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김형수 기자] 일본 정부가 베트남을 경유하는 대(對) 미국 가리비 수출길 확보에 나섰다. 후쿠시마 오염수 해양 방류 이후 중국 내 가리비 위탁가공이 중단되자 대체 루트 개발에 나선 것이다. 4일 일본무역진흥기구(JETRO)에 따르면 JETRO는 농림수산성, 경제산업성, 일본 식품 해외 프로모션센터(JFOOD) 등과 협력해 베트남을 경유해 미국에 가리비를 수출하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일본 정부가 추진히고 있는 '수산업 지키기(水産業を守る)' 정책 패키지의 일환이다. 골자는 대미 수출 가리비의 중간 가공지를 기존 중국에서 베트남으로 옮기는 것이다.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해양 방류 이후 중국 정부가 일본 수산물 금수조치를 시행하면서 가리비 중국 위탁 가공이 중단되자 대책 마련에 나선 것이다. 가리비는 오염수 방류로 수출 피해를 입은 대표적 품목으로 꼽힌다. 지난해 연말 재고가 소진되지 않으면서 보관 장소가 부족해지는 현상이 발생하기도 했다. 중국을 거쳐 미국에 수출되는 일본 가리비 규모는 연간 3만톤가량으로 추정된다. 지난달 베트남 가리비 가공시설에 점검단을 파견하며 베트남 경유 가리비 수출 루트 개발을 본격화했다. 홋카이도, 미야기현 등에 위치한 1
[더구루=김형수 기자] 중국 소비자들의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현지 식음료 시장에서 웰빙 트렌드가 확산하고 있다. 향후 시장 세분화가 진행됨에 따라 관련 시장은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4일 코트라에 따르면 지난해 중국 식음료 시장에서는 웰빙 식품 수요가 증가했다. 현지 소비들 사이에서 건강한 식단을 추구하는 트렌드가 확산한 것이 조미료, 음료, 식품 등의 구매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특히 천연 유제품, 저당·저염 조미료, 음료의 경우 무설탕 차 등을 중심으로 수요가 몰린 것으로 조사됐다. 반면 첨가제·방부제 등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높은 햄과 소시지, 당이 많이 들어있는 탄산음료와 꿀 등의 수요는 감소했다. 중장년층을 중심으로 중국 성인용 분유 시장도 확대되고 있다. 숙면, 뼈 건강 관리를 등을 위한 분유 소비가 늘어나는 것으로 분석된다. 중국의 교육 수준 제고, 국가 연금 인상 등으로 인해 실버층 사이에서 '자신을 위한(위에지·悦己)' 소비 트렌드가 확대된 것도 영향을 미쳤다는 평가다. 중국이 50세 이상 인구 비중 34.6%, 60세 이상 인구 비중 18.1%의 고령화 사회에 진입한 만큼 시장 전망도 밝다는 분석이 나온다. 이에 로컬 유제
[더구루=김형수 기자] 성장하는 중국 바람막이 의류 시장에서 로컬 패션 브랜드 카멜(CAMEL)이 급부상하고 있다. 현지 소비자들을 겨냥해 저렴한 가격, 실용성을 강조한 마케팅을 적극 펼친 것이 효과를 발휘했다는 평가다. 3일 코트라에 따르면 타오바오·티몰·징둥·틱톡 등 중국 메이저 전자상거래 플랫폼에서 지난 2022년 10월부터 지난해 9월까지 발생한 바람막이 옷 매출은 75억위안(약 1조3830억원)으로 집계됐다. 전년 동기 대비 165% 증가한 수치다. 중국에서 '바람막이 옷 코디'가 유행하면서 관련 수요가 늘어난 것으로 풀이된다. 현지 소비자들 사이에서 야외 레저 활동 뿐만 아니라 일상생활에서도 바람막이 옷을 착용하는 것이 편리하다는 인식이 확산한 것이 소비 증가로 이어졌다는 분석이다. 