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김형수 기자] 오리온이 베트남에서 이탈리아 유명 디저트 티라미수 맛을 강조한 카스타드(현지명 쿠스타스·Custas)를 출시했다. 유럽 스타일 신제품을 내세워 서양 문화에 익숙한 젊은 소비자 입맛을 사로잡겠다는 전략이다. 13일 업계에 따르면 오리온은 베트남에서 카스타드 티라미수를 론칭했다. 베트남 전역에 있는 대형마트, 슈퍼마켓 등에서 판매를 시작했다. 오리온은 카스타드 티라미수가 티라미수의 맛을 재현한 제품이라고 소개했다. 코코아 맛이 나는 빵 속에 코코아와 커피의 맛과 향이 조화를 이루는 크림치즈를 넣었다. 부드러운 단맛과 커피의 풍미가 잘 어우러진다는 설명이다. 또 오리온은 카스타드 티라미수가 크기가 작고 휴대가 간편한 디자인으로 개발돼 어디서든 손쉽게 먹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 고급 카페나 럭셔리 이탈리안 레스토랑을 찾지 않아도 가족 또는 친구들과 이탈리아 디저트를 맛볼 수 있다는 것이다. 오리온 베트남은 "정밀한 공정을 거쳐 생산된 카스타드 티라미수는 뛰어난 미식 경험을 선사할 것"이라면서 "특히 서양 문화 체험을 즐기는 젊은 소비자들에게는 놓칠 수 없는 제품이 될 것"이라고 전했다. 오리온은 베트남에서 차별화된 신제품을 지속적으로 선보이며
[더구루=김형수 기자] 롯데마트가 인도네시아에서 자체 피자 브랜드 치즈앤도우 6호점을 연다. 지난해 12월 1호점을 오픈한 지 9달 만이다. 외식 사업 확대에 속도를 내며 현지 시장 내 입지를 강화한다는 전략이다. 13일 업계에 따르면 롯데마트는 오는 14일 인도네시아 수도 자카르타 남쪽 보고르(Bogor)에 위치한 롯데 그로시르 보고르(Lotte Grosir Bogor)점에 치즈앤도우 신규 매장을 조성할 예정이다. 이곳 매장이 문을 열면 롯데마트가 인도네시아에서 운영하는 치즈앤도우 매장은 6곳으로 늘어나게 된다. 지난 6월 초 자카르타에 있는 롯데마트 꾸닝안시티(Lotte Mart Kuningan City)점에 5호점을 오픈한 바 있다. <본보 2023년 6월 8일 참고 롯데마트, 인니서 '치즈앤도우' 5번째 매장 오픈…K-피자 알린다> 롯데마트는 치즈앤도우 6호점 오픈 기념 이벤트를 열고 고객몰이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피자 구매 고객을 대상으로 한 콜라, 사이다 등 음료수 무료 증정 행사를 기획했다. 롯데마트가 매장을 늘리며 확대되는 인도네시아 피자 수요에 적극 대응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시장 전망도 밝다. 한류 열풍에 열광하는 현지 MZ세대(
[더구루=김형수 기자] 롯데칠성음료 필리핀 자회사 펩시 필리핀(이하 PCPPI)이 아시아 우수 고용주로 선정됐다. 지난해에 이어 2년 연속이다. 포용적 기업 문화를 조성하고 직원들의 성장을 뒷받침한 점이 높이 평가받았다. 12일 경영자 브랜딩 협회(Employer Branding Institute)에 따르면 PCPPI는 '2023 아시아 최고 경영자 어워드(2023 Asia’s Best Employer’s Awards)'에서 우수기업상(Corporate Excellence Award)를 수상했다. 아시아 최고 경영자 어워드는 경영자 브랜딩 협회 주관으로 모범적 인사 제도를 시행하는 아시아 지역 최고의 기업을 선정해 상을 수여하고 있다. PCPPI는 △다양성·포괄성 이니셔티브 △직원 역량 개발 △일과 삶의 균형 프로그램 △인사관리(HR) 제도 등에서 높은 점수를 받았다. PCPPI는 아이케어(ICARE)를 핵심 가치로 제시하고 직원들이 동반성장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데 집중하고 있다. 아이케어는 △혁신(Innovation) △배려(CARE) △존중(Respect) △자율(Empowerment) △탁월함(Excellence) 등을 의미하는 영단어 첫글자를
