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오소영 기자] 인텔이 내년 1분기 출시 예정인 PC 게이밍용 그래픽카드(GPU) '아크'(Arc)의 스펙이 유출됐다. 27일 업계에 따르면 인텔은 내년 1분기 고사양과 중형, 저사양급 아크 3종을 선보일 전망이다. 고사양 아크는 4096개 코어, 512개 벡터엔진, 265비트 버스로 구성된다. 16GB GDDR6칩을 장착하며 최대 클럭속도는 2.2~2.5GHz, FP32 연산 기준 18.5테라플롭스(Tflops)를 구현한다. 1Tflops는 1초에 1조번 연산을 할 수 있는 속도다. 라이벌 제품으로 꼽히는 엔비디아의 지포스 RTX 3070보다 성능이 9% 낮을 것으로 추정되며 예상 출고가는 599달러다. 중형 제품은 3072개 코어, 384개 벡터엔진, 192비트 버스, 12GB GDDR6칩이 들어간다. 저사양 아크는 1024개 코어, 128개 벡터엔진, 96비트 버스, 6GB GDDR6칩이 탑재된다. 전자는 지포스 RTX 3060·3060 Ti와 성능이 유사할 것으로 보인다. 후자는 성능이 지포스 GTX 1650과 1650 슈퍼 사이로 예상된다. 가격은 각각 399달러, 199달러로 추정된다. 3종 모두 대만 TSMC에서 생산한다. 인텔은 1998
[더구루=오소영 기자] 테슬라가 남호주에 이어 빅토리아주로 가상발전소(VPP) 사업을 확대한다. 호주 공략을 강화해 청정 에너지 회사로의 성장에 드라이브를 건다. 27일 업계에 따르면 테슬라는 호주 빅토리아주에서 VPP 사업을 추진한다. VPP는 인공지능(AI)과 사물인터넷(IoT) 등을 활용해 분산된 전력 소비 정보를 수집·분석하고 효율적이고 안정적으로 에너지를 공급하도록 한 맞춤형 발전사업이다. 테슬라는 2018년부터 남호주에 총 8억 달러(약 9400억원)를 투입해 VPP 구축을 진행해왔다. 5만여 개 주택에 각각 5kW급 태양광 발전소와 13.5kWh의 가정용 에너지저장장치(ESS) 파워월, 스마트미터 시스템을 설치하고 이를 소프트웨어로 통합해 체계적으로 제어한다는 구상이다. 테슬라는 이미 1000개의 파워월을 깔았다. 3000개를 추가로 설치하는 방안에 대한 승인도 받았다. 남호주 사업을 통해 얻은 자신감을 바탕으로 빅토리아에도 VPP 건설을 추진한다. 테슬라는 빅토리아주 고객을 대상으로 자체 전기요금 서비스인 '테슬라 에너지 플랜'도 선보일 계획이다. 파워월 15년 보증을 비롯해 다양한 혜택을 제공하며 전기요금 절감을 지원한다. 테슬라는 VPP가
[더구루=오소영 기자] 존 엘칸 페라리 회장과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자율주행차 개발에 온도 차를 보였다. 자율주행 기술을 신봉하는 머스크 CEO와 달리 엘칸 회장은 자율주행차 버전의 스포츠카 출시에 신중한 입장을 내비쳤다. 엘칸 페라리 회장은 지난 24일(현지시간) '이탈리안 테크 위크'(Italian Tech Week)에서 머스크 테슬라 CEO와 자율주행차 미래에 관해 논의했다. 엘칸 회장은 자율주행 기술의 높은 잠재력에 동의하면서도 페라리의 자율주행차 출시에는 회의적인 입장을 드러냈다. 그는 "페라리의 본질은 운전에 있다"며 "오늘날 승마처럼 자율주행차로 옮겨가는 세상에서 운전의 가능성은 더 큰 가치를 지니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머스크 CEO는 "(페라리의) 로고에 작은 말이 있다"고 맞받아치며 청중의 웃음을 유도했다. 머스크 CEO는 일찍이 자율주행 기술에 관심을 보여왔다. 테슬라는 2019년부터 완전자율주행(FSD) 시스템을 모델S·X·3에 적용했다. 지난 7월에는 도시 도로에서 차선 변경, 좌우 회전 기능 등을 업그레이드한 'FSD 베타 버전 9.0'을 소수 고객에게 배포했다. 레벨 4~5 수준에 해당하는 FSD 개발에도 속도
