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길소연 기자] 현대제철이 미국 전기차 전용 강판 가공 공장 가동 시기를 앞당긴다. 현대자동차가 올 하반기부터 전기차 전용 공장 '현대차그룹 메타플랜트 아메리카(HMGMA)' 에서 생산을 시작하기로 하면서 현대제철의 가공센터 가동도 빨라진다. 29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제철은 오는 4분기에 미국 조지아주에 건설 중인 전기차용 강판 가공센터인 해외스틸서비스센터(SSC, Steel Service Center)를 본격 가동한다. 현대제철은 지난해 2022년 경영실적 설명회를 통해 미국 조지아주에 SSC를 신설한다고 밝혔다. 앨라배마 공장 준공에 이어 미국내 두 번째 코일센터가 준공이다. 현대제철의 조지아 SSC 투자 비용은 약 1031억원 수준이다. 현대차의 북미 시장 판매 호조를 예상해 북미에 집중 투자했다. 조지아 SSC에는 슬리터 1기와 블랭킹 2기 등의 설비를 갖출 예정이다. 연간 생산능력은 1기당 슬리터 12만 톤, 블랭킹 800만 매이다. 현대자동차의 HMGMA 연간 전기차 생산 규모인 25만대 수준을 충분히 소화할 수 있는 생산량이다. 현대제철은 조지아 SSC에서 향후 현대차 뿐만 아니라 향후 다른 완성차에도 전기차용 강판을 공급을 추진할 계획이
[더구루=길소연 기자] 한국마사회가 말산업 분야 일자리 활성화를 위해 '2024년 말산업 신규 채용 인력 인건비 지원 사업'을 추진한다고 29일 밝혔다. 마사회는 말산업 분야 일자리 창출을 위해 지난 9년간 '말산업 인턴십 지원 사업'을 추진, 총 349명의 신규 채용을 지원해왔다. 기존 인턴십 중심이었던 지원사업의 대상을 올해부터 정규직 신규 채용자로 개편하며 일자리 확대와 더불어 양질화를 도모한다. 올해 지원 사업의 공모기간은 다음달 23일까지이다. 마사회는 코로나19로 위축되었던 말산업 현장에 활기를 불어넣기 위해 정부와 협의를 통해 올해 지원 예산을 2억원을 증액, 총 7억원의 인건비 지원 사업 재원을 마련했다. 이를 통해 올해 70여명의 신규 채용 말산업 전문 인력에게 각 최대 960만원의 인건비가 지원될 예정이다. 영세 승마시설이 우선 지원 대상이며 우수 고용 사업체에게는 추가 인센티브가 지원되는 등 말산업 사업체들의 실질적인 경영여건 개선이 이어질 전망이다. 투명하고 건전한 지원 사업 추진을 위해 보조금 부정수급 방지대책도 강화된다. 마사회는 최종 선정된 사업체를 대상으로 수시 현장 점검을 시행하며, 부정행위 적발 시 지원금을 즉시 환수하고 향후
[더구루=길소연 기자] 글로벌 미래항공모빌리티(AAM) 기술력을 한눈에 볼 수 있는 전시회가 열린다. [유료기사코드] 28일 업계에 따르면 유럽비즈니스항공협회(EBAA)와 전국비즈니스항공협회(NBAA)의 공동 주최로 오는 5월 28일부터 30일까지 스위스 제네바 팔렉스포(Palexpo)와 제네바공항에서 유럽 비즈니스 항공 컨벤션·전시회(EBACE 2024)가 개최된다. EBACE 2024는 유럽 최고의 주문형 항공 및 첨단 항공 모빌리티 이벤트로 비즈니스 항공의 미래를 경험하고 향상하며 형성하는 데 도움을 준다. 올해는 3만6000㎡ 규모의 전시장에서 항공·우주 분야 항공기체, 부품, 서비스가 전시된다. 이번 전시회에서는 프랑스 볼트에어로(VoltAero)의 하이브리드 전기항공기 카시오 330(Cassio 330)의 시제품을 볼 수 있다. 전시회 참가자들은 카시오 330의 내부를 정적 디스플레이에서 살펴볼 수 있다. 탑승인원 4~5명이 탑승할 수 있도록 설계된 카시오 330은 4기통 가와사키 모터(Kawasaki Motors) 엔진으로 구동되며 기체 구성과 설계의 공기역학을 검증했다. 올해 2분기에 두번째 시제품 비행을 목표로 한다. 볼트에어로는 여객,
