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윤진웅 기자] 기아가 중형 세단 K5 2023년형 신형 모델을 총 4가지 트림으로 미국 시장에 출시했다. GT라인을 새롭게 추가하고 기존 LX 트림은 지난해를 마지막으로 단종했다. 기아 미국판매법인(KA)는 16일(현지시간) 2023년형 K5를 출시했다고 밝혔다. △LXS △GT라인 △EX △GT 등 총 4가지 트림으로 구성했다. 트림별 MSRP(권장소비자가격)은 2만5090~3만1490달러(한화 약 3286만~4125만원)으로 책정했다. 기본 트림인 LXS의 경우 AWD는 제공되지 않는다. 다만 K5 최초로 선보이는 GT라인에 FWD와 AWD를 함께 구성해 선택 폭을 넓혔다. AWD 선택 시 열선 내장 스티어링휠이 기본으로 탑재된다. 파노라마 선루프 패키지도 선택할 수 있다. 기존 K5에 있던 LX 트림은 2023년형부터 목록에서 제외했다. 전면 방음 유리는 △GT라인 △EX에 표준 장착된다. 파워트레인은 1.6T GDI 엔진과 8단 자동 변속기 조합 또는 2.5T GDI 엔진과 8단 더블클러치 변속기(DCT) 등 총 두 가지로 구성했다. 각각 최고 180마력와 최대 195lb.-ft 토크, 최고 290마력과 최대 311lb.-ft 토크 성능을 낸
[더구루=윤진웅 기자] 미국 제너럴모터스(GM)와 포드가 전기차 판매 가격을 일제히 인상했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의 '인플레이션 감축법(the Inflation Reduction Act·이하 인플레 감축법)' 서명으로 로컬 브랜드의 전기차 지배력이 강화된 데 따른 자신감으로 해석된다. 손발이 묶여버린 현대자동차·기아의 상황과 대조되는 모습이다. 17일 업계에 따르면 GM과 포드는 최근 허머EV와 F-150 라이트닝 등 일부 전기차 모델 가격을 6000~8500달러(한화 약 787만~1114만원) 인상하기로 했다. 공급망 차질과 원자재 가격 인상 등을 고려했다는 설명이지만 인플레 감축법이 배경으로 꼽힌다. 인플레 감축법에 따라 책정된 전기차 세액 공제 금액인 7500달러(약 983만원)와 엇비슷한 수준이라는 이유에서다. 앞서 조 바이든 대통령은 16일(현지시간) 백악관 스테이트다이닝룸에서 이달 상·하원을 통과한 인플레 감축법에 서명했다. 이 법에는 내년부터 미국산 전기차에만 세액 공제 혜택이 주어진다는 조항이 포함됐다. 양사는 이번 가격 인상과 인플레 감축법은 전혀 연관이 없다는 입장이다. 법안 도입 전부터 계획된 일이라는 것이다. 무엇보다 세액공제와 연관
[더구루=윤진웅 기자] 기아 고성능 퍼포먼스 세단 '스팅어'가 호주 태즈마니아(Tasmania) 섬 고속도로 순찰차로 선정됐다. 스포티한 성능을 토대로 난폭 운전 등 법규를 위반한 차량 검거에 나선다. 17일 호주 태즈마니아 경찰 소셜미디어(SNS)에 따르면 태즈마니아 경찰은 지난 11일 기아 스팅어를 고속도로 순찰차로 채택했다. 공개된 사진 속 스팅어는 현지 규정에 따른 바디랩과 조명, 사이렌 등 호주 교통 순찰차 운용에 필요한 기능이 모두 탑재된 모습이다. 스포티한 외관 덕에 위압감이 배가되는 효과를 나타내고 있다는 평가다. 태즈마니아 경찰은 "새로운 고속도로 순찰차를 출시했다"며 "태즈매니아 전역 주요 도로에서 위험한 운전자들을 검거하고 선량한 시민들이 피해를 보는 일을 막겠다"고 강조했다. 호주 지역 경찰이 스팅어를 순찰차로 채택한 게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앞서 퀸즐랜드와 노던 테리토리 지역 경찰 등에서 스팅어를 순찰차로 사용하고 있다. 스팅어를 순찰차로 이용하는 대표적인 이유는 주행 성능이다. 스팅어 GT의 경우 3.3L 트윈터보 V6 엔진과 8단 자동변속기 조합으로 최고출력 368마력을 낸다. 난폭 또는 위협 운전 차량을 제압하기에 충분하다는 평