[더구루=오소영 기자] 미국 AMD가 대만 미디어텍과 노트북을 포함해 모빌리티용 솔루션 개발 관련 합작사를 세우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AMD는 인텔 의존도를 낮추고 미디어텍은 노트북 시장 공략을 강화해 양사에게 '윈윈'(Win-Win)이 될 것으로 평가된다. 27일 대만 IT전문지 디지타임스에 따르면 AMD는 미디어텍과 합작사 설립을 논의하고 있다. 합작사는 노트북을 비롯해 모빌리티용 솔루션 개발에 중점을 둔다. 양사는 와이파이(WiFi)6E 모듈 출시에 손을 잡았었다. AMD는 미디어텍의 와이파이6E 기술을 도입해 RZRZ608을 개발했었다. 과거 사례를 고려할 때 합작사 설립은 충분히 실현 가능한 시나리오라는 게 업계의 중론이다. AMD는 미디어텍을 인텔의 대안으로 삼을 것으로 예상된다. 미디어텍은 풍부한 5세대(5G) 이동통신 포트폴리오와 와이파이6 관련 칩 설계·제조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 시장에서도 급속도로 성장 중이다. 시장조사업체 카운터포인트리서치의 조사 결과 미디어텍의 시장점유율은 지난해 2분기 25%에서 3분기 31%, 4분기 32%로 지속 상승했다. 모바일 칩 시장에서 입지를 넓혀가는 미디어텍과의 협력
[더구루=오소영 기자] 한국서부발전과 한국석유공사가 공사 현장에서 안전사고 예방에 소홀해 논란이 됐다. 일부 공사에서 기술지도를 빠뜨리고 착공 전 안전 담당 부서의 승인을 받아야 할 안전관리계획서를 도급 업체가 뒤늦게 제출한 사례도 있었다. 26일 업계에 따르면 서부발전은 최근 내부감사에서 건설 산업 재해 예방을 위한 기술지도를 누락해 질타를 받았다. 산업안전보건법에 따라 1억원 이상 120억원 미만의 공사를 수행할 시 공사를 맡은 자는 전문기관으로부터 최소 월 2회 기술지도를 받아야 한다. 안전관리비의 20% 이내를 기술지도 예산으로 활용할 수 있다. 하지만 서부발전이 용역을 준 △보일러 정비편의시설 설치 △고철장 신설 △수처리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 설비개선 △보일러 튜브 내마모 코팅 △증기터빈 보조증기 공급계통 배관 교체 △옥내 노후배관 교체 등 6건은 기술지도가 진행되지 않았다. 용역 업체에서 기술지도 목적으로 집행한 예산을 다른 용도로 사용했지만 서부발전은 이를 확인하지 않았다. 결과적으로 706만원이 부당하게 정산됐다. 안전관리계획서 승인 업무 지연도 도마 위에 올랐다. 도급업체는 작업 공정별 주요 안전대책을 담은 안전관리계획서를 작성해 공사감독 부
