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김형수 기자] 삼양식품이 일본에서 불닭볶음면 캐릭터 호치 생일 마케팅에 나서 눈길을 끌고 있다. 특히 호치 생일을 기념한 데이 마케팅이 발렌타인데이처럼 안착될 경우 불닭볶음면은 단순한 라면이 아닌 문화 콘텐츠로 자리매김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27일 업계에 따르면 삼양식품은 다음달 1일부터 30일까지 일본에서 '불닭볶음면의 날(4월13일)' 2주년 기념 캠페인을 펼친다. 까르보불닭볶음면 봉지면, 용기면 등을 구입한 고객에게 온라인 쇼핑 포인트를 제공하는 것이 이번 캠페인의 골자다. 캠페인 참여 방법은 간단하다. 다음달 30일까지 까르보불닭볶음면을 구입한 뒤 스마트폰으로 해당 영수증 인증샷을 촬영해 온라인을 통해 제출하면 된다. 삼양식품은 추첨을 통해 선정된 행운의 주인공 413명에게 1000엔(약 8900원) 상당의 온라인 쇼핑 포인트를 제공할 계획이다. 해당 포인트는 아마존 기프트카드, 모바일 결제 서비스 페이페이 포인트, NTT도코모의 d포인트 등의 형태로 주어질 예정이다. 삼양식품은 다음달 13일이 불닭볶음면의 날 2주년이라는 의미를 살려 당첨자 숫자를 413명으로 정했다. 앞서 불닭볶음면의 날은 지난 2022년 4월 사단법인 일본기념일협
[더구루=김형수 기자] 농심과 하이트진로가 일본에서 손잡고 굿즈 마케팅에 나서 눈길을 끌고 있다. 앞서 선보인 굿즈가 흥행한 데 힘입어 굿즈 라인업을 확대하는 등 마케팅을 강화하고 있다. 27일 업계에 따르면 농심과 하이트진로는 일본 장난감업체와 반다이의 캡슐토이 브랜드 가샤폰과 협력해 개발한 '집 포차 미니어처 콜렉션(이하 집 포차 콜렉션)'을 다음달 8일 현지 출시한다. 일본 전역에 자리한 가샤폰 반다이 공식 매장, 장난감가게, 양판점 등에 설치된 캡슐 토이 자판기를 통해 순차적으로 판매에 들어간다는 계획이다. 집 포차 콜렉션은 '포장마차처럼 꾸며진 집에서 식사와 함께 즐기는 한잔'을 콘셉트로 개발됐다. 해당 콜렉션은 △신라면 △너구리 △짜파게티 등 농심 대표라면, △참이슬 후레쉬 △막걸리 등 하이트진로 대표 주류 제품과 △수저△주전자 △막걸리잔 △밥그릇 등으로 구성됐다. 신라면, 너구리, 짜파게티 굿즈는 제품 패키지 미니어처와 조리된 라면의 모습을 재현한 미니어처가 세트로 이뤄졌다. 참이슬 후레쉬의 경우 소주잔 미니어처, 막걸리의 경우 손잡이가 달린 막걸리잔 미니어처가 세트로 구성됐다. 콜렉션 라인업을 확대하며 굿즈 흥행을 이어나가려는 양사의 전략으로
[더구루=김형수 기자] 아모레퍼시픽이 3대 전략을 추진, 중국 시장에서 권토중래(捲土重來)를 노린다. △품질 경쟁력 향상 △디지털 역량 제고 △지속가능 경영 강화 등을 통해 현지 뷰티 시장 내 경쟁에서 우위를 점한다는 전략이다. 황영민 아모레퍼시픽 중국 법인장은 지난 22일(현지 시간) 중국 관영 매체 차이나데일리(China Daily)와의 인터뷰를 통해 현지 사업 확대를 위한 성장 전략을 밝혔다. 황 법인장이 제시한 성장 전략은 △소비자 중심 제품 혁신 △지속적 디지털 고도화 △미래지향적 지속가능 경영 등 3축으로 구성됐다. 이들 분야에 대한 투자를 확대하며 경쟁력을 키우겠다는 구상이다. 소비자 중심 제품 혁신은 중국 상하이에 있는 R&D센터를 기반으로 이뤄질 전망이다. 빅데이터 탐색, 소비자 행동 조사, 제품 블라인드 테스트, 임상 시험 등을 펼치며 중국 화장품 트렌드, 로컬 소비자 니즈 등을 겨냥한 현지화 전략을 펼친다는 계획이다. 중국 시장 특화 기술 콘텐츠를 개발해 제품 라이프사이클 전체에 적용한다는 방침이다. 디지털 중심 사업 모델로의 전환에 속도를 낸다는 계획이다. 아모레퍼시픽은 중국 전자상거래기업 알리바바의 클라우드 사업부문 자회사 알리