[더구루=윤진웅 기자] 기아가 인도네시아 현지 반조립(CKD) 생산을 추진한다. 현지 재계 서열 2위 살림그룹의 자동차 판매 계열사 인도모빌과 구체적인 방안을 놓고 협의하고 있다. 16일 기아 인도네시아 딜러 '크레타 인도 아르타'(Kreta Indo Artha·이하 KIA)와 업계에 따르면 기아는 최근 인도모빌과 현지 차량 생산을 추진하고 있다. KIA는 지난 2019년부터 현지에서 기아 관련 사업을 도맡아 운영하고 있는 인도모빌 산하 딜러사다. 기아와 동일한 이니셜을 갖고 있다. KIA는 "현재 기아는 인도모빌과 CKD 방식으로 현지 생산하기 위한 협의 단계를 진행 중"이라며 "현지 생산에 앞서 만반의 준비를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특히 현지 생산 관련 규제를 검토하는 데 시간을 들이고 있다"고 덧붙였다. 다만 구체적인 생산 모델에 대해서는 밝힐 수 없다고 전했다. CKD는 자동차 부품을 목적지에서 조립해 완성품으로 판매하는 방식을 말한다. 통상 개발도상국에 자동차를 수출할 때 사용된다. 수출국 입장에서는 완성품 수출보다 관세가 낮고 현지의 저렴한 노동력을 이용할 수 있다는 것이 장점이다. 개도국의 경우에는 완성품 수입보다 CKD 방식이 자국 공
[더구루=윤진웅 기자] 현대자동차 미국 자율주행 합작법인(JV) 모셔널이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로보택시 서비스를 개시했다. 실제 승객들의 피드백을 토대로 내년까지 완전 무인 목표를 달성하겠다는 계획이다. 모셔널은 16일(현지시간) 차량공유업체 '리프트'(Lyft)와 함께 라스베이거스에서 일반인을 대상으로 로보택시 서비스를 시작했다고 밝혔다. 지난 4년간 각종 테스트와 시범 서비스 운영 등 10만여명 승객 탑승을 토대로 데이터를 충분히 쌓았다는 설명이다. 다만 올해까진 안전을 위해 앞좌석에 인간 오퍼레이터를 운영하기로 했다. 혹시 모를 비상 상황에 대비하게 위해서다. 일단 이번 일반 대상 서비스 진행하면서 얻은 피드백을 토대로 안전성을 높여 내년 완전 무인 서비스로 변경하겠다는 계획이다. 탑승 전 이용 동의서 등 까다로운 절차도 모두 없앴다. 이용 요금 등 모든 서비스는 모두 무료다. 내년 완전 무인화에 따른 공식 파일럿 프로그램이 시작에 맞춰 요금을 책정, 유료로 전환할 예정이다. 이용 방법은 간단하다. 리프트 앱을 통해 로보택시를 호출, 도어 잠금을 해제하고 탑승하면 된다. 탑승 후 차량 내부에 설치된 터치스크린을 통해 행선지를 입력하거나 불편 사항이 발생
[더구루=윤진웅 기자] 현대자동차 미국 자율주행 합작법인(JV) 모셔널이 샌디에이고를 자율주행 차량 테스트베드로 추가했다. 지역별 특성에 따른 다양한 환경에서 데이터를 수집, 자율주행 성능을 극대화하겠다는 계획이다. 16일 업계에 따르면 모셔널은 최근 캘리포니아주 샌디에이고를 자율주행 차량 테스트베드로 추가, 테스트를 시작했다. 자율주행 차량 개발을 위해 다양한 환경에서 기술력을 쌓고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서다. 대도시마다 고유한 교통 규정과 지형, 기후가 있다는 것. 특히 샌디에이고를 선택한 이유는 샌디에이고 트롤리 시스템(San Diego Trolley System) 때문이다. 트롤리는 도심을 달리는 작은 트램(우리나라의 경우 경전철)을 말한다. 샌디에이고 지역은 미국에서 가장 복잡한 트롤리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 모셔널은 "우리 자율주행 차량은 트롤리 시스템에 대한 경험이 전무한 상태에서도 트롤리의 이동 방식을 이해하고 안전하게 주행을 마쳤다"며 "이미 앞서 여러 지역에서 수십만 시간 동안 테스트를 하며 쌓은 데이터 덕"이라고 설명했다. 모셔널은 샌디에이고에 앞서 △보스턴 △피츠버그 △라스베가스 △산타모니카 등 여러 지역에서 자율주행 차량을 실시한 것으
