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길소연 기자] 폴란드 공군 장성이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의 FA-50 경공격기 개량형 48대 도입을 두고 문제없다고 밝혀 내달 체결될 본계약에 청신호가 켜졌다. 29일 업계에 따르면 폴란드 공군 장성은 폴란드가 FA-50 전투기를 구매한다고 발표한 후 FA-50이 폴란드 공군에 적합하다고 전했다. 이레네우스 노박(Ireneusz Nowak) 폴란드 공군 준장은 "비행 시간이나 운영이 미국의 5세대 스텔스 다목적 전투기 F-35 보다 FA-50이 훨씬 저렴하게 임무를 수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미디어와 소셜 네트워크에서 FA-50 도입을 반대하는 우려를 잠재운 것이다. 그는 공군 이사회 책임자와 공군 부감찰관을 역임했다. 이로써 내달 예정된 KAI의 FA-50에 대한 이행계약이 원할히 체결될 전망이다. 폴란드 공군이 FA-50을 선택한 건 F-16에 비해 전투기 도입 시기가 단축되고, 중고도~저고도의 근접지원, 정찰용으로 사용이 가능해서다. 특히 공군의 수요가 증가하는데 F-16의 수는 한정된 반면 FA-50은 수요를 대응할 수 있다. 비용 절감 효과도 있다. 근접항공지원(CAS) 임무는 F-16으로 할 수 있지만 비용은 FA-50을 사용하는 것보다
[더구루=길소연 기자] 한국군의 주력 지상무기 'K2 흑표 전차'가 폴란드를 넘어 유럽 전역으로 수출 전선을 확대할 전망이다. 폴란드 정부가 동맹전선을 구축한 스페인과 이탈리아 등에 현대로템 K2전차를 기반으로 한 차세대 전차 공동개발을 제안했기 때문이다. 29일 업계에 따르면 폴란드는 최근 이탈이아 K2전차 현지 수출형 모델인 'K2PL' 기반의 차세대 전차 개발 사업에 참여를 공식적으로 제안했다. 이탈리아가 주력전차 'C1 아리에테(C1 Ariete)' 현대화 작업을 진행 중으로 차세대 전차 도입을 위해 국제개발에 협력할 가능이 높기 때문이다. 이탈리아 군 관계자는 "이탈리아와 폴란드, 스페인의 협력이 새로운 주력전차의 개발로 이어질 것이라는 확신이 있다"고 밝혔다. 이탈리아의 전차 현대화 작업은 지난달 승인됐다. 이탈리아는 오는 2035년 이후 차세대 탱크를 도입할 계획이다. 전차는 105mm 기관포 또는 120mm 기관포를 장착한 300대의 차륜형 센타우로(Centauro) 또는 센타우로 2(Centauro II) 구축전차로 보완된다. 폴란드는 이탈리아 외 스페인에게도 공동개발을 제안한 상태이다. 이탈리아는 제안을 수락한 상태고 스페인은 답변을 기다리
[더구루=길소연 기자] 대우조선해양과 삼성중공업이 눈독을 들여온 노르웨이 에퀴노르의 캐나다 해양플랜트가 기본설계(Front-End Engineering Design, FEED)를 시작한다. FEED에 따라 한국 조선소의 선체 작업 여부가 결정난다. 28일 업계에 따르면 노르웨이 국영 석유사 에퀴노르(Equinor)는 영국 파트너인 BP와 캐나다 동부 연안에서 94억 달러(약 12조원)에 달하는 베이 두 노드(Bay du Nord) 부유식 원유생산·저장·하역설비(FPSO)의 석유 개발에 대한 기본설계(FEED) 입찰을 시작했다. FEED는 사전 작업을 수행한 노르웨이 에이커 솔루션(Aker Solutions)과 미국 최대 엔지니어링 기업 KBR이 유일한 경쟁자가 된다. FEED에는 세부 설계와 조달을 수행할 수 있는 옵션도 포함된다. 다만 이전에 사전 FEED 연구를 위해 경쟁했던 우드(Wood)와 키위트(Kiewit) 경쟁을 촉진하기 위해 참여를 요청할 가능성이 있다. FEED에 대한 입찰 제안서는 지난 26일까지 에퀴노르에 제출해야 하며, 이후 정식 입찰이 요청된다. 운영자는 2023년 1분기에 계약을 체결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FEED 연구는 약 12개