[더구루=김형수 기자] 신라호텔이 위탁 운영하는 신라모노그램 다낭이 '월드 트래블 어워즈'(World Travle Awards)를 수상했다. 12일 업계에 따르면 신라모노그램 다낭은 30회 월드트래블어워즈 '아시아 최고 라이프스타일 리조트 2023(Asia’s Leading Lifestyle Resort 2023)' 부문에서 수상했다. 시상식은 지난 7일(현지 시간) 베트남 호치민에서 열렸다. 지난 1993년 시작된 월드 트래블 어워즈는 '여행 산업의 오스카상'으로 불린다. 여행·관광 서비스 업계에서 공신력을 인정받고 있다. 글로벌 여행 업계 전문가, 소비자들이 참가한 투표 결과를 바탕으로 수상자가 결정된다. 신라모노그램 다낭이 베트남 문화와 자연을 경험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점이 높은 점수를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신라모노그램 다낭은 △코코넛 잎 공예 △연등 만들기 △조개껍질 꾸미기 등 다양한 베트남 전통 공예 체험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어린이를 대상으로 한 베트남 전통놀이 프로그램도 운영하고 있다. 곳곳에는 계절에 따라 변화하는 다낭 바다를 그린 베트남 화가 하만탕(Ha Mang Thang) 작품도 전시돼 있다. 신라모노그램 다낭 투
[더구루=김형수 기자] 농심이 태국에서 이색 콜라보 라면을 연내에 선보일 전망이다. 넷플릭스 다큐멘터리 시리즈 '길 위의 셰프들'에 출연해 글로벌 유명세를 탄 현지 셰프 '쩨파이'(Jay Fai)와 손잡았다. 농심 간판 제품 신라면과 똠얌(태국 국물요리)을 접목한 라면을 선보인다. 농심이 신라면 콜라보 제품을 출시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태국 소비자들의 입맛을 겨냥한 현지화 전략을 추진하며 고객 저변 확대에 집중한다는 전략이다. 11일 업계에 따르면 농심은 연내 태국에서 현지 한정판 △신라면 똠얌 △신라면볶음면 똠얌 등을 론칭할 예정이다. 신라면 똠얌은 신라면처럼 국물이 있는 라면, 신라면볶음면 똠얌은 신라면 볶음면과 같이 국물이 없는 볶음면 형태의 라면이다. 농심은 요리 셀럽인 쩨파이 셰프와 협력해 이들 신메뉴를 개발했다. 넷플릭스를 통해 이름을 알린 쩨파이는 손맛을 인정받은 실력파다. 지난 2018년에 이어 지난 2019년 2년 연속으로 미슐랭 1스타를 획득했다. 당시 미슐랭은 "쩨파이 셰프는 오랜 기간 길거리 음식의 아이콘으로 여겨지고 있다"고 극찬했다. 똠얌꿍과 튀긴 게살 오믈렛 등이 쩨파이 셰프 대표 메뉴로 꼽힌다. 농심은 태국 식문화를 반영한
[더구루=김형수 기자] 농심 돈코츠라면 컵라면과 대상 종가 김치가 미국인 입맛을 훔쳤다. 미국 식품 전문매체가 두 제품을 코스트코 추천 상품으로 선정하면서 제품력을 입증받았다. 11일 미국 식품 전문매체 이팅웰(EatingWell)에 따르면 농심 돈코츠라면 컵라면과 대상 종가 김치는 '저평가되고 있으나 코스트코에서 사야할 상품 12선(12 Underrated Things to Buy at Costco)'에 선정됐다. 해당 명단에는 △커클랜드 시그니처 수입 바질 페스토 △카시아 감자&치즈 피에로기 △케리골드 가염버터 △링링 치킨&야채 만두 등도 이름을 올렸다. 이팅웰은 △셰프 △가정 요리사 △영영사 등으로부터 수집한 의견을 바탕으로 해당 명단을 작성했다. 농심 돈코츠라면 컵라면은 간편한 조리법이 높이 평가받았다. 끓는 물을 붓거나 전자레인지에 돌리면 돼 설거지 걱정 없이 간편하게 배를 채울 수 있다는 평가다. 별도의 재료를 추가하지 않아도 깊은 풍미를 느낄 수 있는 국물도 호평받았다. 종가 김치는 폭넓은 활용도가 높은 점수를 받았다. 스크램블 에그, 그릴드 치즈 등 다양한 음식에 추가해 독특한 맛을 낼 수 있다는 것이 장점으로 꼽혔다. 한국 전통
