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길소연 기자] '스페이스X 대항마'로 꼽히는 미국 민간우주기업 로켓랩(Rocket Lab)이 금성 탐사선 프로젝트를 본격화한다. 금성을 더 잘 이해하기 위한 미션으로, 금성에서 거주할 수 있는 조건과 생명의 징후를 찾는다. [유료기사코드] 19일 업계에 따르면 로켓랩은 지난 17일(현지시간) 금성에 탐사선을 보내는 프로젝트에 착수했다. 내년 5월 발사 목표인 이 프로젝트는 민간 기업이 행성을 향해 발사하는 첫 번째 시도가 된다. 임무는 나사의 캡스톤 달 탐사선을 발사한 일렉트론 로켓과 보조 포톤(Photon) 우주선을 사용해 시작된다. 일렉트론 로켓은 소형 위성인 '캡스톤'이라 불리는 55파운드의 전자레인지 크기의 우주선을 포톤 위성 플랫폼을 운반했다. 로켓랩의 금성 임무는 매사추세츠공대(MIT) 연구팀의 지원을 받는다. 무게 약 20kg의 탐사선은 임무를 위해 18m 높이의 일렉트론 로켓 위에 장착된 포톤 우주선에 장착된다. 발사 후 포톤 우주선은 일렉트로닉의 2단으로부터 분리되고 지구에서 약 165km 떨어진 고도에 있는 원형 주차 궤도에 주입된다. 이후 몇 주 동안 포톤은 원점(지구에서 가장 먼 위치) 고도를 높이면서 일정한 근점(지구에서 가장
[더구루=길소연 기자] 미국 정부가 원자력 추진 선박을 도입하기 위한 절차에 착수했다. 이미 국내에 연구기관과 해상 원자력 발전설비를 개발하고 있는 삼성중공업의 행보도 주목된다. 19일 업계에 따르면 미국 에너지부(DOE)는 최근 미국선급협회(ABS)와 컨테이너선에 첨단 핵 추진 장치를 채택하는 데 필요한 연구 용역 계약을 체결했다. ABS가 핵 추진 연구를 시작한 것으로 프로젝트 규모만 80만 달러에 달한다. 연구는 전 세계 기업이 원자력 추진 상용화를 모색하고 있는 상황에서 상업용 해양 응용 분야에서 원자로 기술을 채택하는 문제를 해결한다. ABS는 해양 응용을 위한 다양한 첨단 원자로 기술의 모델을 개발하고 현대 원자력 발전의 상업적 사용에 대한 산업 자문을 한다. 연구 지원은 아이다호 국립 연구소(Idaho National Laboratory)에 기반을 둔 에너지부 국립원자로혁신센터(NRIC)가 한다. NRIC는 해상 핵실험이 어떻게 진행될 수 있는지 제안하는 데 도움이 되는 고급 원자로 프레임워크를 제공한다. 에너지부는 또 별도로 텍사스 대학이 수행하고 있는 용융염원자로(MSR)에 대한 연구를 지원하기 위해 ABS와 계약을 맺었다. 패트릭 라이언(P
[더구루=길소연 기자] 대한항공이 내년 초 호주 브리즈번(Brisbane)에 항공기를 띄운다. 정기편 운항 재개로 여객 수요를 살핀 뒤 운항 기간을 늘린다. 19일 업계에 따르면 대한항공은 2023년 1월 1일부터 2월 27일까지 두 달간 주 3회 일정으로 '인천~브리즈번' 노선을 운항한다. 이는 팬데믹 이전 노선을 복원이다. 출발편은 일요일, 수요일, 금요일로 인천에서 오후 7시 45분에 출발해 다음날 오전 6시 15분에 브리즈번에 도착한다. 귀국편은 월요일, 목요일, 토요일은 오전 8시 50분에 브리즈번에서 출발해 오후 5시 40분에 인천국제공항에 도착한다. 대한항공은 해당 노선에 에어버스 A330을 투입한다. 중대형기 A330-200은 프레스티지석 30석에 이코노미석 188석으로 총 218석인 대형기다. 성능이 향상된 엔진을 장착해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줄이고 소음을 최소화한 친환경 항공기다. 최대 운항거리는 1만1795km를 자랑한다. 다만 A330-200의 비즈니스 클래스는 모든 좌석이 통로에 직접 접근할 수 없고 상대적으로 프라이버시도 거의 없다. 그동안 대한항공은 호주 노선으로 시드니와 브리즈번을 운영해왔다. 브리즈번은 1993년부터 정기 운항을