[더구루=길소연 기자] 공작기계 전문업체 DN솔루션즈(옛 두산공작기계)가 새로운 수직형 머시닝센터를 선보인다. 고강성, 고성능을 고려해 생산성 극대화를 실현한다. 28일 업계에 따르면 디엔솔루션즈는 SVM 5100L 수직형 머시닝센터를 출시했다. SVM 4100의 큰 형 격인 이 기계는 수직형 머시닝센터 DEM 시리즈와 DNM 시리즈 사이에 있다. 이들 머시닝센터는 높은 내구성과 고정밀 가공 능력에 기반해 강력 절삭와 고속 정밀 가공이 모두 가능한 고성능 수직형 머시닝센터다. 신제품은 빠르고 가벼운 가공 작업을 위해 설계된 전통적인 C-프레임 구조를 통합했다. 시스템의 성능은 XYZ 축과 스핀들의 가속·감속 시간을 줄여서 비절삭 시간을 최소화해 더 짧은 사이클 시간을 제공하도록 최적화했다. 25HP 모터는 1만2000RPM의 속도로 스핀들을 회전시켜 70.5ft.-lbs를 생성한다. 최대 테이블 용량은 1763.7lbs.이고 급속 이송 속도는 1417IPM이다. CAT 40 BIG-PLUS 스핀들 시스템, 스루 스핀들 냉각수, 30개의 공구가 있는 더블 암 ATC, iHMI 터치 스크린 인터페이스를 갖춘 FANUC 0i-Plus 컨트롤이 특징이다. 두산공작기
[더구루=길소연 기자] 대우조선해양이 그리스 해운사 가스로그(GasLog)를 위해 수주한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 건조를 위해 TMC 콤프레서(TMC)를 택했다. 선박의 에너지 효율성을 향상 시킨다는 방침이다. 28일 업계에 따르면 대우조선은 노르웨이 TMC콤프레서에 공기윤활시스템(ALS)용 선박용 압축 공기 시스템을 주문했다. TMC는 17만4000㎡급 LNG 운반선 4척에 각각 3개의 제어·및 서비스 공기 압축기를 공급한다. 또 선박의 N2(질소) 시스템에 공기 압축기를 제공할 예정이다. 이들은 높은 주변 온도에서 지속적으로 작동하도록 설계·제조됐다. 압축기는 선박 에너지 효율을 높이기 위한 필수 장비다. 기포를 사용해 선체와 해수 사이의 저항을 줄이는 데 사용된다. 선체 표면 전체에 기포가 분포됨으로써 선체에 작용하는 마찰 저항이 감소해 에너지 절약 효과가 있다. 연료 소비와 관련된 배출량을 크게 줄일 수 있다. 공기 소비량이 적으면 컴프레서에 필요한 속도가 줄어들어 전력 소비가 준다. 대우조선이 선택한 TMC 압축기는 작년 하반기 가스로그와 LNG 운반선 4척을 놓고 건조 협의를 해오다 최종 수주한선박에 탑재한다. <본보 2021년 11월 2
[더구루=길소연 기자] 미국 에어택시 제조업체 아처 에비에이션(Archer Aviation)이 전기 수직 이착륙 항공기(eVTOL) 상용화를 위해 정부 책임자로 마이클 로마노프스키(Michael Romanowski ) 박사를 임명했다. [유료기사코드] 27일 업계에 따르면 아처 에비에이션은 eVTOL 정부 관계 책임자로 마이클 로마노프스키를 선임했다. 마이클 로마노프스키 박사는 자신의 역할에서 규제 당국과 업계와 협력해 정책, 프로세스, 글로벌 인증 기대치에 대한 입장을 형성한다. 그는 "그동안 안전 개선에 전념했다"며 "새로운 항공우주 기술의 안전한 발전과 구현은 계속해서 안전을 개선하고 미국 대중에게 지속적인 혜택을 제공하는 가장 좋은 방법 중 하나"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아처의 안전에 대한 헌신과 산업, 연방 기관과의 협력에 중점을 두는 건 eVTOL 상용화를 현실로 만든다"고 덧붙였다. 마이클 로마노프스키 박사는 미국 연방항공청(FAA)에서 14년 이상 근무한 후 아처에 합류했다. 가장 최근에는 정책과 혁신의 항공기 인증 이사, 넥스트젠(NextGen) 통합과 구현과 상업 공간 통합 이사를 역임했다. 미국 최고 기술 책임자답게 항공 고문과 오바마 행
