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김은비 기자]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텍사스 기가팩토리에 조성 중이 코어텍스(Cortex) AI 슈퍼클러스터의 모습을 공개했습니다. 한 때 건설 지연으로 일론 머스크가 분노까지 한 것으로 알려졌던 코어텍스의 구축이 마무리 단계에 돌입한 것으로 보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더구루 홈페이지에서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 더구루 인사이트 영상 보기 ◇ 상세 기사 '엔비디아 H100 GPU 5만개' 일론 머스크, 코어텍스 AI 슈퍼클러스터 공개
[더구루=김은비 기자] 현대자동차가 태국 소형 다목적차량모델(MPV) 스타게이저 X 광고 모델로 한국에서 뛰고 있는 배구 선수를 선정했다. 29일 현대차에 따르면 현대 모빌리티 타일랜드는 지난 23일(현지 시간) '뉴 스타게이저 X : 스타가 스타를 만났을 때(The New Stargazer X : When STAR meets STAR)'라는 제목의 '스타게이저 X' 광고 캠페인을 제작, 공개했다. 광고의 주인공은 '태국의 김연경'으로 불리는 현대건설 힐스테이트팀 아시아 쿼터선수 위파이 시통(Song-Wipawee Srithong)이다. 위파이 시통은 지난 시즌 한국 V리그 통합 우승을 일구는데 힘을 보탠 선수다. 위파이 시통은 지난해 아시아 쿼터를 통해 한국행을 결정, 현대건설 힐스테이트 팀에 합류했다. △32경기 120세트 출전 △득점 19위 △리시브 7위로 지난 시즌 현대건설이 13년 만의 통합우승을 이루는 데 크게 힘을 보탰다. 약 45초 분량으로 제작된 이 광고 캠페인은 위파이 시통이 꿈을 향해 달려가는 길을 그리며 현대차의 끝없는 도전정신을 강조했다. 해당 광고 영상에서는 배구 경기에 열중하는 위파이 시통의 모습과 '안전 하차 경고(SAE)' 등
[더구루=김은비 기자] 중국 전기자동차 제조업체 BYD가 중국 기술 대기업 화웨이와 첨단 자율주행 분야에서 협력 관계를 구축합니다. BYD는 이를 통해 자사 친환경 브랜드인 덴자, 팡청바오, 양왕의 판매를 강화하겠다는 포석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더구루 홈페이지에서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 더구루 인사이트 영상 보기 ◇ 상세 기사 BYD, 화웨이와 첨단 자율주행 '연합전선' 구축
[더구루=김은비 기자] 일본 반도체 제조 장비 판매액이 '역대 최고치'를 갈아치웠다. 글로벌 반도체 시장에서 일본 영향력이 반등 조짐을 보이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29일 일본반도체장비협회(SEAJ)에 따르면 올해 1월~7월 일본 반도체 장비 판매액(수출 포함)은 2조4801억1500만엔(약 23조원)에 달했다. 이는 전년 대비 16.7% 증가한 수치이다. 특히 사상 최고 기록이었던 2022년 2조1342억6800만 엔(약 19조8000억원)을 넘어서며 역대 최고치를 경신했다. 월별 판매량은 지난 7월 한 달 동안 3480억9200만 엔(약 3조2200억원)을 기록했다. 이는 전년 동월 대비 236% 증가한 수치이다. 7개월 연속 성장세를 보였으며 4개월 연속 전년 대비 두 자릿수 상승률을 기록했다. 월 매출 3000억엔을 넘은 것은 9개월 연속이다. 1980년대 말 전 세계 반도체 시장의 절반 이상을 차지할 정도로 글로벌 반도체 산업의 선두주자로 자리매김하던 일본은 1990년대 이후부터 삼성전자와 대만 TSMC 등에 밀리며 반도체 시장 입지가 급격하게 좁아졌다. 현재 글로벌 반도체 시장에서 일본 점유율은 10% 미만에 불과하다. 일본 정부 및 기업은 글로