[더구루=윤진웅 기자] 독일 BMW가 2023년형 X5 M 페이스리프트(부분변경) 모델 출시를 앞두고 막바지 담금질을 진행하고 있다. 파워트레인 성능 여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16일 업계에 따르면 BMW는 최근 독일 뉘르부르크링에서 2023년형 X5 M 페이스리프트(부분변경) 모델 성능 테스트를 진행했다. 부분변경이 적용된 일부 전면과 후면에만 위장막을 씌운 모습이 포착됐다. 위장막에 가려져 있는 상태지만 헤드라이트와 전면 범퍼 부분이 바뀐 모습이다. 전면 헤드라이트가 기존 모델 대비 슬림하고 스포티한 형태로 만들어졌고 하부 그릴 쪽에는 레이더 센서가 장착됐다. BMW 상징인 키드니 그릴 디자인은 가로형으로 적용됐다. 새로운 라이트 기술을 탑재한 후미등은 기존 모델보다 뚜렷한 3차원 지오메트리를 자랑한다. 외관보다는 인테리어 변화에 치중한 것으로 보인다. iX에 탑재된 두 개의 고해상도 디스플레이를 탑재, 새로운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을 통해 운전자들의 만족도를 높였다. 안락함과 연결성, 운전 보조 장비 등도 업그레이드했다. 가장 큰 관심사는 파워트레인이다. BMW가 새롭게 개발한 S68엔진이 탑재될 것으로 업계는 예상하고 있다. 이 엔진은 V8 가솔
[더구루=윤진웅 기자] 미국 제너럴 모터스(GM) 프리미엄 브랜드 캐딜락이 독일 메르세데스-벤츠를 제치고 테니스 메이저대회 중 하나인 'US오픈'에 공식 차량을 후원한다. 미국 테니스협회(USTA)는 15일(현지시간) 캐딜락과 차량 후원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오는 29일 미국 뉴욕에서 개막하는 US오픈을 시작으로 차량 지원을 받기로 했다는 것. 이에 따라 메르세데스-벤츠와의 인연은 종료됐다. 캐딜락은 공식 차량 지원뿐 아니라 경기장 내 브랜드 첫 순수 전기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리릭' 전시 공간과 브랜드 체험 공간인 캐딜락쇼룸(Cadillac Showroom)도 설치한다. 아울러 토너먼트 기간 대회 코트 네트에 브랜드 로고를 삽입, 노출을 극대화한다. 캐딜락 운전자를 위한 특별 혜택도 마련했다. 캐딜락 차량을 이용해 US오픈 관람 시 유료 주차장의 요금을 면제하는 것은 물론 일부 운전자에게는 눈앞에서 경기를 볼 수 있도록 좌석 등급을 상향한다. 또 선착순 1만명을 대상으로 모자도 선물한다. 멜리사 그라디 디아즈(Melissa Grady Dias) 캐딜락 글로벌 최고 마케팅 책임자(CMO)는 "US오픈 공식 차량을 지원함으로써 우리는 캐딜락 브랜드
[더구루=윤진웅 기자] 현대자동차가 중국 운전자를 대상으로 한 기술경험지수 조사에서 '톱10'에 올랐다. 현지 브랜드 이미지와 인지도 제고 효과로 이어질 전망이다. 기아는 15위를 차지했다. 16일 J.D. 파워 차이나에 따르면 현대차 중국 합작사 베이징현대는 'J.D. 파워 2022 테크 익스퍼리언스 인덱스'(JD Power 2022 China Tech Experience Index, TXI)에서 498점을 기록, 현지 완성차 업계 10위를 차지했다. 1위부터 5위까지는 중국 로컬 브랜드가 휩쓸었다. 