[더구루=길소연 기자]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이하 한화에어로)가 폴란드에 수출하는 호마르-K(HOMAR-K, K-239 천무 발사대 폴란드명)개선에 나선다. 28일 업계에 따르면 손재일 한화에어로스페이스 대표는 최근 폴란드 방산매체 '디펜스24(Defence24)'와의 인터뷰를 진행했다. 그는 인터뷰를 통해 호마르-K 로켓 시스템을 폴란드 생산 탄약 유형에 통합하기 위한 작업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한화에어로는 호마르-K 발사대를 수정·개선해 폴란드 생산 122mm 로켓을 발사하는 데 필요한 설계와 통합을 지원할 예정이다. 한화에어로가 주문인쇄제작(Print On Demand, POD) 기술을 이전하고 폴란드 방산업체는 122mm 페닉스(FENIX)용 POD를 설계, 제조한다. 이미 한화에어로는 지난해 폴란드 국영 방산그룹 PGZ(Polska Grupa Zbrojeniowa)와 다연장로켓 K239 천무의 폴란드향 '호마르-K(HOMAR-K)' 멀티형 발사대와 유도 미사일 생산 협력에 관한 계약을 체결했다. <본보 2023년 9월 6일 참고 [단독] 한화에어로, 폴란드 PGZ와 호마르-K 발사대·유도 미사일 생산한다> 폴란드에서 239mm 유도로켓 적용도
[더구루=길소연 기자] 영국 정부가 미래 항공모빌리티 지원을 위한 전기 수직이착륙기(eVTOL)와 무인항공체계(UAS) 세부 실행 계획을 발표했다. [유료기사코드] 27일 업계에 따르면 영국 교통부(Department for Transrpot, DfT)는 오는 2026년 eVTOL 항공 서비스를 시작하고, 2030년까지 자율 비행을 지원하는 내용을 담은 '영국 비행의 미래 행동 계획'(UK Future of Flight Action Plan)을 발표했다. 영국은 2030년까지 지속 가능한 산업과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영국 기업을 통해 신흥 항공 기술의 선두주자가 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항공 업계와 정부 간 파트너십을 통해 개발된 미래 비행 실행 계획은 영국이 UAS와 모든 eVTOL 분야의 리더가 되기 위한 접근 방식을 제시한다. UAS의 경우 조종사의 가시선(BVLOS)을 넘어서 일상적인 작업을 수행하길 바라고, eVTOL는 승객이나 화물을 운반하는 초기 작업과 일상적인 작업을 제공하면서 동시에 자율 비행을 달성하는 데 중점을 둔다. 이를 위해 영국 교통부는 세부 실행 계획을 제시해 eVTOL와 UAS 운영을 촉진한다. 또한 영국 민간항공청(CA
[더구루=길소연 기자] 중국 국영 석유회사인 중국석유화공그룹(Sinopec, 시노펙)이 프랑스 토탈에너지스(TotalEnergies)와 함께 항공 연료를 생산한다. [유료기사코드] 27일 업계에 따르면 시노펙은 토탈에너지스와 중국 시노펙 정유소 내에서 지속 가능한 항공 연료(SAF) 생산 장치를 공동 개발하기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시노펙과 토탈에너지스는 MOU를 바탕으로 연간 23만톤(t)의 SAF를 생산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고 순환 경제에서 발생하는 지역 폐기물이나 잔류물(사용된 식용유 및 동물성 지방)을 처리하는 시설을 개발한다. 