[더구루=김은비 기자] 인도가 최대 50기의 소형모듈원자로(SMR)를 건설합니다. 오는 2070년까지 순제로 배출 달성을 목표로 캡티브(Captive) 화력 발전 시설을 대체하기 위해 40~50개의 SMR을 설치할 계획입니다. 인도의 원전 산업 부흥에 따라 한국 기업의 수주 기대감이 커지고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더구루 홈페이지에서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 더구루 인사이트 영상 보기 ◇ 상세 기사 인도, 최대 50기 소형모듈원자로 건설…화력 발전 시설 대체
[더구루=김은비 기자] 성일하이텍이 유럽시장에서 폐배터리 재활용 사업 확장에 박차를 가합니다. 이강명 성일하이텍 대표가 스페인 나바라주 주지사와 회동했습니다. 당국과의 안정적인 파트너십을 구축해 삼성물산과 공동으로 진행중인 현지 전기차 배터리 재활용 공장 건설 프로젝트에 속도를 냅니다. 헝가리 에너지 회사 '몰(MOL) 그룹'과도 폐배터리 재활용 사업 협력을 모색합니다. 몰의 폐기물 관리 사업과 성일하이텍의 폐배터리 재활용 기술을 활용해 시너지를 낼 수 있습니다. 배터리 강국을 넘보는 헝가리 정부는 벌써부터 기대감을 내비치며 성일하이텍의 역할이 현지에서 조명되고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더구루 홈페이지에서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 더구루 인사이트 영상 보기 ◇ 상세 기사 성일하이텍·삼성물산, 스페인 나바라에 EV 배터리 재활용 공장 설립 성일하이텍, 헝가리 최대 에너지기업 '몰'과 폐배터리 등 전방위 협력 논의
[더구루=김은비 기자] 엔비디아의 클라우드 파트너인 '서스테이너블 메탈 클라우드(Sustainable Metal Cloud, 이하 SMC)'가 데이터센터 효율을 크게 높일 수 있는 액침 냉각 기술을 공개했다. 인공지능(AI) 혁명과 데이터 센터 급증에 따른 전력 소비 문제에 대한 해결책으로 주목받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28일 미국 CNBC 등 외신에 따르면 싱가포르 데이터센터 기업 SMC는 '액침 냉각(Immersion Cooling) 기술'을 적용한 컨테이너형 엔비디아 그래픽처리장치(GPU) 서버인 '하이퍼큐브(HyperCube)'를 통해 에너지 소비를 기존 공랭식 냉각 시스템 대비 최대 50%까지 줄일 수 있다고 밝혔다. 팀 로젠필드(Tim Rosenfield) SMC 공동 창립자 겸 최고경영자(CEO)는 "하이퍼큐브는 엔비디아의 최신 AI 그래픽 프로세서를 포함한 고밀도 GPU 호스팅을 가능하게 한다"라며 "이는 3월에 발표된 엔비디아의 블랙웰(Grace Blackwell)과 같은 플랫폼에도 적용될 수 있다"고 밝혔다. 하이퍼큐브는 합성 오일에 엔비디아 프로세서를 잠기게 하는 방식으로 냉각 효율을 극대화한 GPU 서버이다. 직접 액체에 IT 장비를
