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윤진웅 기자] 현대자동차가 글로벌 CSR(기업의 사회적 책임) 철학인 '컨티뉴'(CONTINUE)를 토대로 인도 지역 소외계층 학생들의 꿈을 지원했다. 브랜드 현지 이미지와 인지도를 확대하는 것과 더불어 친밀감을 형성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22일 현대차 인도판매법인(HMIL)에 따르면 현대차인도재단(HMIF)은 '현대 희망 장학 프로그램'을 통해 총 3억3800만 루피(한화 약 55억9728만원) 규모장학금을 수여했다. HMIF는 지난 2006년 출범한 HMIL 자선단체이다. 현대차 브래드 비전인 '인류를 위한 진보'를 중심으로 지역사회 개발과 의료, 교육, 직업 훈련, 환경 보존, 교통 안전, 예술, 과학 및 기술 진흥을 돕고 있다. 현대 희망 장학 프로그램은 지난해 8월에 시작됐다. 인도 소외계층 학생들을 지원하기 위해 마련됐다. 올해에는 총 783명의 학생이 재정 지원 대상으로 선정됐다. 이중 440명은 연방 및 주 공무원 시험과 인도의 사법고시인 공통법 입학시험(CLAT)을 준비하는 수험생들이이며, 나머지 343명은 인도 공과대학교(IIT)에 재학 중인 학생들이다. 장학금 수여식에는 기렌 리지주 의회 사무국 장관 및 소수민족 업무 장관이
								[더구루=윤진웅 기자] 중국 BYD가 브랜드 이미지 타격을 노린 악의적인 공격에 대응하기 위해 '칼'을 뽑았다. 출처를 제공하는 제보자들에게 파격적인 보상금을 내걸고 정보 가치에 따라 최대 10억 원을 지급하기로 했다.
								[더구루=윤진웅 기자] 글로벌 자동차 회사 스텔란티스가 자체 개발한 자율주행 기술을 공개했다. 향후 업데이트를 통해 오프로드에서도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만들 계획이다.
								[더구루=윤진웅 기자] 기아가 브라질 내 생산 기지 마련에 속도를 높이고 있다. 브라질 당국이 하이브리드 차량에 대한 '수입관세 폭탄'을 예고한 데 따른 대응 차원이다. 현실적인 방안은 두 가지이다. 현대차 브라질 공장을 비롯한 현지 자동차 제조업체와 협력해 별도 생산 라인을 구축하는 방법과 우루과이 자동차 위탁생산업체 노르덱스(Nordex) 공장에 생산을 맡기는 방식이다. 21일 기아 브라질판매법인에 따르면 현지 위탁생산 업체 3곳과 협상을 진행하고 있다. 브랜드 볼륨 모델인 스포티지 하이브리드와 니로 하이브리드 등 현지 생산을 위해서다. 구체적인 업체명을 밝히지는 않았지만, △현대차 브라질판매법인(HMB) △CAOA △HPE 3곳이 유력하다. HMB는 피라시카바에 자동차 생산 공장을 운영하고 있다. CAOA는 브라질 아나폴리스 지역에서 자동차 생산 공장을 가동하고 있다. 투싼 등 HMB 피라시카바 공장 생산 라인업에 포함되지 않은 차량을 생산한다. HPE의 경우 카탈랑 지역에서 이들 공장ㅂ다 더 많은 자동차를 생산할 수 있는 공간을 보유하고 있다. 브라질 하이브리드차 수입관세가 내년 7월 35%까지 인상되는 것을 고려한 선제 대응 차원이다. 현지 당국은
								[더구루=윤진웅 기자] 미국과 러시아가 사우디아라비아에서 우크라이나 전쟁의 종전 방안을 놓고 협상을 시작한 가운데 전쟁 여파로 러시아에서 철수했던 현대자동차그룹의 재진출 여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특히 업계에서는 러시아 복귀의 필요조건인 바이백 시한이 올해 말이라는 점에서 이번 협상 이후 어느 정도 가닥이 잡힐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혹 바이백 시한을 놓칠 경우, 새로운 공장을 인수하거나 재설립하는 방안까지 염두에 둘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20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차는 러시아 시장 복귀 가능성을 고려해 상트페테르부르크 공장을 인수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이는 지난 18일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에서 미국과 러시아가 고위급 회담을 열고 우크라이나전 종전 방안 마련을 위한 협상을 제기하면서 급물살을 타고 있다. 