시노펙은 항공 연료 생산을 위해 바이오 항공유 생산기술(SRJET)이라는 자체 SAF 생산 기술을 도입할 예정이다. 토탈에너지스는 기술 및 운영 분야는 물론 유통 분야에서 경험과 전문 지식을 제공할 예정이다. 마용성(Ma Yongsheng) 시노펙 최고경영자(CEO)는 "토탈에너지와의 협력은 중국과 전 세계를 위한 저탄소 솔루션을 개발하려는 우리의 전략과 일치한다"며 "시노펙은 자산 포트폴리오의 품질과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녹색 및 저탄소 에너지 솔루션을 제공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말했다. 토탈에
[더구루=길소연 기자] HD현대 조선 계열사인 현대미포조선이 30년 만에 HD현대미포로 사명을 변경한 가운데 베트남 법인인 현대베트남조선도 HD현대베트남조선으로 사명을 바꾼다. HD현대는 사명 통합으로 브랜드 이미지를 구축하고, 대외 이미지를 제고한다. 27일 업계에 따르면 HD현대미포는 최근 열린 주주총회에서 현대베트남조선의 사명을 HD현대베트남조선으로 변경하기로 했다. 김송학 HD현대베트남조선 사장은 "회사명 변경을 통해 HD현대그룹의 아이덴티티와 비전을 전반적으로 확인하게 됐다"며 "앞으로 현대정신을 계승하고 인간의 의욕을 고취시켜 HD현대베트남조선이 점점 더 눈부시게 성장하고 조선분야의 선도기업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HD현대베트남조선은 한국 조선업의 첫 번째 해외 진출 사례이다. 1996년 현대미포조선과 베트남국영조선공사간 합작회사 형태로 설립됐다. 베트남 중부 카인호아성에 있는 사업장은 99만2000㎡(약 30만 평) 부지에 40만t급 도크 1기와 10만t급 도크 1기, 1.4Km의 안벽을 보유하고 있다. 조선소 설립 초반 수리와 개조 사업을 영위해 오다가 2000년대 후반 신조선 사업으로 전환했다. 주로 5만DWT~8만DWT
[더구루=길소연 기자] 포스코그룹이 '상생형 공동직장 어린이집' 운영으로 직원들의 출산 장려는 물론 육아를 동행한다. 상생형 공동직장 어린이집을 통해 가족안정성과 생활만족도를 증진 시켜 이직률 감소와 생산성 상승 효과를 기대한다. 포스코는 지난 2020년 6월부터 '저출산 해법 롤모델 제시' 일환으로 포항과 광양에 상생형 공동직장 어린이집을 건립하고 본격 운영하고 있다고 27일 밝혔다. 상생형 공동직장 어린이집은 대기업과 중소기업으로 이루어진 사업주가 참여사업장 근로자를 위해 공동으로 설치, 운영하는 직장어린이집이다. 전체 정원 중 협력사의 자녀 비중을 50% 수준으로 구성해 대기업·중소기업간 상생협력 기반구축의 모범 사례로 꼽히고 있다. 포항지역은 그룹사 19개사, 협력사 41개사, 광양지역은 그룹사 18개사, 협력사 및 광양산단 업체 88개사가 참여 중이다. 포스코는 상생형 공동직장어린이집과 기존 어린이집외에 2020년 서울 강남 포스코센터에 그룹사와 협력사, 입주사 자녀들도 이용할 수 있는 제2 어린이집을 새롭게 단장했다. 직원들의 출산장려와 육아기 경력단절 방지를 위해 육아와 업무를 병행할 수 있는 '경력단절 없는 육아기 재택근무제'도 2020년 7월