[더구루=길소연 기자] 카타르항공이 처음으로 중동에서 열리는 카타르 월드컵 개막을 앞두고 노선을 확대한다. [유료기사코드] 27일 업계에 따르면 카타르항공은 월드컵에 맞춰 축구 팬들의 수요가 많은 노선을 늘린다. 월드컵 기간 동안 카타르에 백만 명이 넘는 방문객을 예상하고 수용 능력을 확대하는 것이다. 에릭 오돈(Eric Odone) 카타르항공 영업부사장은 "카타르항공은 월드컵 개막을 두고 모든 것을 쏟아붓는 것이 국가의 의무라고 생각한다"며 "이를 위해 카타르항공은 특별 패키지를 도입하기 시작했다"고 밝혔다. 이어 "첫 경기까지 100일도 남지 않은 상황에서 전체 항공사 팀은 활기를 띠고 있으며 카타르항공은 오는 10월까지 유럽 전역을 이층 버스 투어로 축하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카타르 수도 도하의 관문인 하마드 국제공항 허브를 통해 대륙 전역의 승객을 연결한다. 카타르항공은 승객 요구 사항을 충족하기 위해 보다 지점 간 모델로 서비스를 조정하고 있다. 이미 올 여름 △네덜란드 △독일 △파리 △스위스 △브라질 △호주 △아랍에미리티(UAE) △영국 △미국 등 노선을 조정했지만 다시 수용 인원을 줄이고 다른 항공사가 30일 동안 슬롯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더구루=길소연 기자] 덴마크 선사 AP 몰러 머스크(AP Moller-Maersk)가 서유럽 시장을 잇는 교차로에서 다양한 물류 솔루션을 제공한다. [유료기사코드] 특히 독일 물류창고로 유럽 관문이나 재고 보관 창고를 우회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장 출시 속도를 크게 높인다. 27일 업계에 따르면 머스크는 유럽 전역에서 가장 큰 내륙 물류 허브 중 하나인 뒤스부르크(Duisburg)에 새로운 복합 물류창고 플로우 웨어하우스(low Warehouse)를 건설한다. 내년 3분기 완공된다. 시설은 중앙 라인 수로의 내륙 바지선(안트베르펜 항과 로테르담 항으로 연결), 주요 철도 노선(북독 항구 연결), 그리고 주요 서유럽 항로를 통과하는 트럭 등 모든 운송 수단으로 구성된다. 또 물류 창고는 프랑크푸르트, 암스테르담, 쾰른·본, 뒤셀도르프의 항공 화물 허브에 모두 도달할 수 있다. 옌스-올레 크렌지엔(Jens-Ole Krenzien) 머스크 북유럽 상무이사는 "서유럽 시장을 잇는 이 중요한 교차로에서 고객에게 다양한 물류 솔루션을 곧 제공할 수 있게 되어 매우 기쁘다"고 말했다. 4만3000㎡ 규모의 물류 창고는 통관에서 통합, 해체에 이르기까지 공급망을 따라
[더구루=길소연 기자] 세계 5위 해운업체 독일 하팍로이드가 탄소 배출 감소를 위해 150척 이상 선박 업그레이드를 실시한다. [유료기사코드] 27일 업계에 따르면 하팍로이드는 선박 이산화탄소(CO2) 배출량을 줄이기 위해 대규모 선박 업그레이드 프로그램에 착수했다. 향후 5년 동안 150척 이상의 회사 선박을 개조한다. 함대 업그레이드 프로그램 규모는 세 자릿수로 알려졌다. 기존 선박을 기술적으로 현대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선박은 항해 조건에 따라 연료와 CO² 배출을 축소하기 위해 독일 제조사 MMG(Mecklenburger Metallguss GmbH)의 프로펠러를 탑재한다. 이를 통해 연료와 CO² 배출량을 10~13% 절약할 수 있다. 최소 86척의 선박에 새롭고 더 효율적인 프로펠러를 장착하고 동시에 36척의 새로운 선박을 받는다. 또 드라이 도크 체류 기간 동안 흘수선(선체가 물에 잠기는 한계선) 아래의 선체는 오염 방지 페인트로 저항 감소 코팅이 적용된다. 선박 업그레이드는 2025년까지 시행되며, 회사가 기후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돕는 데 상당한 기여를 한다. 막시밀리안 로스코프(Maximilian Rothkopf) 하팍로이드 최고