[더구루=오소영 기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사태와 암호화폐 시장의 활황으로 그래픽처리장치(GPU) 몸값이 나날이 치솟고 있다. 독일 하드웨어 사이트 3D센터( 3DCenter)에 엔비디아와 AMD GPU는 독일과 오스트리아에서 이달 들어 권장소비자가격(MSRP)보다 각각 70%, 74% 비싸게 거래되고 있다. 엔비디아 GPU가 59%, AMD 제품이 64% 높은 가격이 책정됐던 8월 말보다도 상승폭이 크다. 특히 AMD의 라데온 RX 6600 XT는 500유로를 돌파했다. 엔비디아의 지포스 RTX 3060·3060 Ti도 가격이 인상됐다. GPU는 암호화폐 열풍이 불며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채굴기 성능을 높이기 위한 대표적 부품으로 쓰여서다. 코로나19로 PC·노트북 시장이 성장한 점도 GPU 수요에 영향을 미쳤다. 공급은 수요를 따라잡지 못하고 있다. TSMC를 포함해 파운드리 회사들은 반도체 가격을 20% 올렸다. 이로 인해 GPU 팹리스 업체들은 수요에 대응할 만큼 충분한 물량 생산을 주문하기 어려워졌다. 엔비디아는 암호화폐 채굴 속도인 해시율을 절반으로 줄인 제품을 내놓으며 수요 억제에 나섰지만 효과는 미미했다. 중국 IT 매체 마
[더구루=오소영 기자] 미국 배터리 소재 회사 그룹14 테크놀로지(이하 그룹14)가 청정 일자리 창출에 앞장선다. 실리콘 음극재 양산에 속도를 내며 올 들어 인력 채용을 확대하고 있다. 그룹14는 지난 22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주 제이 인슬리(Jay Inslee) 주지사를 우딘빌 소재 본사와 공장에 초청했다"고 밝혔다. 릭 루에베 그룹14 창업자 겸 최고경영자(CEO)가 직접 본사와 공장을 안내했다. 양측은 탄소 절감과 일자리 창출에 협력하기로 뜻을 모았다. 인슬리 주지사는 "기후 목표를 달성하려면 청정에너지 일자리를 늘리고 탄소 배출량을 줄이기 위한 기업의 대담한 조치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루에베 CEO는 "그룹14를 워싱턴에 세운 이유는 청정 전력에 대한 접근성과 주정부의 적극적이고 지속가능한 탈탄소 로드맵에 있다"며 "청정에너지를 육성하려는 강력한 공공·민간 지원은 고무적이며 우리는 계속 (사업을) 확장해 일자리를 창출하는 데 전념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룹14는 올해 엔지니어와 마케팅 담당자 등을 고용했다. 음극재 SCC55™ 상용화에 나서면서 더 많은 인력 확보에 나설 것으로 전망된다. SCC55™ 흑연 대신 실리콘을 사용한 음극재로 전기차
[더구루=오소영 기자] 이스라엘 디지털 아트 플랫폼 기업 니오가 170억여 원을 확보했다. 아티스트 지원과 자체 플랫폼 업그레이드를 추진하며 디지털 아트 시장을 정조준한다. 26일 업계에 따르면 니오는 1500만 달러(약 176억원) 상당의 시리즈A 라운드 투자를 유치했다. 세계 최대 명품 기업 루이뷔통모에헤네시그룹(LVMH) 계열의 사모펀드 엘 캐터튼(L Catterton)과 프랑스 LVMH 그룹이 주도했다. 사가(Saga) VC, 모마(MOMA), NFT(대체 불가능한 토큰) 투자자 샬롬 맥킨지 등도 투자에 동참했다. 니오는 앞서 800만 달러(약 94억원)를 모금했다. 추가로 자금을 조달해 아티스트 커뮤니티의 성장을 돕고 디지털 아트 플랫폼을 개선하는 데 쓴다. 니오는 전 세계 72개국에 6000명이 넘는 디지털 아티스트를 회원으로 두고 있다. 디지털 아트 플랫폼에 참여하는 고객은 갤러리와 박물관, 호텔, 부동산 개발 등 다양한 업종에 분포하며 규모만 1만명에 달한다. 1만5000개 작품이 해당 플랫폼에서 거래되고 있다. 니오는 최근 삼성전자와 전략적 파트너십도 체결했다. 삼성전자의 디지털 사이니지 등을 통해 디지털 예술 작품 전시를 확대할 예정이다.