[더구루=길소연 기자] 포스코인터내셔널(이하 포스코인터)이 인도네시아 팜유 가공 산업 개발에 뛰어든다. 현지 기업과 협력해 팜유를 정제, 판매하는 다운스트림 산업 개발에 협력한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로 식용유와 바이오 디젤 등에 사용되는 식물성 기름 팜유 가격이 치솟자 수요 대응에 나선다. 19일 업계에 따르면 포스코인터는 지난 18일 인도네시아 PT 텔라단 프리마 아그러(Teladan Prima Agro Tbk, TLDN)와 자카르타 TLDN 본사에서 팜유 가공 산업 개발을 위해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이번 MOU 체결로 포스코인터는 국내외 시장에 판매될 팜유 파생상품 형태의 최종 제품으로 팜유 정제공장 건립을 통해 하류산업 발전을 위해 협력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진다. 양사는 조만간 공동으로 타당성 조사(FS)를 마련해 다운스트림 프로젝트를 파악할 예정이다. 위슈누 와르다나(Wishnu Wardhana) TLDN 사장은 "잠재적인 협업은 녹색 성장을 다각화해 회사에 부가가치를 제공하는 데 중요한 부분이 될 것"이라며 "세계 수준의 농업 기업이 되겠다는 TLDN의 의지를 증명한다"고 말했다. 2004년에 농장 운영을 시작한 TLDN는 야자수
[더구루=길소연 기자] SK이노베이션 100% 자회사 SK에너지가 머스크 탱커스(MAERSK Tankers)로부터 선박을 관리받는다. 머스크 플랫폼 통해 안정성과 효율성 창출을 기대한다. 머스크 탱커스는 17일(현지시간) SK에너지와 2008년 건조된 PC선 '그랜드 에이스 10'(Grand Ace10)을 파트너십을 맺고 풀(Pool) 파트너 계약을 맺었다고 밝혔다. SK에너지가 머스크 탱커스 풀 합류한 건 PC선 운영을 위해서다. 최근 유조선 시장은 지역과 선종별 변동폭이 커 소규모 선주들이 선단 관리가 상당히 어려운 상황이다. 전 세계적으로 PC선이 100척 가까이 되는 해운사인 머스크 탱커스는 규모의 경제를 이용해 지역 선단을 운영하고, 다양한 화주와의 네트워크를 통해 수익을 극대화하고, 디지털화를 통해 선주들에게 체계적인 보고를 제공하며, 합리적인 수익공유 구조를 갖추고 있다. 머스크 탱커스는 1만DWT로부터 프레임맥스, LR2 크기까지 유조선의 스폿 풀을 관리한다. 파트너들은 다양한 안전망의 추가 혜택과 함께 스폿 시장에 접근할 수 있다. 동시에 운영자들은 더 많은 선박 선택을 통해 화물 장부에 보안과 유연성을 제공한다. 이번 파트너십으로 SK에너지
[더구루=길소연 기자] 대우조선해양이 인도 정부가 추진한 7조원 규모의 잠수함 프로젝트 수주를 포기할 전망이다. 18일 업계에 따르면 대우조선은 7조원 규모에 달하는 인도 잠수함 도입 P75i 건조사업 입찰에 참여하는 않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프로젝트 사업 재개가 늦어진데다 사업성이 떨어져 수주가 유력했던 대우조선도 입찰에 불참한다는 것. 대우조선은 "인도 잠수함 프로젝트 사업성이 매우 떨어지는 모양"이라며 "내부검토를 거쳐 사실상 더이상 입찰에 참여하지 않을 걸로 보인다"고 말했다. 당초 입찰에는 대우조선을 포함해 독일의 티센크루프(ThyssenKrupp Marine Systems), 프랑스 나발 그룹(Naval Group), 스페인 나반티아(Navantia), 러시아 로소보로넥스포트(Rosoboronexport Rubin Design Bureau), 스웨덴 사브(SAAB) 등이 참가했었다. 이후 스웨덴 사브가 포기하고, 독일 티센크루프와 프랑스 나발그룹이 뒤이어 불참하면서 대우조선과 러시아 로소보로넥스포트, 스페인 나반티아만 남았다. 그러다 경쟁후보가 모두 빠지면서 대우조선이 최종 주문자 상표 부착 생산(OEM) 유력 업체로 거론됐다. <본보 2