현지 인플루언서들이 SNS 등에 바람막이 옷 코디법 관련 콘텐츠를 줄줄이 올리면서 바람막이 옷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것도 영향을 미쳤다는 평가다. 중국 전자상거래 시장조사기관 머징(魔镜)에 따르면 지난해 6월 10만건 수준이었던 주요 SNS 플랫폼에서의 바람막이 옷 화제지수는 지난해 8월 30만건 가까이 급상승했다. 바람막이 옷에 대한 인식 전환에 힘입어 앞으로도 관련
[더구루=김형수 기자] 중국이 유망한 PB(자체브랜드) 상품 시장으로 떠오르고 있다. PB 상품에 대한 현지 소비자 인식이 제고되고 있어 국내 중소기업들에게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가 창출될 것이란 예상이 나온다. 3일 업계에 따르면 이마트는 발빠르게 중국 PB시장에 진출한 한국 기업으로 꼽힌다. 이마트는 지난 2020년 중국 대형 식품 유통기업 라이이펀(来伊份)과 손잡고 어육 소시지 PB상품을 공동 개발해 현지에 출시했다. 라이이펀은 그해 11월 현지에서 개최된 중국국제수입품박람회(CIIE)에 참가, 해당 어육 소시지 PB 상품을 적극 홍보한 바 있다.. 국내 기업의 중국 PB상품 시장 진출이 이어질 것으로 업계는 보고 있다. 특히 이마트와 손잡은 라이이펀이 지난 2015년 PB브랜드 용미(Youngme)를 론칭하고 글로벌 유명 식품과 중국 소비자를 연결하는 가교 역할을 하고 있어 국내 기업의 현지 PB 사업 기회는 더욱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마트는 지난 2021년 라이이펀과 3000만위안(약 60억원) 규모의 업무협약(MOU)을 체결했었다. 이마트는 해당 업무협약을 토대로 국내 중소기업의 해외 판로 개척을 적극 뒷받침하고 있다. <본보 2021년
[더구루=김형수 기자] 일본 정부가 미국 텍사스주에 자국 농수산물·식품 수출 확대를 위한 남부 거점을 마련했다. 오는 2030년 농수산·식품 수출 5조엔(약 45조3090억원) 달성이라는 비전 실현에 박차를 가한다는 방침이다. 3일 일본무역진흥기구(JETRO)에 따르면 JETRO는 지난달 5일 일본 농림수산성과 협력해 미국 텍사스주 휴스턴에 농수산물·식품 수출 지원 플랫폼 거점을 조성했다. 지난 2022년 4월 미국 서부 캘리포니아주 LA, 동부 뉴욕주 뉴욕 이후 세번째로 구축한 현지 거점이다. 일본 정부 당국은 이들 거점을 토대로 자국 농수산물·식품 수출을 적극 뒷받침한다는 방침이다. 수출기업 등을 대상으로 현지 밀착형 지원을 지속적으로 제공한다는 계획이다. 지난달 5일부터 이틀 동안 휴스턴에 위치한 NRG센터에 열린 '라멘 엑스포/이자카야 엑스포 USA'(RAMEN EXPO/IZAKAYA EXPO USA)를 통해 관련 활동을 본격화했다. 일본 음식, 식재료 등을 미국에 알리기 위해 기획된 행사다. 행사 현장에서 일본 유명 라면집의 셰프를 초청해 현지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라면 조리 시연회를 열고 일본 수산물 등 식재료를 중점 홍보했다. 일본 정부는 향후 현