[더구루=오소영 기자] 중국 CATL이 내년부터 나트륨이온 배터리 생산에 착수한다. 리튬 배터리보다 저렴한 가격을 무기로 글로벌 배터리 시장에서 점유율을 높인다. 17일(현지시간) IT즈자 등 중국 매체에 따르면 CATL은 내년 나트륨이온 배터리 생산라인을 가동한다. 주요 기술적 난제를 해소해 양산 체제와 공급망 구축만 남은 것으로 알려졌다. 나트륨이온 배터리는 CATL이 지난 7월 29일 공개한 제품이다. 니켈과 코발트 등 기존 원재료보다 저렴한 나트륨을 사용해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나트륨은 리튬과 화학적 성질이 비슷하면서 구하기도 쉽다. CATL이 개발한 제품은 영하 20도에서 90% 이상의 방전량을 유지하며 15분 만에 80% 충전이 가능하다. 다만 에너지 밀도는 ㎏당 160Wh 수준으로 리튬이온배터리(최대 500Wh)보다 낮다. CATL은 차세대 제품의 에너지 밀도를 kg당 200Wh 이상으로 높일 계획이다. CATL은 나트륨이온 배터리를 앞세워 가격 경쟁력을 확보하고 수주량을 늘린다. 전기차 배터리 수요가 증가하며 원재료 가격은 급등하고 있다. 특히 리튬은 중국과 호주, 아메리카 대륙 등 일부 지역에 매장돼 희귀하고 그만큼 비싸다. 중국에서
[더구루=오소영 기자] 중국 CATL이 독일 바스프와 양극활물질(CAM)·폐배터리 재활용 연구에 손을 잡았다. 차세대 CAM을 개발하고 CATL이 독일 공장에서 생산한 배터리를 활용해 재활용을 모색하며 유럽 전기차 시장 공략에 속도가 붙을 것으로 보인다. 25일 업계에 따르면 CATL은 바스프와 CAM·폐배터리 재활용 분야에 협력하고자 기본 협약을 체결했다. 전기차 배터리 분야에서 CATL의 전문성과 생산능력, CAM·폐배터리 재활용 관련 바스프의 기술을 더해 시너지를 낸다. 특히 유럽에 공장을 짓고 있는 CATL은 바스프와 파트너십을 토대로 배터리 소재 개발부터 폐배터리 재활용까지 수직계열화를 강화할 것으로 기대된다. CATL은 독일 에르푸르트에 연 100GWh 규모의 배터리 공장을 짓고 있다. 연내 공장을 가동해 다임러와 BMW 등 유럽 완성차 업체들에 공급할 계획이다. 독일 뮌헨과 프랑스 파리에 자회사도 세웠다. CATL이 유럽에서 현지화 전략을 강화하는 가운데 바스프는 든든한 지원군이 될 수 있다. 바스프는 코발트가 없는 하이니켈 양극재를 비롯해 광범위한 포트폴리오를 보유하고 있다. 지난해 독일 슈바르츠하이데에 투자를 결정하며 유럽과 미국, 아시아 주
[더구루=오소영 기자] 중국 샤오펑이 인수·합병(M&A) 의지를 공식적으로 내비쳤다. 생산량을 확장해 전기차 시장을 공략한다. 25일 업계에 따르면 구홍디 샤오펑 총재는 지난 15일(현지시간) P5 출시 행사에서 "1~2년 안에 증설이 필요하다면 이를 위한 수단으로 M&A를 고려할 수 있다"고 밝혔다. 샤오펑은 설비 투자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지난달 후베이성 우한경제기술개발구에서 제3공장 건설에 돌입했다. 약 1500에이커(약 607만285㎡) 부지에 연간 10만대 생산량을 갖춘 공장이 들어선다. 지난해 가동을 시작한 중국 광동성 소재 자오핑 공장에도 투자한다. 생산량을 연간 10만대에서 20만대로 두 배 늘린다. 증설에 이어 M&A를 모색하며 전기차 시장 공략에 속도를 낼 것으로 보인다. 샤오펑은 전기 세단 P7과 P5, 전기 SUV G3 등을 출시하며 중국 시장에서 점유율을 높이고 있다. 올해 상반기 전년 같은 기간 대비 459% 뛴 3만738대를 팔았다. 지난달 고객에게 인도한 차량은 7214대를 기록했다. 반도체 공급난으로 전월 대비 1000대가량 적었지만 4분기에는 월별 배송량이 7월보다 두 배 이상 높은 평균 1만5000