[더구루=김형수 기자] 배달의민족 모기업 딜리버리히어로(DH)가 배달 산업 고도화를 위해 국내에 대규모 투자를 단행한다. 글로벌 배달 산업을 선도하는 국내에서 산업 다변화를 추진하고, 한국에서 쌓은 노하우를 토대로 글로벌 경쟁력을 제고한다는 전략이다. 니클라스 외스트버그(Niklas Östberg) 딜리버리히어로 대표는 25일 포춘코리아와의 인터뷰를 통해 대규모 사회적 투자를 통해 한국 배달 사업을 확대하는 성장 전략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외스트버그 대표가 이날 언급한 성장 전략은 앞서 배달의민족이 지난 13일 2000억원 규모의 '지속가능을 위한 배민다운 약속'(commitment) 투자 계획과 궤를 같이하고 있다. 배달의민족은 당시 △입점 업주들과의 동반성장 △배달 라이더의 안전과 건강 △친환경 배달문화 등 3축을 중심으로 구성된 청사진을 제시한 바 있다. 입점 업주를 위한 배민아카데미 운영·맞춤형 교육 및 컨설팅·외식업 정보지원 확대, 배달 라이더 대상 배민라이더스쿨 확대 운영·업계 최저 시간제 보험료 제공·배달 안전물품 지원, 환경보호를 위한 재생에너지 사용 확대·친환경 배달수단 전환·지속가능 패키징 확대 등의 세부안이 담겨있다. 외스트버그 대표는
[더구루=김형수 기자] 아모레퍼시픽 헤라가 일본 도쿄에 있는 긴자 미츠코시백화점에 팝업스토어를 오픈하고 고객몰이에 나선다. 헤라는 로컬 소비자들과의 접점을 확대하며 열도 뷰티 시장을 겨냥한 마케팅을 강화하고 있다. 25일 업계에 따르면 헤라는 오는 29일부터 6월25일까지 긴자 미츠코시(銀座三越) 백화점에서 팝업스토어를 운영한다. 긴자 미츠코시 백화점은 긴자 중심가에 위치한 대형 백화점으로 긴자 쇼핑의 중심지로 꼽힌다. 구찌와 생로랑, 셀린느, 로에베 등 유명 브랜드 매장이 입점해 있는 데다 긴자 전망을 감상할 수 있는 옥상 정원이 9층에 있어 현지인은 물론 해외 여행객들의 발길이 이어지는 '핫플레이스' 널리 알려져 있다. 헤라는 해당 팝업스토어에서 대표 상품 블랙쿠션을 집중 홍보한다는 계획이다. 블랙쿠션은 지난 2017년 3월 출시 이후 지난 1월까지 누적 판매량 1000만개를 돌파한 히트 상품이다. 레이어리스 매트 커버 기술이 적용돼 가볍게 밀착되는 세미 매트 쿠션이다. 지난달 현지에 출시한 루즈 클래시도 선보인다. '럭셔리 앵커-핏' 기술력을 적용해 부드러운 발림성과 밀착력을 구현한 화장품이다. 서울 레드, 모브 시크, 핑크 얼루어 등 10개 컬러를 판
[더구루=김형수 기자] 화승엔터프라이즈가 인도네시아에서 대규모 채용에 들어갔다. 인력 확충을 통해 현지 생산 역량을 제고하고 늘어나는 고객사 주문에 대응한다는 방침이다. 25일 업계에 따르면 화승엔터프라이즈는 인도네시아 자와텡가주 바탕간 지구(Batangan District)에 위치한 신발 제조 공장에서 일할 직원 채용에 나섰다. 조립을 비롯해 △재단 △재봉 △컴퓨터 재봉 △품질 관리 등의 업무를 담당할 인력을 모집하고 있다. 화승엔터프라이즈는 우선 500여명을 채용한다는 계획이다. 이후 단계적 충원을 통해 1만5000명 규모의 인력을 확보한다는 방침이다. 화승엔터프라이즈 입사를 희망하는 경우 입사지원서, 최종학력증명서(졸업장), 이력서 등의 서류를 제출하면 된다. 화승엔터프라이즈는 아디다스 주문량 증가에 대응해 생산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인력 충원을 꾸준히 실시하고 있다. 지난 2022년 6월에 이어 지난해 9월 인도네시아 공장 직원을 채용했었다. <본보 2023년 9월 20일 아디다스 '부활조짐'…화승엔터, 인도네시아서 채용문 '활짝'> 화승엔터프라이즈는 아디다스 협력업체 가운데 납품속도가 가장 높다는 평가를 받고 있으며 주문이 지속적으로 늘어