상트페테르부르 공장의 바이백 시한은 올해 말이다. 현대차는 지난 2023년 12월 러우 전쟁 여파로 가동이 중단된 이 공장을 러시아 벤처캐피탈 아트파이낸스에 1만 루블(약 14만 원)에 매각했다. 당시 현대차는 2년 이내에 되살 수 있는 권리(바이백) 옵션을 매각 계약에 포함했었다. 하지만 바이백은 현대차 러시아 재진출의 필요조건에 불과하다. 바이백
								[더구루=윤진웅 기자] 일본 토요타가 최신형 수소연료전지 시스템을 탑재한 수소트럭 모델을 선보인다. 일본에 먼저 공급한 뒤 유럽과 북미 등 글로벌 시장으로 영토를 넓힐 계획이다. 현대차 수소트럭 모델 '엑시언트'와의 치열한 경쟁이 예상된다.
								[더구루=윤진웅 기자] 현대자동차그룹 산하 미국 로봇전문업체 '보스턴 다이내믹스'(Boston Dynamics) 로봇개 '스폿'(Spot)이 BMW그룹 영국 공장에서 데이터 사각지대 '해결사'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다. 다양한 산업 현장에서 효율성과 생산성 향상 효과를 입증하고 있는 만큼 향후 스폿의 활동 영역은 더욱 넓어질 전망이다.
								[더구루=윤진웅 기자] 테슬라가 유럽에서 또 다른 메가팩 프로젝트를 확보했다. 에너지 공급업체인 리턴(Return) 산하 네덜란드 배터리 저장 시스템 개발사인 라이언 스토리지(Lion Storage)가 추진하는 '프로젝트 무파사'에 유럽 최대 규모 메가팩을 공급한다.
								[더구루=윤진웅 기자] 현대자동차 소형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모델 '코나 하이브리드'가 가 브라질 시장에 출격한다. 세련된 디자인과 성능, 합리적인 가격 등을 앞세워 인기몰이에 나설 계획이다. 특히 하이브리드 강자인 일본 토요타와 정면 승부가 예상된다. 19일 현대차 브라질판매법인에 따르면 오는 4월 브라질 SUV 시장에 코나 하이브리드를 공식 출시한다. 친환경차 라인업 확대 차원에서다. 브랜드 전용 전기차 모델 '아이오닉5'에 버금 가는 신차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아이오닉5는 지난해 하반기 대형 플래그십 스포츠유틸리차량(SUV) 모델 '팰리세이드'와 함께 출시된 바 있다. 특히 현대차는 현지 시장 동향과 수요에 맞춰 생산 포트폴리오를 조정하고 코나 하이브리드를 현지 생산할 방침이다. 크레타 뒤를 이을 차세대 모델로 선정한 것이다. 당초 유력 후속 모델로 크레타EV와 인스터 등이 거론됐지만, 현지 운전자들의 하이브리드 선호도를 고려한 결정으로 풀이된다. 앞서 현대차는 지난해 10월 브라질 상파울루주 피라시까바 공장 크레타 생산을 중단한 바 있다. 당시 크레타와 함께 피라시까바 공장 인근 엔진공장에서 생산하던 1.6 감마 가솔린 엔진도 단종하며 친환경차