[더구루=오소영 기자] 영국 브리티시볼트가 전기차 배터리 공장 건설을 위한 실탄을 확보했다. 기업 가치는 1조원이 넘는 것으로 평가됐다. 25일 업계에 따르면 브리티시볼트는 시리즈B 투자 라운드에서 약 7000만 달러(약 820억원)를 조달했다. 스위스 글렌코어와 유로넥스트의 카본 트랜지션(Carbon Transition), 영국 엔지베일리(NG Bailey) 등이 투자에 참여했다. 기업 가치는 10억 달러(약 1조1840억원) 이상으로 추정된다. 브리티시볼트는 조달 자금을 배터리 생산에 쏟는다. 이 회사는 영국 노섬벌랜드주 블라이스에 배터리 공장 건설을 추진하고 있다. 10GWh씩 3단계에 걸쳐 2027년까지 총 30GWh의 생산능력을 갖춘다. 투자비는 약 36억 달러(약 4조2620억원)로 오는 2023년 말부터 생산을 시작할 계획이다. 이미 완성차 회사 3곳으로부터 10GWh의 3분의 2가 넘는 주문을 확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브리티시볼트는 공장 건설에 필요한 자금을 마련하고자 기업공개(IPO)를 살피고 있다. 기업인수목적회사(SPAC·스팩)과의 합병을 통해 런던이나 뉴욕 증권거래소 상장을 검토 중이다. 영국 정부의 자동차 전환 펀드(Automotive
[더구루=김은비 기자] 대만 파운드리 업체 TSMC가 1021억 원 규모 자회사 유휴 장비를 싱가포르 합작사에 공급한다. 이를 통해 지정학적 리스크를 분산하는 한편 생산 거점을 다변화, 아세안 내 차세대 반도체 '허브'를 본격 구축한다는 각오다. [유료기사코드] 16일 업계에 따르면 TSMC는 최근 이사회에서 약 22억1000만 대만달러(약 1021억 원) 상당 유휴 반도체 제조 장비를 싱가포르 합작사 ‘비전파워 반도체 제조(VSMC)’에 매각하는 안건을 승인했다. VSMC는 TSMC 대만 계열사인 뱅가드 인터내셔널 세미컨덕터(VIS)가 네덜란드 NXP와 손잡고 설립한 파운드리 법인이다. VSMC는 이번 장비 매입을 통해 130~40나노미터(㎚) 범용 공정 기술 기반 생산라인을 본격 가동한다는 방침이다. 오는 2027년부터 양산에 들어가 2029년까지 월 5만5000장의 웨이퍼를 생산한다는 목표다. 황후이란 VSMC 최고재무책임자(CFO)는 “이번에 도입되는 장비는 자동차 및 고성능 컴퓨팅 시장을 겨냥한 혼합 신호, 전력 관리, 아날로그 반도체 생산에 활용될 것”이라고 밝혔다. VSMC는 총 78억 달러(10조 8451억 원) 규모 투자로 설립되는 신규 합작
[더구루=홍성일 기자] 중국 전기전자 기업 샤오미(Xiaomi)가 자체 개발한 모바일 칩을 출시한다. 샤오미는 애플의 시스템온칩(SoC) 개발 전략을 벤치마킹해 모바일 생태계를 강화한다는 목표다. [유료기사코드] 레이쥔(Lei Jun) 샤오미 최고경영자(CEO)는 15일(현지시간) 자신의 웨이보를 통해 "샤오미가 독자 개발한 모바일 SoC인 엑스링O1(XringO1)이 5월 말 출시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샤오미가 자체 개발한 엑스링O1은 영국 반도체 설계기업 Arm 아키텍처를 기반으로 개발됐다. 생산은 대만 TSMC의 3나노미터(nm) 공정을 이용한다. 유출된 정보에 따르면 엑스링O1은 3.2기가헤르츠(GHz) 프라임 코어 1개와 2.5GHz 퍼포먼스 코어 3개, 2.0GHz 효율성 코어 4개로 구성됐다. 성능은 2022년 출시된 퀄컴 스냅드래곤 8 젠2 모델과 유사한 것으로 알려졌다. 샤오미가 자체 모바일 칩 개발에 나선 배경에는 애플 벤치마킹 전략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애플은 지난 2010년 1세대 아이패드와 아이폰 4를 출시하면서 맞춤형 칩인 A4를 탑재하기 시작했다. 이후 A시리즈 칩은 아이폰과 아이패드의 강력한 성능을 상징하는 브랜드로 자리잡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