[더구루=김형수 기자] 교촌치킨이 말레이시아 사회복지단체를 후원했다. 취약계층에 지속적으로 도움의 손길을 건네며 기업의 사회적 책임 실현에 앞장서고 있다. 10일 업계에 따르면 교촌치킨은 말레이시아 사회복지단체 소서브(Soserv)에 후원금과 더불어 생필품, 의료용품 구매 지원비용을 전달했다. 소서브는 △장애아동 보호 △특수교육 △호스피스 등의 활동을 펼치고 있다. 80명의 장애인을 수용할 수 있는 약 1100㎡ 규모의 시설을 갖췄다. 교촌치킨은 매출 일부를 모아 후원금과 물품 구매 지원비용을 마련했다. 지난달 21일부터 31일까지 교촌치킨 1마리가 판매될 때마다 0.5링깃(한화 약 140원)을 적립했다. 여기에 교촌치킨 말레이시아 임직원들이 자발적으로 낸 후원금이 더해졌다. 교촌치킨 말레이시아 임직원들은 지난달 말 소서브를 방문해 소서브에서 생활하는 이들에게 식사를 대접하고 야외 이벤트를 진행하며 시간을 함께했다. 교촌치킨은 말레이시아에서 지역사회 상생 활동을 이어오고 있다. 앞서 지난 2021년 5월 라마단(무슬림들이 해가 떠있는 동안 금식하며 자선과 관용을 실천하는 기간)을 맞아 사회공헌 캠페인을 펼쳤다. 라마단 세트가 하나 팔릴 때마다 0.5링깃을 모
[더구루=김형수 기자] 도미니카공화국(이하 도미니카) 뷰티 시장에서 한국 화장품 존재감이 확대될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도미니카에서 부는 한류 열풍에 힘입어 현지 바이어들의 러브콜이 이어지고 있어 지속 성장할 것이란 예상이다. 10일 국제 수출입 통계기관 GTA(Global Trade Atlas)에 따르면 지난해 도미니카 화장품 수입시장 규모는 6973만달러(약 930억원)로 전년 대비 59.1% 증가했다. 미국이 36.0%의 점유율을 차지하며 도미니카 화장품 수입시장 선두에 올랐다. 이어 콜롬비아가 2위(25.9%), 프랑스가 3위(8.8%), 스페인이 4위(8.5%), 멕시코가 5위(5.8%)에 오르는 등 서양·중남미 국가들이 시장을 휘어잡고 있다. 전체 시장이 불어난 가운데 한국 화장품 수입액도 늘어났다. 지난해 도미니카 한국 화장품 수입 규모는 80만6000달러(약 10억원)로 전년 대비 27.1% 늘어났다. 시장 점유율 1.2%를 기록하며 11위를 차지했다. 지난 2020년(1.0%)에 비해 0.2%p 증가한 수치로 조금씩 영향력을 키우고 있다. 코트라는 도미니카 한국 화장품 수요가 계속 늘어날 것이라고 내다봤다. 현지에서 K-드라마가 흥행하면서 한
[더구루=김형수 기자] 필리핀 신선과일 시장이 성장하는 가운데 국산 사과의 존재감이 확대될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필리핀 소비자들이 선호하는 품종을 주력으로 하고 있어 향후 국산 사과 수요가 늘어날 것이란 예상이다. 10일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스타티스타(Statista)에 따르면 필리핀 신선과일 시장규모는 오는 2028년 68억달러(약 9조640억원) 규모에 이를 전망이다. 지난해 44억달러(약 5조8600억원) 규모였던 시장이 54.55% 증가할 것이란 예상이다. 시장 성장 요인으로는 △건강에 대한 관심 증대 △경제 회복에 따른 소득 수준 향상 등이 꼽힌다. 