[더구루=김형수 기자] 풀무원이 중국 핫도그 브랜드 순위에서 3위를 차지했다. 국내 브랜드 가운데 가장 높은 순위다. 대상 청정원도 4위에 오르며 '톱5'에 이름을 올렸다. 국내 브랜드가 로컬 브랜드와 경쟁에서 상위권을 차지한 것은 품질 경쟁력에 따른 성과로 평가된다. 2일 중국 랭킹사이트 987 브랜드 네트워크에 따르면 풀무원은 중국 핫도그 브랜드 순위에서 3위를 기록했다. 브랜드 지수 10점 만점 중 9.5점을 받았다. 인기 지수는 7780점을 기록했다. 이어 대상 청정원은 브랜드 지수 9.4점, 인기 지수 6872점을 받으며 4위에 올랐다. 987 브랜드 네트워크는 △댓글 △사용자 평판 △네티즌 투표 △제3자 평가 웹사이트 △쇼핑 플랫폼 등의 데이터로 구성된 인터넷 빅데이터 분석 결과를 토대로 해당 순위와 지수를 매겼다고 전했다. 자동 알고리즘 기술을 활용해 관련 데이터를 스크리닝해 분석하는 과정을 거쳤다. 풀무원과 대상 청정원 등이 중국에 선보인 바삭함을 강조한 핫도그가 현지 소비자들의 입맛을 사로잡은 영향으로 분석된다. 특히 핫도그 겉면에 감자큐브를 붙여 감자의 바삭한 식감을 느낄 수 있도록 만들어진 한국식 핫도그가 인기 제품으로 꼽힌다. 중국 인플
[더구루=김형수 기자] 아모레퍼시픽이 중국 내 'K-뷰티 브랜드 톱10'에서 상위권을 독식했다. LG생활건강 '후'(Whoo)는 '5위'를 기록했다. 2일 중국 랭킹사이트 987 브랜드 네트워크에 따르면 아모레퍼시픽 설화수는 K-뷰티 브랜드 순위 1위를 차지했다. 브랜드 지수 10점 만점 중 9.7점을 받았다. 인기 지수는 7155점을 기록했다. 아모레퍼시픽과 이니스프리는 각각 2위와 3위에 이름을 올렸다. 아모레퍼시픽은 브랜드 지수 9.6점, 인기 지수 5357점을 받았다. 이니스프리는 아모레퍼시픽과 같은 브랜드 지수 9.6점을 받았으나 인기 지수가 5259점에 그쳤다. 4위는 라네즈가 차지했다. 라네즈는 브랜드 지수 9.3점, 인기지수 6635점을 받았다. LG생활건강 후가 5위에 올랐다. 브랜드 지수 9.2점, 인기 지수 1만3258점을 기록했다. 이어 △AHC △숨37° △3CE 스타일난다 △헤라 △잇츠스킨 순으로 '톱10'에 이름을 올렸다. 987 브랜드 네트워크는 △댓글 △사용자 평판 △네티즌 투표 △제3자 평가 웹사이트 △쇼핑 플랫폼 등의 데이터로 이뤄진 인터넷 빅데이터 분석 결과를 토대로 해당 순위와 지수를 매겼다고 설명했다. 자동 알고리즘 기
[더구루=김형수 기자] 대상이 일본법인장에 '영업·마케팅 전문가'를 전면 배치해 열도 공략에 나섰다. 현지 유통망 확장과 B2B 마케팅 강화를 토대로 현지 입지를 끌어올린다는 방침이다. 1일 업계에 따르면 대상은 일본법인 '대상 재팬' 신임 법인장으로 김회찬 팀장을 발령했다. 김 신임법인장은 전임자 심용태 법인장에 이어 대상 일본 사업을 이끌게 됐다. 일본 시장에 잔뼈가 굵은 김 법인장의 노하우가 현지 사업 확대의 발판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김 법인장은 2010년대 초반 대상 해외전략기획팀에서 근무하며 일본에서 홍초 열풍을 일으킨 주역으로 평가 받고 있다. 그는 지난 2011년 9월 홍초는 일본 음용식초 시장 1위에 오르며 히트 상품 반열에 올랐다. 당시 홍초 인기에 힘입어 대상 일본 수출액은 전년 대비 18배 수직 증가한 70억원을 기록했다. 대상 일본법인은 김 법인장 취임을 계기로 현지 유통망 확장, 마케팅 강화 등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특히 최근 확보한 현지 생산 역량을 토대로 현지 사업 확대를 꾀한다는 것. 대상은 지난해 1월 현지 식품 생산 역량 확보를 목적으로 설립한 대상 재팬 자회사 '대상 푸드 재팬'(Daesang Foods Japan In