[더구루=길소연 기자] 러시아 국영 원자력 기업 로사톰(Rosatom)이 북극해항로(NSR)에 투입하는 선박 건조를 위해 한국, 중국과 협력할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했다. [유료기사코드] 27일 러시아 매체 RBC에 따르면 로사톰은 NSR의 선박 수요를 충족하기 위해 조만간 중국에 신조선을 주문하고, 한국과의 관계도 회복해 선박을 발주할 예정이다. 알렉세이 리카체예프(Alexey Likhachev) 로사톰 최고경영자(CEO)는 "북극해 항로에 필요한 수의 선박을 제공하려면 모든 곳에서 선박을 건조해야 한다"며 "러시아산은 물론 한국, 중국산 선박까지 투입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한국과의 비즈니스 관계도 곧 회복될 것으로 기대한다"며 북극항로를 위한 선박 발주 증가를 예고했다. 한국과의 관계 개선 의지는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도 내비쳤다. 그는 작년 말 21개국 대사 신임장 제정식에서 "한국-러시아 관계 개선은 한국 정부에 달려 있다"며 "러시아는 준비가 돼 있다"고 밝힌바 있다. 한국 조선소는 러시아 우크라이나 사태 전까지 러시아 북극 프로젝트를 위해 유조선과 가스운반선을 건조했다. 일부 선박은 한국 조선소와 러시아 즈베즈다조선단지가 공동으로 수
[더구루=길소연 기자] HD현대미포가 수주한 중형 액화천연가스(LPG) 운반선 2척의 발주처가 벨기에 해운사 엑스마르(Exmar) 합작사로 확인됐다. 27일 업계에 따르면 HD현대미포는 최근 벨기에 해운사 엑스마르와 시피크(Seapeak)의 합작사 엑스마르 LPG(Exmar LPG)로부터 4만5000입방미터(㎥)급 중형 LPG운반선 2척을 수주했다. 수주가는 척당 8050만 달러(약 1080억원) 규모로 총 1억6100만 달러(약 2160억원)이다. 신조선은 2026년 10월과 12월에 인도된다. 엑스마르 LPG는 작년 10월에 동급 선형의 선박 2척을 주문했다. 이번 추가 주문은 당시 계약에 포함된 옵션 물량이다. 앞서 주문된 2척은 암모니아 이중연료 추진엔진을 적용한다. 암모니아 추진선은 LPG뿐 아니라 암모니아도 운송할 수 있도록 설계돼, 화물을 엔진 연료로도 사용할 수 있다. 길이 190m, 너비 30.4m, 높이 18.8m 규모로 건조돼 2026년 5월까지 순차적으로 인도된다. 이번에 주문한 옵션분도 암모니아 추진선으로 건조된다. 암모니아 추진선은 2030년 국제해사시구(IMO) 온실가스 감축규제뿐 아니라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100% 저감해야 하는
[더구루=길소연 기자] 고려아연의 호주 자회사 아크에너지가 호주 뉴사우스웨일스(NSW)주에 건설하는 풍력발전소를 확장한다. 풍력발전소 확장을 통해 재생 가능 에너지 출력을 향상시킨다. 풍력발전을 위해 계획된 인프라를 적극 활용할 예정이다. 26일 업계에 따르면 아크에너지는 앞으로 3개월 안에 호주 뉴사우스웨일스(NSW) 정부에 헌터밸리에서 건설하는 보우먼스 크릭(Bowmans Creek) 풍력발전 프로젝트에 대한 확장 계획을 제출할 예정이다. 아크에너지 프로젝트 팀이 범위 지정 보고서와 EPBC 법에 대한 추천서를 작성 중이다. 보우먼스 크릭 발전소를 확장하기 위해서는 NSW 정부의 별도 승인이 필요하다. 보고서 제출 전에는 내달 3일 마운트 올리브(Mt.Olive)에서 지역 사회 구성을 상대로 2단계 확장 설명회를 개최한다. 아크에너지는 2단계에서 풍력 터빈 21개를 설치해 약 120MW의 재생에너지 발전 용량을 증가시킬 계획이다. 보우먼스 크릭 풍력발전은 지난 2월 NSW 독립계획위원회(IPC)로부터 개발 승인을 얻은 프로젝트이다. NSW 머스웰브룩(Muswellbrook)에서 10km 떨어진 헌터센트럴코스트 재생에너지구역(REZ)에 건설돼 335MW급