웰빙을 추구하는 트렌드가 확산하는 가운데 구매력이 높아지면서 신선하고 영양가 높은 과일 수요가 늘어날 것이란 분석이다. 특히 현지 소비자들 사이에서 건강에 유익하다고 알려진 사과 소비가 점차 확대되고 있다. 필리핀 사과 수입 시장에서는 지난해 기준 중국(1억6757만달러·약 2230억원)이 1위를 달리고 있다. 이어 미국(311만달러·약 40억원), 뉴질랜드(167만달러·약 20억원), 일본(37만달러·약 5억원), 칠레(2만달러·약 2700만원) 등이 ‘톱5’에 랭크됐다. 한국은 5000달러(약 66
[더구루=김형수 기자] 한국 엑스레이(X-Ray)가 러시아 시장을 휩쓸고 있다. 치과용 엑스레이를 중심으로 현지에서 존재감을 확대하고 있다. 우수한 기술, 합리적 가격 등이 높이 평가받으며 각광받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9일 코트라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 치과용 엑스레이는 5450만달러(약 730억원) 규모 러시아 수입 시장에서 62%의 점유율 차지하며 1위를 차지했다. 지난 2021년(52%)에 비해 10%p 늘어난 수치다. 핀란드(17%), 이탈리아(14%), 독일(3%) 등을 큰 차이로 따돌렸다. 러시아의 한국 치과용 엑스레이 수입 규모도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지난 2017년 757만6000달러(약 100억원)였던 수입액은 △2018년 1059만9000달러(약 140억원) △2019년 1292만5000달러(약 170억원) △2020년 1229만9000달러(약 160억원) △2021년 2479만달러(약 330억원)를 기록했다. 한국은 치과용 엑스레이 선전에 힘입어 전체 러시아 엑스레이 수입 시장에서도 '톱3'에 포함됐다. 러시아 무역통계 DB(Global VED)에 따르면 지난 2021년 기준 한국은 중국, 이탈리아에 이어 3위를 차지했다. 지난 201
[더구루=김형수 기자] 롯데마트가 인도네시아에서 자체 피자브랜드 치즈앤도우 메뉴 다양화에 속도를 내고 있다. '나홀로 고객'을 겨냥한 메뉴를 지속 출시하며 확대될 것으로 예상되는 인도네시아 1인 가구 수요 선점에 나선다는 전략이다. 9일 업계에 따르면 롯데마트는 인도네시아 치즈앤도우에서 슬라이스 피자 1조각과 음료 1잔으로 구성된 콤보 메뉴 4종을 출시했다. 해당 콤보 메뉴는 △콤보A(오리지널 피자·블랙커런트 음료) △콤보B(스파이시치킨 피자·리치 음료) △콤보C(치즈 피자·오렌지 음료) △콤보D(K-불고기 피자·레모네이드) 등이다. 오는 24일까지 오리지널·스파이시치킨·치즈·K-불고기 등 피자 2조각 구입 고객에게 차(茶)음료 프레스티(Frestea) 1병(350ml)을 무료로 제공하는 프로모션도 전개한다. 또 혼밥족을 겨냥해 메뉴 라인업을 확대했다. 지난 7월 말 △스윗 비프 퀘사디야(Sweet Beef Quessadilla) △파이어 치킨 퀘사디야(Fire Chicken Quessadilla) 등을 선보였다. 스윗 비프 퀘사디야는 달콤하면서도 짭짤한 양념으로 맛을 낸 소고기를 토르티야 사이에 넣은 메뉴다. 파이어 치킨 퀘사디야에는 토르티야 사이에 불닭