[더구루=김형수 기자] 롯데호텔 모스크바가 현지 최고의 호텔로 선정됐다. 뛰어난 시설, 감각적 인테리어 등이 높은 평가를 받았다. 24일 러시아 리뷰 전문매체 준(Zoon)에 따르면 롯데호텔 모스크바는 '현지 최고의 호텔'로 뽑혔다. 준은 호텔의 객실, 부대시설, 인테리어, 위치, 서비스 등에 대한 평가를 토대로 우수 호텔을 선정했다고 전했다. 롯데호텔 모스크바는 약 50㎡ 규모에 육박하는 대형 스위트룸을 비롯해 패셔너블한 인테리어가 적용된 300개의 객실을 보유하고 있다는 점이 호평을 받았다. 고급스러우면서도 모던한 감각으로 꾸며진 객실에서 편안한 휴식을 취할 수 있다는 평가다. 스파, 피트니스센터, 수영장, 연회장 등 고객들의 다양한 니즈에 대응할 수 있는 부대시설을 고루 갖추고 있다는 점도 높은 점수를 받았다. 투숙객의 경우 주차장을 무료로 사용할 수 있다는 점도 장점으로 거론됐다. 준은 "세계적 수준의 롯데호텔 모스크바는 언제나 고객을 맞이할 준비가 되어있는 호텔"이라면서 "특히 호텔 객실은 편안한 휴식, 비즈니스 활동 등을 할 수 있는 모든 조건을 갖추고 있다"고 전했다. 롯데호텔 모스크바가 연달아 호평을 받음에 따라 롯데호텔의 현지 시장 내 입지가
[더구루=김형수 기자] CJ제일제당이 비비고 만두가 독일 프랑크푸르트 베스트하펜 타워(Westhafen Tower)에 깜짝 등장했다. CJ제일제당은 컴퓨터그래픽(CG) 기술을 활용해 베스트하펜 타워 꼭대기에 얹어진 비비고 만두를 구현했다. 다양한 각도로 김이 모락모락 나는 만두의 모습을 담아내 현실감을 살렸다. 24일 업계에 따르면 CJ제일제당은 비비고 독일 인스타그램 계정에 만두 숏폼 콘텐츠를 게시하고 비비고 만두 홍보전에 나섰다. 앞서 영국에 이어 독일에서 비비고 만두 디지털 콘텐츠를 통해 K-푸드 알린다는 계획이다. 프랑크푸르트 시내를 동서로 가로지르는 마인강 강변에 자리한 베스트하펜 타워에는 360°도로 프랑크푸르트 시내를 내려다볼 수 있는 전망대와 여러 레스토랑이 있다. 박물관, 미술관 등도 근처에 있어 여행객들 사이에서 필수 방문코스로 꼽힌다. CJ제일제당은 유럽 주요 도시에 있는 유명 관광지를 배경으로 한 디지털 콘텐츠를 연달아 선보이며 비비고 만두를 중점 홍보하고 있다. 미국과 동남아시아 등에 비해 한식에 대한 소비자 인지도가 낮은 시장으로 꼽히는 유럽 시장을 겨냥한 마케팅에 주력하는 것이다. CJ제일제당은 앞서 지난 1월 영국 틱톡 계정과 인
[더구루=김형수 기자] 아모레퍼시픽 에뛰드가 오버글로우 틴트를 일본에 출시하고 열도 뷰티 시장 공략에 박차를 가한다. 포트폴리오를 꾸준히 확대하며 신규 수요를 창출한다는 전략이다. 23일 업계에 따르면 에뛰드는 다음달 26일 일본에 오버글로우 틴트를 론칭한다. 로프트·마츠모토 키요시 등 현지 버라이어티숍(화장품 등 편집매장)과 라쿠텐·큐텐·아마존 재팬 등 현지 대형 온라인쇼핑몰을 통해 순차적으로 판매를 시작한다는 계획이다. 에뛰드는 오버글로우 틴트가 볼륨감 있고 윤기나는 입술을 연출하는 데 도움을 주는 화장품이라고 소개했다. 입술을 오랜 시간 동안 촉촉하게 유지하는 보습 기능도 갖추고 있다. 로즈 부케를 비롯해 △피치 슈가 △프레쉬 애플 △밀크브루 △레드 체리 △해밍 필크 등 6종의 컬러를 준비했다. 에뛰드는 "퍼스널 컬러에 맞춰 쓸 수 있도록 다양한 컬러를 준비했으며, 발색력이 뛰어나 입술에 선명한 컬러감을 선사할 것"이라면서 "플래시 라이트를 비춘 것 같은 광택을 지닌 볼륨 있는 입술을 연출해줄 것"이라고 전했다. 에뛰드는 제품군을 꾸준히 확대하며 일본 시장을 겨냥한 마케팅에 공을 들이고 있다. 지난해 12월 샤이니 리플레이 컬렉션(Replay Colle