지리그룹 산하 링크&코(Link&Co)가 총 541점을 받아 1위에 올랐고 △하발(523점) △만리장성차 탱크(518점) △FAW 산하 홍치(509점) △체리차 자회사 제투르(507점)가 2~5위에 올랐다. 6위는 미국 제너럴모터스(GM) 산하 브랜드 뷰익이 차지했다. 총 506점을 획득했다. 7위~9위는 △지리차(505점) △베누시아(504점) △GAC 토요타(499점) 순으로 이어졌다. 기아는 493점으로 15위를 차지했다. 현대차는 이번 조사 결과가 브랜드 인지도와 이미지 제고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기술경험지수(TXI) 조사
[더구루=윤진웅 기자] 기아가 올해 러시아 수입차 시장을 여전히 주도하고 있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사태로 글로벌 완성차 업체들의 '탈러시아'가 잇따르는 가운데 판매 순위 1위를 차지했다. 16일 업계에 따르면 기아는 지난달 러시아 시장에서 총 4004대를 판매, 수입차 판매 1위를 차지했다. 전년 대비 판매량은 급감했으나 글로벌 완성차 업체들의 탈러시아 현상에 따라 선두주자로 자리매김했다. 올들어 7월 말 현재 누적 판매량은 4만9007대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 대비 59.4% 두 자릿수 감소한 수치다. 앞서 프랑스 르노그룹은 지난 5월 러시아 정부에 현지 자회사 '라다' 지분을 매각하고 철수했다. 독일 폭스바겐은 현재 러시아 공장을 매각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기아 러시아 판매는 소형 세단 모델 '리오'가 판매를 견인했다. 지난달 리오는 1310대(젼년 대비 전년 대비 79.7% 감소) 판매됐다. 소형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모델 '셀토스'와 준중형 세단 모델 '세라토'(국내명 K3)는 각각 676대(-63.6%)와 346대(-68.9%)가 판매됐다. 리오 등을 생산하던 상트페테르부르크 공장은 지난 3월 러시아 우크라이나 침공
[더구루=윤진웅 기자] 현대자동차가 지난달 베트남 시장에서 35%대 성장세를 기록, 토요타를 제치고 월간 판매 1위 자리를 탈환했다. 하반기 판매 호조세를 토대로 4년 연속 왕좌를 수성할지 기대된다. 16일 베트남자동차공업협회(VAMA)에 따르면 현대차 베트남 합작사 현대탄콩(TC MOTOR)은 지난달 베트남 시장에서 전월 대비 35.2% 증가한 5792대를 판매, 1위를 차지했다. 브랜드 베스트셀링카인 액센트가 견인했다. 전년 대비 31% 증가한 1423대를 기록했다. 준중형 SUV 모델 투싼과 해외 전략 소형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크레타는 각각 1014대와 978대 판매, 전년 대비 133.6%와 17.8% 증가했다. 승용차뿐 아니라 상용차 판매도 증가했다. 상용차는 8.5% 증가한 1083대를 기록했다. 액센트는 미쓰비시 엑스팬더(2771대)에 이어 지난달 베스트셀링카 2위를 차지했으며, 싼타페와 크레타는 각각 7위와 8위를 기록했다. 현대차의 올들어 7월 말 현재 누적 판매량은 4만2189대로 전년(3만8066대) 대비 10.8% 증가했다. 토요타는 55% 두자릿수 성장했으나 85대 근소한 차이로 2위로 밀려났다. 같은달 총 5707대(렉서스 포