								[더구루=윤진웅 기자] 기아 전기 목적기반차량(PBV) 모델 'PV5'가 미국 일반 도로에서 처음으로 포착됐다. 이달 말 글로벌 데뷔를 앞두고 가운데 라스트 마일 등 현지 PBV 시장 진출을 위한 사전 도로 테스트로 보인다. 19일 업계에 따르면 기아는 최근 미국에서 PV5 도로 주행 테스트를 진행했다. 해외 테스트카 리뷰어 '킨델오토(kindelauto)'가 인디애나주 전기차 충전소에서 PV5를 포착했다. 지난해 한국 도로에서 주행 테스트하는 모습이 공개된 바 있으나 미국에서는 처음이다. 오는 27일 스페인 타라고나에서 열리는 '2025 기아 EV 데이'에서 글로벌 무대 공식 데뷔를 앞두고 막바지 담금질에 들어간 것으로 보인다. 티저 이미지와 관련 영상은 이미 지난 13일 공개됐다. 킨델오토가 포착한 사진을 보면 PV5는 위장막으로 덮여있어 구체적인 디자인을 확인하기는 어렵다. 하지만 어느 정도 크기는 가늠된다. 경쟁 모델인 폭스바겐 ID.버즈보다는 약간 더 크고 포드 E-트랜짓 크기와는 비슷할 것으로 보인다. PV5는 기아 최초 브랜드 전용 전기 밴이다. 지난해 1월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CES 2024와 같은 해 9월 IAA 트랜스포테이션(IAA
								[더구루=윤진웅 기자] 현대트랜시스 파트너사인 사우디아라비아 전기차 제조사 시어가 내년 첫 번째 결과물을 내놓는다. 무함마드 빈 살만(Mohammed bin Salman bin Abdulaziz Al Saud) 사우디아라비아(이하 사우디) 왕세자 겸 총리가 본인의 이름을 딴 자동차 클러스터에서 본격적인 생산에 돌입할 채비에 들어갔다.
								[더구루=윤진웅 기자] 현대자동차 인도 중고차 사업이 순항하고 있다. 지난해 역대 연간 최고 거래량을 달성하며 현대차 인증 중고차에 대한 현지 운전자들의 신뢰를 가늠했다는 평가다. 18일 현대차 인도판매법인(HMIL)에 따르면 지난해 중고차 프로그램 '현대 프로미스'를 통해 중고차 15만7503대를 판매했다. 이는 전년 대비 5.8% 증가한 수치이며 역대 연간 최고 판매량이다. 특히 인증 중고차 판매가 전년 대비 8% 증가하며 전체 중고차 판매 23% 비중을 차지했다. 인증 중고차는 판매 전 까다로운 절차를 통과해야 한다. 161개 항목의 체크 리스트를 거친다. 인증 중고차로 인정받은 차량은 연식에 따라 보증 기간이 정해진다. 출시 7년 미만의 경우 1년 종합 보증, 7~10년 이상된 차량의 경우에는 6개월 엔진 및 변속기 보증이 제공된다. 긴급 출동 서비스 등 최대 2개 서비스는 추가 비용 없이 공통으로 제공된다. 모델별로는 i20과 크레타, 그랜드 i10가 인증 중고차 판매의 55%를 차지했다. 차종별로는 SUV가 21%가 가장 많았고 SUV 모델 중에서는 크레타와 베뉴가 각각 13%와 8% 순으로 높은 판매량을 기록했다. 현대 프로미스 프로그램 가동 이
									
									
									
									
									
									
									
									
									
									
									
									
									
									
									
									
									
									
									
									
									[더구루=이꽃들 기자] 배달의민족 모기업 딜리버리히어로(Delivery Hero)가 유엔(UN)의 새로운 환경 이니셔티브인 '딜리버리-E 연합(Deliver-E Coalition)'에 창립 멤버로 참여하며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을 대폭 강화한다. 이번 결정은 전 세계적으로 팽창하는 배달 서비스 시장에서 발생하는 환경적 영향을 최소화하고,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한 글로벌 리더십을 확보하겠다는 전략으로 풀이된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중국 배터리 제조사 고션 하이테크(Gotion High Tech, 이하 고션)가 스페인에 배터리 소재 공장 건설을 추진한다. 고션은 새로운 소재 공장을 기반으로 파트너사인 이노뱃(InoBat)을 지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