[더구루=길소연 기자] 미국 정부가 저소득 가정에 태양광으로 에너지를 지원한다. 최대 4만명의 저소득 가구에 태양광 시스템을 설치해 연간 약 1500만 달러(약 200억원) 에너지 비용을 절감하게 하는 한편 북미 청정에너지 확대를 기대한다. [유료기사코드] 26일 업계에 따르면 미국 정부는 에너지부(DOE)와 보건복지부(HHS) 간의 파트너십을 통해 워싱턴DC와 일리노이주, 뉴멕시코주 지역 4만 가구에 HHS의 저소득 가정 에너지 지원 프로그램(LIHEAP)을 실행한다. 청정 에너지 커넥터를 출시해 지역사회 태양광 패널을 설치한다. LIHEAP는 미 행정부의 '미국 구제 계획(American Rescue Plan)'의 일환이다. 저소득층의 전기와 가스 비용을 지원하는 것과 함께 비상 지원, 냉난방기구 개보수 지원 등등 각종 지원책을 가동하고 있다. 현재 미국 내 약 570만 가구가 LIHEAP 난방비 지원을 받고 있다. 바이든 정부는 저소득 가구에 지역 사회 태양광 시스템을 연결하면 에너지 비용을 낮추고, 소외된 지역 사회에서 청정 에너지에 대한 접근성을 높일 것으로 봤다. 특히 여러 고객이 공유 태양 에너지 시스템의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하는 커뮤니티 태
[더구루=홍성일 기자] 엔비디아가 미국 자율주행차 스타트업 누로(Nuro)에 투자했다. 엔비디아는 투자와 함께 자율주행 소프트웨어 개발 협력을 강화하기로 했다. 누로는 신규 투자를 기반으로 자율주행차 기술의 상용화에 박차를 가한다는 목표다. [유료기사코드] 누로는 21일(현지시간) 시리즈 E 투자 라운드를 통해 총 2억300만 달러(약 2845억원)를 조달했다고 발표했다. 누로는 이번 펀딩을 통해 60억 달러(약 8조4100억원) 가치를 인정받았다. 누로는 2021년 진행된 시리즈 D 투자 라운드에서 86억 달러(약 12조원)로 평가받았었다. 누로의 시리즈 E 투자 라운드는 1차와 2차로 나눠 진행됐다. 지난 4월 완료된 1차 펀딩에는 △티 로우 프라이스 어소시에이트 △피델리티 매니지먼트&리서치 컴퍼니 △타이거글로벌 △그레이록 파트너스 △XN LP 자문 펀드 등이 참여했다. 총 투자 규모는 1억600만 달러(약 1485억원)였다. 이번에 완료된 2차 펀딩에는 엔비디아를 비롯해 △우버 △아이스하우스 벤처스 △킨드레드 벤처스 △플레지 벤처스 △베일리 기포드 등이 참가자로 이름을 올렸다. 2차 펀딩에서는 9700만 달러(약 1360억원)가 모였다. 누로는
[더구루=홍성환 기자] 미국 전력회사 엔터지 루이지애나(Entergy Louisiana)가 당국으로부터 메타 AI 데이터센터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신규 발전소 건설을 승인받았다. [유료기사코드] 엔터지는 22일 루이지애나 공공서비스위원회(LPSC)로부터 메타의 신규 데이터센터와 관련된 대규모 인프라 투자 계약을 허가받았다. 이에 따라 엔터지는 신규 복합화력 발전소 3기를 건설할 예정이다. 2기는 리치랜드 패리시에 들어서고, 나머지 1기는 세인트 찰스 패리시에 건설된다. 2028~2029년 가동이 목표다. 엔터지는 메타 데이터센터에 전력을 공급하고 서비스 지역 전체의 안정성을 강화하기 위해 새로운 송전 시설도 구축할 계획이다. 메타는 루이지애나 북동부에 역대 최대 규모인 2GW(기가와트)급 AI 데이터센터를 개발하고 있다. 2030년 준공을 목표로 한다. 총투자액은 100억 달러(약 14조원)에 이른다. 이는 루이지애나 역사상 최대 규모의 민간 투자다. 메타는 엔터지와 협력해 데이터센터 운영에 필요한 전력을 100% 청정 에너지로 조달할 계획이다. 이를 충당하기 위해 엔터지는 1500㎿(메가와트) 규모의 신규 재생에너지를 전력망에 공급할 예정이다. 필립 메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