[더구루=윤진웅 기자] 현대자동차 유럽·인도 전용 경차형 전기차 생산에 탄력이 붙을 전망이다. 미국 자동차 부품사 '보그워너'(BorgWarner) A-세그먼트급 통합구동모듈(iDM)을 확보, 공급망을 구축했다. 15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차는 최근 보그워너와 부품 공급 계약을 체결, 통합구동모듈 'iDM146'을 제공받기로 했다. 오는 2024년 3분기 생산 예정인 유럽·인도 전용 소형 전기차에 핵심 부품으로 탑재한다는 계획이다. iDM146은 보그워너의 진보된 기술이 집약된 통합구동모듈이다. 고출력 밀도와 효율을 위한 고전압 헤어핀(HVH) 기술이 적용된 146mm 스테이터 외경의 내부 영구 자석(IPM) 전기 모터와 바이퍼 전원 모듈을 탑재한 보그워너 인버터로 구성됐다. 400V 시스템에 맞춰 설계된 iDM146은 일반적으로 135kW의 피크 전력 출력을 생성한다. 모듈식 설계를 통해 고객 요구 사항에 맞게 전력 및 토크 출력을 조정할 수도 있다. 특히 이번 파트너십은 현대차와 보그워너의 오랜 인연을 토대로 이뤄졌다. 양사는 현재 20년에 걸쳐 파트너십을 이어가고 있다. 앞서 지난 2020년 첫 번째 iDM 모듈 공급 계약을 체결하기도 했다. 스테판 데메
[더구루=홍성일 기자] 인도 게임·e스포츠 기업 나자라 테크놀로지(Nazara Technologies, 이하 나자라)의 미국 스포츠부문 자회사인 앱솔루트 스포츠(Absolute Sports)가 미국 프로레슬링 전문매체를 인수했다. 앱솔루트 스포츠는 이번 인수로 격투 스포츠 부문 입지를 강화한다는 목표다. [유료기사코드] 11일 업계에 따르면 앱솔루트 스포츠는 영국 미디어 기업 '타이탄 인사이트 디지털(Titan Insider Digital)'로부터 미국 프로레슬링 전문매체 TJR레슬링(TJRWrestling)과 ITR레슬링(ITRWrestling)을 인수하기로 했다. 인수 규모는 125만 달러(약 17억5000만원)이며, 인수 작업은 45일 이내 마무리될 예정이다. 앱솔루트 스포츠가 인수한 TJR레슬링과 ITR레슬링은 각각 2009년과 2020년 설립됐으며, 글로벌 프로레슬링 팬 커뮤니티 내에서 탄탄한 독자층을 보유하고 있다. 두 매체의 월간 활성 이용자 수(MOU)는 170만 명에 달하며, 월간 조회수는 460만 회가 넘는다. 앱솔루트 스포츠는 이번 인수로 자회사인 스포츠 전문매체 스포츠키다(Sportskeeda)의 격투 스포츠 부문을 강화한다. 또한 프로
[더구루=홍성일 기자] 머리카락처럼 생긴 뇌전도(EEG) 전극이 개발됐다. 연구팀은 해당 전극을 활용하면 장시간 뇌 활동 모니터링이 필요한 환자의 편의성이 향상될 것으로 전망했다. [유료기사코드] 10일 업계에 따르면 펜실베이니아 주립대학교 연구팀은 24시 이상 연속 착용이 가능한 EEG 전극을 개발했다. 연구 내용은 국제 학술지 네이처에서 발간하는 생체공학 분야 저널 'npj 바이오메디컬 이노베이션(npj Biomedical Innovations)'에 소개됐다. EEG는 뇌의 전기적 활동을 기록하는 검사로 간질은 물론 수면 장애, 뇌 손상과 같은 질환을 진단하는데 사용된다. 보통 EEG는 여러 개의 전극을 두피에 붙여 뇌파를 측정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하지만 장기간 뇌파를 측정해야 하는 경우 젤로 두피에 붙도록 만들어진 금속 전극을 활용한다. 문제는 젤이 마르거나 하는 경우 제대로 측정이 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한다는 점이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펜실베이니아 주립대 연구팀은 3D 프린팅이 가능한 생체 접착 잉크로 EEG 전극을 만들었다. 펜실베이니아 주립대 연구팀이 개발한 EEG 전극은 머리카락 굵기의 안테나 부분에 조그마한 점처럼 생긴 부분이 붙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