[더구루=길소연 기자] 세계 해상풍력발전 1위 기업인 덴마크 '오스테드(Orsted)'가 대만 900MW급 해상 풍력 발전소의 시운전을 내년에 실시한다. 코로나19 여파 작업이 늦어져 시운전을 연기했다. [유료기사코드] 18일 업계에 따르면 오스테드는 900MW급 창화(Greater Changhua)1·2a 해상 풍력 발전 단지의 시운전을 2023년으로 연기했다. 오스테드는 "대만 해상풍력단지 건설 과정이 진행 중이고 글로벌 보건·금융 위기로 인해 마지막 터빈의 시운전 기한이 연장될 것"이라고 말했다. 당초 이 프로젝트는 올해 말 가동될 예정이었다. 그러나 코로나19로 작업 지연돼 뒤로 미뤘다. 오스테드는 지난 2019년 '창화(Greater Changhua) 1 프로젝트'과 '2a 프로젝트'에 자켓형 기초 구조물을 공급하는 계약을 체결했다. 오스테드는 대만 경제부(Ministry of Economic Affairs)로부터 해상그리드(Grid) 연결을 통해 청화 해상풍력발전단지에서 생산되는 전력을 끌어 쓰는 것을 승인받았다. 창화 1·2a 프로젝트는 창화 해안에서 약 35∼50km 떨어진 곳에 건설 예정인 사업이다. 발전소는 각각 오는 2021년과 2022년
[더구루=길소연 기자] 운임 고공행진으로 막대한 이익을 거둔 해운업계와 달리 화주들은 선사들로 인해 피해를 입었다며 유럽연합(EU)의 '독점금지법 적용 제외 규정(CBER)' 폐지를 촉구하고 나섰다. 유럽연합 집행위원회(EC)가 운송업자, 화주, 화물 운송업자, 항만·터미널 운영자에게 CBER이 사업 활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조사하자 화주들은 폐지 재검토를 압박했다. 18일 업계에 따르면 유럽 10개 단체는 지난달 말 유럽연합경쟁당국(EU Competition Commissioner)의 경쟁위원인 베스타게르(Vestager)에게 서한을 보내 컨테이너 정기해운에 대한 경쟁 법상 예외규정의 존치 여부 재검토를 촉구했다. 그동안 운송 선사들은 CBER을 통해 상시 민감한 정보를 상호 교환하며 항로상의 선박 척수와 선박의 크기, 그리고 서비스 빈도와 항해 시기를 조정해왔다. 문제는 EU가 CBER를 오는 2024년 4월 25일까지 4년 연장하기로 결정했다는 점이다. 이는 해운사들이 사실상 유럽 정규 경쟁법과 규정의 면제에 따라 운영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CBER은 선사들이 컨소시엄을 구축해 공동 해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유럽의 경쟁법 적용을 면제하는 규정이