[더구루=김형수 기자] 롯데웰푸드가 일본 도쿄 신주쿠 일본롯데 본사에 새로 둥지를 마련했다. 신동빈 회장이 강조하는 '원롯데' 행보가 이어지는 가운데 한일롯데간 제과 사업 부문 협력 강화를 하기 위한 포석으로 분석된다. 1일 업계에 따르면 롯데웰푸드는 지난해 12월 도쿄 신주쿠에 자리한 일본 롯데 본사 2층에 롯데웰푸드 도쿄사무소를 열고 이달 부터 본격 운영하고 있다. 지난 1980년 초반 롯데제과 시절 도쿄 부도심에 도쿄사무소를 운영했으나 최근 신 회장의 '원롯데' 전략이 탄력을 붙으면서 한일 롯데 간 긴밀한 커뮤니케이션 필요성이 확대되면서 일본롯데 본사빌딩으로 이전한 것으로 분석된다. 특히 롯데웰푸드와 일본롯데 간 해외 사업 협력도 증가하고 있어 시너지를 극대화하고 중복 사업을 피하기 위한 행보로도 보인다. 무엇보다 일본롯데 본사에 롯데웰푸드 도쿄사무소가 둥지를 튼 만큼 롯데웰푸드와 일본 롯데의 북미 합작 자회사 설립에 더욱 속도가 붙을 것으로 예상된다. 양사는 제과 사업을 시작으로 향후 간편식 등으로 사업을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본보 2023년 11월 15일 참고 [단독] 롯데웰푸드·일본롯데, 美 합작 자회사 설립…신동빈 원롯데 '방향타'>
[더구루=김형수 기자] CJ제일제당 다시다가 중국 내 K-조미료 브랜드 '넘버1'을 차지했다. 삼양식품 불닭과 대상 청정원, 샘표 등도 '톱5'에 이름을 올렸다. 1일 중국 랭킹사이트 987 브랜드 네트워크에 따르면 CJ제일제당 다시다(현지명 大喜大)는 한국식 조미료·소스 브랜드 순위 1위에 올랐다. 브랜드 지수 10점 만점 중 9.7점을 받았다. 인기지수는 10936점을 기록했다. 987 브랜드 네트워크는 △댓글 △사용자 평판 △네티즌 투표 △제3자 평가 웹사이트 △쇼핑 플랫폼 등의 데이터로 구성된 인터넷 빅데이터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해당 순위와 지수를 매겼다고 전했다. 자동 알고리즘 기술을 활용해 관련 데이터를 스크리닝해 분석했다. 삼양식품 불닭 소스와 대상 청정원이 ‘톱3'에 이름을 올렸다. 삼양식품 불닭은 다시다와 같은 브랜드 지수 9.7점을 받았으나 인기 지수가 7506점에 그쳤다. 대상 청정원은 브랜드 지수 9.6점, 인기지수 8078점을 받았다. 중국 로컬 브랜드 신허(欣和)가 4위를 차지했다. 샘표가 5위에 올랐다. 샘표는 브랜드 지수 9.2점, 인기지수 9006점을 받았다. 국내 브랜드가 중국 식문화를 고려한 현지화 마케팅을 펼치며 로컬
[더구루=김형수 기자] 오리온이 베트남에서 확산하고 있는 '세뱃돈 고래밥' 관련 가짜 루머에 적극 대응하고 있다. 베트남 최대 명절 뗏(Tet)을 앞두고 세뱃돈이 포함된 고래밥을 판매한다는 루머가 빠르게 확산되자 성명을 내고 진화에 나섰다. 1일 업계에 따르면 오리온은 베트남 공식 홈페이지에 "2024년 뗏 버전 고래밥(현지명 마린보이)에 세뱃돈이 없다"는 내용을 골자로 한 안내문을 직접 게시했다. 오리온은 안내문을 통해 "오리온이 세뱃돈이 들어있는 뗏 버전 고래밥을 판매하고 있다는 것은 사실과 다르다"면서 "관련 미디어 채널 등 마케팅도 전혀 없다"고 강조했다. '세뱃돈 고래밥' 루머는 온라인을 중심으로 퍼지기 시작했다. 실제로 숏폼 플랫폼 틱톡 콘텐츠에는 고래밥 상자를 개봉하자 나오는 50만 동권(2만7400원), 20만동권(약 1만1000원), 1000동권(60원), 500동권(30원) 등 지폐에 감탄하는 사람들의 모습이 담겨있다. 지난 13일 틱톡에 게시된 한 콘텐츠는 31만회가 넘는 조횟수를 기록했다. 이를 접하고 고래밥을 구입한 소비자들이 항의가 빗발치자 박 대표가 직접 루머 대응에 나선 것이다. 부정적 이슈가 확산하면서 대목으로 꼽히는 뗏 기간