[더구루=김형수 기자] 비만 치료제 시장에서 미국 제약회사 일라이 릴리, 덴마크 제약기업 노보디스크 등이 급부상하고 있다. 혁신적 비만치료제를 개발하며 관련 시장을 선도하고 있다는 평가다. [유료기사코드] 23일 글로벌 투자은행 제프리스(Jeffries)에 따르면 오는 2030년 GLP-1 비만치료제 글로벌 시장 규모는 1500억달러(약 198조8600억원) 규모에 달할 전망이다. 이 가운데 미국 시장이 차지하는 비율은 2/3으로 1000억달러(약 132조5700억원) 규모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GLP-1 비만치료제는 몸속 인슐린 분비를 촉진해 포만감을 높이는 방식으로 식욕을 억제하는 효과를 지니고 있다. 미국 내 비만 인구 증가가 시장 성장요인으로 꼽힌다. 미국 비영리단체 트러스트포아메리카스헬스(Trust for America’s Health) 조사 결과 지난 2022년 미국의 전국 성인 비만 비율은 42%로 집계됐다. 지난 2004년에 비해 5%p 증가한 수치다. 운동 인프라 부족, 신선식품 구매 어려움 등에 따른 건강한 생활습관 형성의 어려움이 원인으로 지목됐다. 코트라는 현지 시장을 주도하는 업체로 일라이 릴리, 노보디스크 등을 선정했다. 일라이
[더구루=김형수 기자] 현대백화점그룹 자회사 지누스 침대 프레임이 미국 유명잡지 '굿 하우스키핑'(Good Housekeeping)이 주관한 시상식에서 수상했다. 편의성, 고풍스런 디자인 등이 높은 점수를 받았다. 23일 굿 하우스키핑에 따르면 지누스가 출시한 '하이디 메탈 플랫폼 침대 프레임'(Heidi Metal Platform Bed Frame·이하 하이디 침대 프레임)은 '2024 베스트 베딩 어워드' 침대 프레임 부문에서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굿 하우스키핑은 자체 연구소 소속 전문가들이 내린 평가 결과를 토대로 수상작을 선정했다고 전했다. 해당 전문가들은 300여명에 달하는 실험 참가자들과 협력해 △내구성 △편의성 △디자인 등에 대한 테스트를 수행했다. 하이드 침대 프레임은 누구나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다는 점이 호평을 받았다. 부품 별로 라벨링이 잘 돼있는 데다 조립에 필요한 공구도 모두 동봉돼 있어 한시간 남짓이면 완성할 수 있다는 것이다. 하이디 침대 프레임의 디자인도 호평을 받았다. 고풍스러우면서도 현대적 느낌의 디자인이 적용돼 침실 인테리어 요소로 활용하기 좋다는 평가다. 견고한 침대 프레임 아래 약 28cm 높이의 공간을 수납에 활용할