[더구루=길소연 기자] 현대로템이 이집트 철도 인력 양성에 나섰다. 18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로템은 유럽 국제 금융기관인 유럽부흥개발은행(EBRD)랑 협력해 80명에게 철도 교육을 실시한다. 운송 인프라와 철도차량 정비 관련 공인교육을 실시해 이집트 청년들의 응용기술을 향상시킨다. 이는 EBRD 재정 지원 1억 유로(약 1338억원)의 카이로 2호선 전동차(Cairo Metro Line-II) 열차 구매 프로젝트와 연결된 프로그램이다. 커리큘럼은 이론적인 강의실 기반 연구와 실용적인 현장 교육을 혼합했다. 이 구조를 통해 훈련생은 철도 차량 관리에 대한 관련 기술과 실무 경험을 습득해 지하철, 철도 및 운송 유틸리티 산업과 같은 자산 집약적 부문에 취업할 수 있도록 돕는다. 교육은 국제 및 현지 트레이너와 함께 현대로템이 국제 관행을 사용할 수 있도록 고안했다. 교육은 80명의 젊은 여성과 남성에게 총 5회에 걸쳐 진행된다. 교육생은 교육을 이수하고 필기 시험에 합격하면 수료증을 받게 된다. 현대로템은 2019년 이집트 교통부 산하 터널청으로부터 1508억원 규모의 카이로 2호선 전동차 48량 납품 및 유지보수 사업을 낙찰받았다. 헤당 사업은 EBRD의 자금
[더구루=길소연 기자] 대만 해운사 양밍해운이 1조원 규모의 대형 네오파나막스급 컨테이너선 5척 주문을 위해 국제입찰을 시작한다. 18일 업계에 따르면 양밍해운 1만5000TEU급에 대한 5척의 LNG 이중 연료 컨테이너 선박 신조선 건조 제안을 공식 요청했다. 오는 9월 6일 입찰이 마감된다. 이번 국제 입찰에는 한국, 일본, 대만, 중국의 주요 조선소가 입찰에 참여할 전망이다. 양밍해운은 △한국 현대중공업(10척) △대만 CSBC(5척) △일본 이마바리(5척) 등 20척의 맥시 네오파나막스 함대를 보유하고 있다. 주문 목록에는 올해 인도 예정인 이마바리의 1만1860TEU 선박 5척이 포함됐다. 양밍해운은 일본 선주 쇼에이 키센(Shoei Kisen)에 장기 전세할 예정이다. 신조선 인도 날짜나 장착할 엔진이나 탱크의 유형을 지정하지 않았다. 다만 양밍해운은 오는 2026년 상반기에 인도되기를 희망하고 있다. 선가는 동급 선종이 척당 1억8000만 달러(약 2368억원)로, 5척의 주문 비용은 최소 9억 달러(약 1조1800억원)로 추정된다. 발주 선박은 대형 네오파나막스(M-NPX)급으로 액화천연가스(LNG) 이중 연료 추진 컨테이너선이다. 양밍해운은
[더구루=길소연 기자] 두산로보틱스가 미국 시장 진출에 속도를 내고 있다. 18일 업계에 따르면 두산로보틱스는 최근 미국 도매 전기 공급 유통업체 밴미터(Van Meter)와 제휴를 맺고 로봇 기능을 개선한다. 밴미터가 로봇 공급 파트너로 두산로보틱스를 포함해 이탈리아 로보 메이커 코마우(Comau)와 일본 자동차 부품 공급 회사 덴소(DENSO) 등 3개사와 제휴를 맺으면서 자동화 부품을 공급하기로 한 것이다. 마이크 헤르만(Mike Hermann) 밴미터 산업 영업 부사장은 성명을 통해 "로봇 라인 파트너십을 통해 밴미터는 자동화 제품을 확장, 고객의 효율성을 높이고 작업 방식을 혁신시킨다"고 말했다. 미국의 마켓리서치기관인 그랜드 뷰 리서치(Grand View Research) 연구에 따르면 산업 로봇 분야는 2021년부터 2028년까지 11% 이상의 복합 연간 성장률(CAGR)을 보일 것으로 예상되며, 성장은 자동화 프로세스를 수행하기 위한 로봇 채택이 크게 증가한 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밴미터는 많은 기업들이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해 로봇과 자동화로 눈을 돌리고 있는 상황에서 파트너십 확장을 공장의 안전과 생산성을 통해 운영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더구루=길소연 기자] 대우조선해양에 해상풍력발전기 설치선(WTIV)을 발주한 모나코 선사 에네티(옛 스콜피오 벌커스)가 추가 자금을 확보했다. 