[더구루=김은비 기자] BMW가 후원하는 독일 프로농구팀의 홈 경기장이 '초대형 광고판'이 됐다. 세계 최초로 바닥 및 팬스 전면에 발광다이오드(LED)를 설치했다. 스포츠 경기 뿐만 아니라 콘서트 및 기업 이벤트에도 다양하게 활용될 전망이다. [유료기사코드] 27일 FC 바이에른 뮌헨 프로농구팀(FC Bayern Basketball, 이하 FCBB)에 따르면 FCBB는 스포츠 플로어 솔루션 선도 기업 ASB 글래스플로어(ABS Glassfloor)와 2030년까지 독일 뮌헨 BMW파크에 풀 LED 비디오 플로어를 설치 및 제공하는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경기장 팬스와 바닥 전면이 전부 LED인 이 플로어는 운동선수들의 격렬한 경기에도 끄떡없는 고강도 강화 유리로 제작됐다. 화학 작용(에칭)을 거쳐 표면을 무광으로 마감한 것이 특징이다. 약 850㎡ 규모로 수백만 개의 LED 칩이 삽입됐다. 선수들이 경기중 미끄러지지 않도록 유리에 세라믹 도트를 삽입해 뛰어난 마찰력과 그립감을 더했다. 바닥이 충격을 흡수해 선수들의 관절 부담을 줄이는 한편 원활한 볼 플레이가 가능하다. 선수의 실시간 위치 추적 및 데이터 수집도 가능하다. 선수들의 달리는 속도나 움직임을 실시
[더구루=김은비 기자] 현대차·기아가 지난달 인도 전기차(EV) 시장에서 동반 하락했다. 글로벌 전기차 캐즘(일시적 수요둔화) 영향에 더해 단일화된 전기차 라인업이 부진에 한몫했다는 분석이다. 현대차·기아는 신규 전기차 모델 투입 등을 통해 판매 확대에 나설 계획이다. 27일 인도자동차판매협회(FADA)에 따르면 현대자동차는 지난 7월 한 달간 인도 전기차 시장에서 55대를 판매했다. 이는 전년 동월(107대) 대비 절반(52.6%) 이상 감소한 수치다. 전체 전기차 브랜드 판매량 순위에서 7위에 그쳤다. 이는 지난 상반기 순위 5위에서 2계단 하락한 수준이다. 기아는 지난달 16대를 판매했다. 전년 동월(29대) 대비 44.83% 감소했다. 상반기 10위였던 기아는 11위를 기록하며 '톱10'에서 밀려났다. 1위는 4775대를 판매한 타타모터스가 차지했다. MG모터는 1522대로 2위를, 마힌드라앤마힌드라는 487대로 3위를 기록했다. 이어 중국 BYD가 341대로 4위에 올랐다. 5위부터 10위까지는 △BMW그룹(70대) △현대차(55대) △볼보(40대) △메르세데스-벤츠(30대) △아우디(17대) 순으로 '톱10'에 이름을 올렸다. 현대차·기아의 부진한
[더구루=김은비 기자] KG모빌리티(옛 쌍용자동차)가 영국 자동차 시장에서 반등 조짐을 보이고 있다. 올들어 7월 누적 판매가 전년 대비 두자릿수 증가했다. 25일 영국자동차공업협회(SMMT)에 따르면 KG모빌리티는 올해 1~7월 누적 영국에서 1084대를 판매했다. 이는 전년 동비 대비 13.5% 증가한 수치다. 다만 점유율은 0.1% 수준으로 현지 완성차 브랜드 49개 가운데 33위를 기록했다. 1위는 9만7598대를 판매한 폭스바겐이 차지했다. BMW가 7만9712대(점유율 6.9%)로, 아우디는 7만4745대(6.4%)로 각각 2위와 3위를 기록했다. 이어 기아(6.1%·7만130대) △포드(5.6%·6만4549대) △닛산(5.5%·6만2855대) △메르세데스-벤츠(5.1%·5만9363대) △현대(4.7%·5만3964대) 순으로 '톱10'에 이름을 올렸다. 특히 최근 3개월 KG모빌리티 영국 판매 성장률은 25%을 웃돌고 있어 KG모빌리티 안팎에서는 'V자 반등'으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KG모빌리티가 유럽 시장 확대를 위해 온라인 판매를 결정한 것도 이같은 전망에 힘을 보태고 있다. 앞서 KG모빌리티는 지난 20일 유럽 내 온라인 판매를 위