[더구루=김형수 기자] 중국 화장품 시장이 성장세를 이어나갈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현지 기업들이 약진하고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9일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유로모니터 인터내셔널에 따르면 중국 화장품 시장(기초·색조 화장품 포함)은 오는 2026년 4292억위안(약 77조8200억원) 규모에 달할 전망이다. 지난해 3318억위안(약 60조1600억원) 규모였던 시장이 22.69% 증가할 것이란 예상이다. 중국 Z세대(1996년~2009년 출생) 소비 확대가 주요 성장 요인으로 꼽힌다. 노화 징후가 나타나기 전부터 피부를 집중 관리하는 '얼리 안티 에이징' 트렌드가 확산하면서 주요 소비자층으로 떠오르고 있다. 현지 Z세대 여성의 연간 화장품 구입액은 1713위안(약 31만1000원)으로 35세~54세 여성(982위안·약 17만8000원)에 비해 74.44% 많다. 코로나19 앤데믹을 맞아 야외 활동이 늘어난 것도 화장품 수요 증가로 이어질 것이란 예상이다. 중국 화장품 시장 성장을 주도할 기업으로는 △바이췌링 △즈란탕 △프로야 △위노나 등 현지 업체가 선정됐다. 글로벌 뷰티기업들이 장악하고 있는 시장에서 바이췌링과 즈란탕은 지난 2020년 이후 3년째 각각
[더구루=홍성일 기자] 세계 최대 전자상거래 기업 아마존(Amazon)이 로봇 기술과 인공지능(AI)을 결합해 미국 스마트 물류 시스템 표준을 정립하고 있다. 물류 효율성이 기업 경쟁력의 핵심으로 떠오르면서, 아마존의 행보가 업계 전반에 걸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평가다. [유료기사코드] 25일 코트라 로스앤젤레스무역관 보고서에 따르면 아마존의 스마트 물류 시스템은 미국 연방정부가 제정한 '인프라 투자 및 일자리 법(IIJA, Infrastructure Investment and Jobs Act)' 등과 맞물려 미국 물류 산업 전반의 지능형 전환을 이끌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아마존은 지난 2012년 로봇 기술 스타트업 '키바 시스템(Kiva Systems)' 인수를 기점으로 물류센터 자동화를 본격화했다. 현재는 △프로테우스(Proteus) △카디널(Cardinal) △스패로(Sparrow) 등 다양한 첨단 로봇과 AI 기반 소프트웨어를 통해 물류 처리 속도와 정확성, 비용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있다. 2022년 공개된 프로테우스는 사람과 동일한 공간에서 충돌 없이 자율주행하며 카트를 운반하는 완전 협업형 로봇이다. 카디널은 머신러닝 기반 비전 시스템
[더구루=홍성일 기자] 대만 전자제품 위탁생산(EMS) 기업 위스트론(Wistron)이 엔비디아(NVIDIA)의 인공지능(AI) 서버 생산을 위해 미국 제조 시설 건설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엔비디아는 위스트론, 폭스콘 등과 손잡고 미국 AI 인프라 구축 프로젝트를 진행한다. [유료기사코드] 24일 업계에 따르면 제프 린(Jeff Lin) 위스트론 최고경영자(CEO)는 최근 개최된 연례 주주총회에서 "내년 중 미국 텍사스주 댈러스 공장을 준공하고 블랙웰(Blackwell) 아키텍처 기반 AI 서버 생산을 시작할 것"이라고 밝혔다. 위스트론 댈러스 공장은 엔비디아의 대대적인 미국 AI 인프라 구축 사업에 따라 건설된다. 엔비디아는 지난달 최대 5000억 달러(약 690조원)를 미국 AI 인프라 구축에 투자할 것이라고 밝혔다. 엔비디아는 AI 인프라 구축 사업에 필요한 슈퍼컴퓨터 등을 미국에서 생산하겠다고 밝히며 폭스콘, 위스트론과 협력할 것이라고 전했다. 이에 따라 폭스콘도 텍사스주 휴스턴에 새로운 공장을 건설하고 있다. 폭스콘 휴스턴 공장에서는 반도체 칩 테스트, 모듈 통합 작업 등이 진행된다. 위스트론은 엔비디아 외에 미국 내 추가 고객사 확보에도 나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