확보된 자금은 고부가가치 선박으로 자리매김할 해상풍력발전기 설치선 주문에 쓰인다. 17일 업계에 따르면 에네티는 세계 최대의 제품 운반선 소유주 중 하나인 계열사 스콜피오 탱커스(Scorpio Tankers)의 지분 216만주를 모두 매각한 후 8330만 달러(약 1092억원)의 현금을 추가했다. 에네티 현금 중 나머지 86만주 정도의 스콜피오 주식은 주당 38.65달러(약 5만원)의 동일한 가격으로 공개 시장에 판매됐다. 엠마뉴엘 라우로(Emanuele Lauro) 에네티 최고경영자(CEO)는 "대우조선해양이 건설 중인 두 대의 WTIV에 대한 자금조달 제안을 여러 은행으로부터 받았다"며 선박 금융 자본에 쓰일 전망이라고 예고했다. 에네티는 대우조선에 WTIV 1대를 발주하면서 풍력선 시장에 집중했다. 앞서 에네티는 지난해 5월 대우조선과 WTIV 1척 건조계약을 체결했다. 계약 규모는 3억3000만 달러(약 3692억원). 신조선은 오는 2024년 3분기에 인도될 예정이다. <본보 2021년 5월 12일 참
[더구루=홍성일 기자] 대만 전자제품 위탁생산(EMS) 기업 위스트론(Wistron)이 엔비디아(NVIDIA)의 인공지능(AI) 서버 생산을 위해 미국 제조 시설 건설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엔비디아는 위스트론, 폭스콘 등과 손잡고 미국 AI 인프라 구축 프로젝트를 진행한다. [유료기사코드] 24일 업계에 따르면 제프 린(Jeff Lin) 위스트론 최고경영자(CEO)는 최근 개최된 연례 주주총회에서 "내년 중 미국 텍사스주 댈러스 공장을 준공하고 블랙웰(Blackwell) 아키텍처 기반 AI 서버 생산을 시작할 것"이라고 밝혔다. 위스트론 댈러스 공장은 엔비디아의 대대적인 미국 AI 인프라 구축 사업에 따라 건설된다. 엔비디아는 지난달 최대 5000억 달러(약 690조원)를 미국 AI 인프라 구축에 투자할 것이라고 밝혔다. 엔비디아는 AI 인프라 구축 사업에 필요한 슈퍼컴퓨터 등을 미국에서 생산하겠다고 밝히며 폭스콘, 위스트론과 협력할 것이라고 전했다. 이에 따라 폭스콘도 텍사스주 휴스턴에 새로운 공장을 건설하고 있다. 폭스콘 휴스턴 공장에서는 반도체 칩 테스트, 모듈 통합 작업 등이 진행된다. 위스트론은 엔비디아 외에 미국 내 추가 고객사 확보에도 나섰다.
[더구루=김은비 기자] 전기차 스타트업 리비안(Rivian)이 차세대 전기 SUV ‘R2’를 통해 본격적인 생산 혁신에 나선다. 핵심은 배선 길이의 획기적인 축소다. 리비안은 기존 R1 모델 대비 R2에서 배선을 대폭 축소하며 차량 경량화와 원가 절감이라는 '두 토끼 잡기'에 나섰다. [유료기사코드] 24일 업계에 따르면 RJ 스캐린지 리비안 최고경영자(CEO)는 자신의 엑스(X, 옛 트위터)에 "전면부 배선 설계도 변경을 통해 R2의 배선 하네스를 R1 대비 약 20kg 경량화 시켰다"고 밝혔다. 리비안은 약 3.2km(2마일) 배선 하네스 경량화 외에도 인라인 커넥터 수는 60% 줄였으며 전자 제어 장치(ECU) 수 역시 기존 17개에서 7개로 감소시켰다. 스캐린지 CEO는 “R2에 적용된 배선 하네스는 네트워크 아키텍처와 존별 ECU를 기반으로 설계돼, 공장 내 설치 편의성을 높이고 전체적인 시스템을 간소화한 것이 특징"이라며 "이를 통해 전선, 클립, 접속 횟수가 크게 줄어들며 생산성과 정비 효율성이 동시에 향상됐다"고 밝혔다. 리비안은 전기 모터 인버터 역시 효율화했다. 기존 R1S, R1T에 쓰이던 ‘엔듀로(Enduro)’ 유닛보다 부품 수를 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