[더구루=김은비 기자] 독일 메르세데스-벤츠 차세대 전기 밴 모델이 도로를 주행하는 모습이 포착됐습니다. 위장막 대신 밝은 초록색 바탕에 불규칙한 하얀색 체인무늬가 그려진 위장 스티커만 붙인 상태로 주행에 나섰는데요. 오는 2026년 출시를 앞두고 막바지 담금질에 들어간 것으로 보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더구루 홈페이지에서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 더구루 인사이트 영상 보기 ◇
[더구루=김은비 기자] 프랑스의 한국산 해상풍력 설치선(WTIV)에 대한 '구애'가 이어질 전망입니다. 프랑스 정부는 전력 생산에서의 재생에너지 비중을 높이기 위해 해상풍력발전에 향후 400억 유로(약 60조원) 이상을 투자할 계획입니다. 한국 기업의 WTIV 건조 등 수주 확대가 기대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더구루 홈페이지에서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 더구루 인사이트 영상 보기 ◇ 상세 기사 프랑스 "해상풍력발전에 60조 투자"…한화오션·한화큐셀 '해상풍력 설치선' 수요↑
[더구루=정예린 기자] 호주 반덤핑위원회(Anti-Dumping Commission, ADC)가 중국산 철근에 대한 반덤핑 조사 최종 보고서 제출 기한을 내년으로 연기했다. 이번 조치로 한국을 포함한 대호주 철강 수출 기업들의 전략 계획에 불확실성이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유료기사코드] 18일 호주 반덤핑위원회에 따르면 위원회는 지난 8일(현지시간) 직경 50mm 이하 중국산 열간압연 변형 철근에 대한 반덤핑 조사 최종 보고서 제출 기한을 기존 오는 10월 7일에서 2026년 2월 9일로 연기한다고 발표했다. 이번 연장은 자료 검증 지연과 추가 정보 분석 필요에 따른 것이다. 추가 절차를 거쳐 핵심 사실 진술서(SEF)는 오는 12월 10일까지 공개된다. 공개 후 이해관계자는 20일 이내에 의견을 제출할 수 있으며, 최종 보고서는 호주 산업과학에너지자원부 장관에게 제출된다. 위원회는 호주 철강업체 '인프라빌드(InfraBuild)'의 신청을 계기로 지난 5월 5일 기존 반덤핑 조치에 대한 일몰재심을 개시했다. 인프라빌드는 호주 최대 철강 생산·유통 업체로, 건설용과 산업용 철근을 주로 공급한다. 이번 조사는 2024년 4월 1일부터 2025년 3월 31일까
[더구루=오소영 기자] 말레이시아가 중국만리장성산업공사(CGWIC)와 중거리 지대공 미사일 공급을 검토하고 있다. 말레이시아는 자국 영공 수호를 위해 글로벌 방산 기업들에게게 손을 내밀고 있다. 입찰이 시작되면 LIG넥스원과 CGWIC의 양강 구도가 전망된다. [유료기사코드] 18일 말레이시아 국방부와 디펜스 시큐리티 아시아 등 외신에 따르면 다툭 록만 하킴 알리(Datuk Lokman Hakim Ali) 사무차관은 지난 8일(현지시간)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에서 푸지헝(Fu Zhiheng) 회장을 비롯한 CGWIC 경영진과 만났다. 중거리 지대공 미사일인 'HQ-16(红旗-16·수출형 LY-08)'의 공급과 기술 이전을 포괄적으로 논의했다. 면담 자리에는 말레이시아 컨설팅 회사인 IDC 테크놀로지스(IDC Technologies Sdn Bhd) 임원도 참석해 현지 기업들과의 협력을 검토했다. 말레이시아는 동남아시아에서 네 번째로 많이 국방에 투자하는 국가다. 남중국해 영유권 분쟁으로 긴장이 고조되며 2000년대 이후 군비 지출을 늘렸다. 코트라에 따르면 지난해 전년 대비 약 10.5% 증가한 42억 달러(약 5조8200억원)를 국방 예산으로 책정했다. 전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