[더구루=김형수 기자] 삼양식품이 중국 라면 브랜드 순위에서 3위를 차지했다. 국내 브랜드 가운데 가장 높은 순위다. 농심 역시 6위를 차지하며 '톱10'에 이름을 올렸다. 31일 중국 랭킹사이트 '987 브랜드 네트워크'에 따르면 삼양식품은 지난해 중국 라면 브랜드 순위 3위를 기록했다. 브랜드 지수 10점 만점 중 9.7점을 받았다. 호평지수는 96.8%를 기록했다. 농심은 브랜드 지수 9.1점, 호평지수88.2%를 받으며 6위에 올랐다. 987 브랜드 네트워크는 △댓글 △사용자 평판 △네티즌 투표 △제3자 평가 웹사이트 △쇼핑 플랫폼 등의 데이터로 구성된 인터넷 빅데이터 분석 결과를 토대로 해당 순위와 지수를 매겼다고 설명했다. 자동 알고리즘 기술을 활용해 관련 데이터를 스크리닝해 분석했다. 삼양식품과 농심의 간판 제품인 '불닭볶음면'과 '신라면'의 매운맛이 현지 소비자들의 입맛을 사로 잡은 영향으로 분석된다. 현지에서 부는 한류 열풍에 힘입은 K-푸드에 대한 관심도 한몫했다는 평가도 있다. 특히 불닭볶음면은 지난 2022년 9월 중국 소비자가 선정한 가장 인기있는 인스턴트라면에 선정되는 등 현지 시장에서 히트 상품으로 자리매김했다. <본보 202
[더구루=홍성일 기자] 세계 최대 전자상거래 기업 아마존(Amazon)이 로봇 기술과 인공지능(AI)을 결합해 미국 스마트 물류 시스템 표준을 정립하고 있다. 물류 효율성이 기업 경쟁력의 핵심으로 떠오르면서, 아마존의 행보가 업계 전반에 걸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평가다. [유료기사코드] 25일 코트라 로스앤젤레스무역관 보고서에 따르면 아마존의 스마트 물류 시스템은 미국 연방정부가 제정한 '인프라 투자 및 일자리 법(IIJA, Infrastructure Investment and Jobs Act)' 등과 맞물려 미국 물류 산업 전반의 지능형 전환을 이끌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아마존은 지난 2012년 로봇 기술 스타트업 '키바 시스템(Kiva Systems)' 인수를 기점으로 물류센터 자동화를 본격화했다. 현재는 △프로테우스(Proteus) △카디널(Cardinal) △스패로(Sparrow) 등 다양한 첨단 로봇과 AI 기반 소프트웨어를 통해 물류 처리 속도와 정확성, 비용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있다. 2022년 공개된 프로테우스는 사람과 동일한 공간에서 충돌 없이 자율주행하며 카트를 운반하는 완전 협업형 로봇이다. 카디널은 머신러닝 기반 비전 시스템
[더구루=홍성일 기자] 대만 전자제품 위탁생산(EMS) 기업 위스트론(Wistron)이 엔비디아(NVIDIA)의 인공지능(AI) 서버 생산을 위해 미국 제조 시설 건설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엔비디아는 위스트론, 폭스콘 등과 손잡고 미국 AI 인프라 구축 프로젝트를 진행한다. [유료기사코드] 24일 업계에 따르면 제프 린(Jeff Lin) 위스트론 최고경영자(CEO)는 최근 개최된 연례 주주총회에서 "내년 중 미국 텍사스주 댈러스 공장을 준공하고 블랙웰(Blackwell) 아키텍처 기반 AI 서버 생산을 시작할 것"이라고 밝혔다. 위스트론 댈러스 공장은 엔비디아의 대대적인 미국 AI 인프라 구축 사업에 따라 건설된다. 엔비디아는 지난달 최대 5000억 달러(약 690조원)를 미국 AI 인프라 구축에 투자할 것이라고 밝혔다. 엔비디아는 AI 인프라 구축 사업에 필요한 슈퍼컴퓨터 등을 미국에서 생산하겠다고 밝히며 폭스콘, 위스트론과 협력할 것이라고 전했다. 이에 따라 폭스콘도 텍사스주 휴스턴에 새로운 공장을 건설하고 있다. 폭스콘 휴스턴 공장에서는 반도체 칩 테스트, 모듈 통합 작업 등이 진행된다. 위스트론은 엔비디아 외에 미국 내 추가 고객사 확보에도 나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