[더구루=김형수 기자] 올리브인터내셔널 뷰티 브랜드 밀크터치가 일본 뷰티 전문매체 비테키(美的) 콜라보 이벤트를 펼치며 열도 뷰티 시장 공략에 나섰다. 아이돌그룹 트와이스의 멤버 지효를 내세운 스타 마케팅에 이어 현지 소비자들에게 제품 체험 기회를 제공하며 브랜드 인지도를 제고한다는 전략이다. 22일 업계에 따르면 밀크터치는 비테키와 협력해 '비테키 그랜드 봄(春)호' 발매를 기념한 콜라보 행사를 전개하고 있다. 비테키 그랜드 봄호 구매 고객에게 △올데이 롱앤컬 마스카라(1개) △올데이 슈퍼 멜팅 마스카라 리무버(1개) 등을 부록으로 제공하는 것이 골자다. 올데이 롱앤컬 마스카라의 경우 블랙, 브라운 제품 가운데 하나를 랜덤으로 제공한다. 올데이 롱앤컬 마스카라는 뭉침, 번짐, 처짐 등이 없어 속눈썹을 깔끔하게 연출하는 데 도움을 주는 화장품이다. 촘촘하게 멀티 컷팅된 사각 브러시가 뭉침없이 정교한 볼륨을 선사한다는 설명이다. 워터프루프, 오일프루프 기능도 갖추고 있다. 올데이 슈퍼 멜팅 마스카라 리무버는 마스카라를 빠르고 깔끔하게 지워주는 기능을 지녔다. 올리브 오일, 코코넛야자 오일, 피마자씨 오일, 호호바씨 오일, 로즈힙열매 오일 등 속눈썹 케어 성분
[더구루=홍성일 기자] 세계 최대 전자상거래 기업 아마존(Amazon)이 로봇 기술과 인공지능(AI)을 결합해 미국 스마트 물류 시스템 표준을 정립하고 있다. 물류 효율성이 기업 경쟁력의 핵심으로 떠오르면서, 아마존의 행보가 업계 전반에 걸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평가다. [유료기사코드] 25일 코트라 로스앤젤레스무역관 보고서에 따르면 아마존의 스마트 물류 시스템은 미국 연방정부가 제정한 '인프라 투자 및 일자리 법(IIJA, Infrastructure Investment and Jobs Act)' 등과 맞물려 미국 물류 산업 전반의 지능형 전환을 이끌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아마존은 지난 2012년 로봇 기술 스타트업 '키바 시스템(Kiva Systems)' 인수를 기점으로 물류센터 자동화를 본격화했다. 현재는 △프로테우스(Proteus) △카디널(Cardinal) △스패로(Sparrow) 등 다양한 첨단 로봇과 AI 기반 소프트웨어를 통해 물류 처리 속도와 정확성, 비용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있다. 2022년 공개된 프로테우스는 사람과 동일한 공간에서 충돌 없이 자율주행하며 카트를 운반하는 완전 협업형 로봇이다. 카디널은 머신러닝 기반 비전 시스템
[더구루=홍성일 기자] 대만 전자제품 위탁생산(EMS) 기업 위스트론(Wistron)이 엔비디아(NVIDIA)의 인공지능(AI) 서버 생산을 위해 미국 제조 시설 건설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엔비디아는 위스트론, 폭스콘 등과 손잡고 미국 AI 인프라 구축 프로젝트를 진행한다. [유료기사코드] 24일 업계에 따르면 제프 린(Jeff Lin) 위스트론 최고경영자(CEO)는 최근 개최된 연례 주주총회에서 "내년 중 미국 텍사스주 댈러스 공장을 준공하고 블랙웰(Blackwell) 아키텍처 기반 AI 서버 생산을 시작할 것"이라고 밝혔다. 위스트론 댈러스 공장은 엔비디아의 대대적인 미국 AI 인프라 구축 사업에 따라 건설된다. 엔비디아는 지난달 최대 5000억 달러(약 690조원)를 미국 AI 인프라 구축에 투자할 것이라고 밝혔다. 엔비디아는 AI 인프라 구축 사업에 필요한 슈퍼컴퓨터 등을 미국에서 생산하겠다고 밝히며 폭스콘, 위스트론과 협력할 것이라고 전했다. 이에 따라 폭스콘도 텍사스주 휴스턴에 새로운 공장을 건설하고 있다. 폭스콘 휴스턴 공장에서는 반도체 칩 테스트, 모듈 통합 작업 등이 진행된다. 위스트론은 엔비디아 외에 미국 내 추가 고객사 확보에도 나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