계획이 급물살을 탔다. 현지 전기차 시장 지각 변동이 불가피한 가운데 현대자동차·기아의 현지 전략에도 변화가 예상된다.
								[더구루=윤진웅 기자] 현대자동차가 미국에서 브랜드 최초 오프로드 전기차 아이오닉5 XRT(Extreme Rugged Terrain) 오프로드 성능을 뽐냈다. 23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차 미국판매법인(HMA)는 최근 캘리포니아 팜스프링스에서 현지 미디어 대상 아이오닉5 XRT 시승회를 진행했다. 지난해 9월 현지 출시 약 5개월 만이다. 시승회가 열린 팜스프링스는 미국 서부 사막 도시로 유명한 곳이다. HMA는 아이오닉5 XRT의 성능을 시험하기에 적합하다고 판단했다. 아이오닉5 XRT는 현대차 전기차 최초로 △듀얼 모터(AWD 기준)와 84kWh 배터리 △서스펜션 튜닝 △18인치 휠 등 총 19가지 독점적인 오프로드 기능이 탑재됐다. 새로운 리어 스포일러와 외장 색상 등 외관 디자인 또한 더 대담하고 견고해졌다. 아이오닉5 XRT는 오프로드 기능을 강화하기 위한 특별 설계를 기반으로 제작된 모델인 만큼 오프로드에서 뛰어난 성능을 발휘했다. 이날 켈리블루북과 로드앤트랙 등 시승회에 참가한 현지 미디어들로부터 잇딴 호평을 받았다. 로드앤트랙은 "머스탱 마하-E 랠리의 유일한 경쟁자"라고 평가했다. 아이오닉5 XRT를 통해 전기차 기술력을 입증한 현대차는 현지
								[더구루=윤진웅 기자] 중국 저장지리홀딩그룹(Zhejiang Geely Holding Group) 산하 브랜드 볼보의 신뢰도가 하락하고 있다. 생성형 AI 딥시크(DeepSeek) R1 탑재 예고에 따른 개인정보 유출 우려에 더해 최근 짝퉁 스피커 장착 논란까지 더해졌다. 22일 업계에 따르면 저장지리홀딩그룹은 산하 브랜드 차량에 딥시크 R1을 탑재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볼보와 로터스, 지리차, 지오메트리, 링크앤코, 프로톤, 프로톤, 지커, 스마트, 테라푸지아, 런던 EV 컴퍼니 등이 해당된다. 딥시크 R1의 최첨단 인지 기능을 스마트카용 풀 도메인 AI 기술 시스템과 연결해 스마트카의 인간-컴퓨터 상호작용과 지능형 운전 경험을 제공하겠다는 계획이다. 차량 내부와 외부 장면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잠재적인 요구를 적극적으로 분석하고, 사용자에게 △차량 제어 △심층적 대화 △애프터 서비스 등 다양한 지능형 경험을 제공할 것이라는 설명이다. 저장지리홀딩그룹은 이를 토대로 사용자의 지능형 상호작용 경험을 향상시키겠다는 방침이다. 궁극적으로 스마트카 분야에서 AI 기술 보급을 가속화하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다. 하지만 저장지리홀딩그룹의 이 같은 계획은 시작하기
									
									
									
									
									
									
									
									
									
									
									
									
									
									
									
									
									
									
									
									
									[더구루=이꽃들 기자] 배달의민족 모기업 딜리버리히어로(Delivery Hero)가 유엔(UN)의 새로운 환경 이니셔티브인 '딜리버리-E 연합(Deliver-E Coalition)'에 창립 멤버로 참여하며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을 대폭 강화한다. 이번 결정은 전 세계적으로 팽창하는 배달 서비스 시장에서 발생하는 환경적 영향을 최소화하고,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한 글로벌 리더십을 확보하겠다는 전략으로 풀이된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중국 배터리 제조사 고션 하이테크(Gotion High Tech, 이하 고션)가 스페인에 배터리 소재 공장 건설을 추진한다. 고션은 새로운 소재 공장을 기반으로 파트너사인 이노뱃(InoBat)을 지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