[더구루=길소연 기자] 오는 2026년까지 그리스에서 전기 수직이착륙 항공기(eVTOL)가 이륙할 예정이다. [유료기사코드] 27일 업계에 따르면 미국 오라마 벤처스(Orama Ventures)는 그리스에서 eVTOL 진입과 운영에 필요한 인프라를 2026년까지 개발하기 위해 글로벌 선도 기업과 협력한다. 이를 위해 그리스 건설회사 악토르(Aktor)를 첫 현지 파트너로 선정했다. eVTOL은 활주로가 없어도 수직 이착륙이 가능한 전기 추진 시스템을 갖춘 항공기이다. 배기 가스가 전혀 없고 소음 수준이 최소화됐다. 최대 6명의 승객을 운송할 수 있다. 킬로미터당 비용은 기존 택시와 완전히 비슷하다. 150마일의 작동 범위가 가능하다. 특히 오라마 벤처스는 올해 내내 그리스 에어택시 상용화를 위해 다양한 정부 기관과 그리스 관련 활동 분야의 잠재적 파트너와 협의를 이어간다. 오라마 벤처스는 eVTOL 진입 초반 그리스 아테네와 테살로니키의 주요 도시와 교외 지역과 20개 이상에 이착륙장을 건설한다. 내년에 첫 번째 이착륙장 건설에 필요한 부동산 취득과 인허가 절차를 진행할 예정이다. eVTOL의 이착륙장은 사용 가능한 열린 공간 또는 적절하게 구성된 건물 옥상
[더구루=길소연 기자] 머스크가 풀 서비스 물류 회사를 만들기 위헤 터미널 사업을 확장한다. 브라질 터미널을 허브로 만들어 향후 극동과 유럽에 새로운 직영 서비스를 유치한다. [유료기사코드] 27일 업계에 따르면 머스크 컨테이너 터미널 자회사 APM 터미널은 브라질 북부 항만 터미널 '사우페(Suape)'를 인수한다. 앞서 APM 터미널은 지난달 26일 컨테이너와 일반 화물 터미널을 개발·운영하기 위해 사법 절차를 밟고 부지를 인수하기 위한 공모에 나섰다. 이후 브라질 이포주카(Ipojuca)법원을 통해 브라질 사우페 항구에 있는 남미 최대 조선소 EAS(Estaleiro Atlantico Sul)의 생산유닛을 사법경매를 통해 낙찰됐다. APM 터미널은 이 지역 새로운 컨테이너 터미널에 최대 5억 달러(약 6700억원) 투자할 계획이다. 완공 시 40만 TEU의 초기 용량으로 운영을 시작하고 이를 통해 항구의 현재 용량을 55% 증가시킨다. APM 터미널은 "사우페 터미널은 브라질 물류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고도의 전략적 위치가 될 것"이라며 "터미널이 위치한 항구는 처리량이 8번째로 큰 브라질 10대 컨테이너 항구 중 하나"라고 말했다. 레오 휘스만(Le
[더구루=길소연 기자] 세계 최대 육·해상 풍력 터빈 제조사인 지멘스 가메사(Siemens Gamesa)가 인도 풍력 에너지 프로젝트에 참여한다. 풍력단지 터빈 공급으로 인도에서 첫 주문을 확보한다. [유료기사코드] 27일 업계에 따르면 지멘스 가메사는 인도 태양광 발전기업 아쥬르파워(Azure Power)의 첫 풍력 에너지 프로젝트에 터빈을 공급한다. 지멘스 가메사가 인도 남서부 카르나타카주(州)에 설치될 346MW 프로젝트에 96 SG 3.6-145 풍력 터빈을 공급하는 것. 터빈은 내년 2분기에 공급한다. 이번 계약은 7.4GW 이상의 주로 태양열 기반 재생 에너지 포트폴리오를 다양화하기 시작한 아쥬르파워의 첫 번째 풍력 에너지 프로젝트이다. 아쥬르는 주로 태양열 분야에서 운영 중이거나 건설 중인 7.4GW 이상의 재생 에너지 자산으로 구성된 인도 전체 포트폴리오를 보유하고 있다. 신규 풍력 터빈이 완전히 배치되면 백만 이상의 인도 가정의 전력 수요를 충족하기에 충분한 청정 에너지를 생산한다. 하쉬 샤(Harsh Shah) 아쥬르파워 최고경영자(CEO)는 "첫 풍력 프로젝트에서 지멘스 가메사와 협력하게 된 것을 기쁘게 생각한다"며 "양사 파트너십은 이해
[더구루=홍성일 기자] 대만 전자제품 위탁생산(EMS) 기업 위스트론(Wistron)이 엔비디아(NVIDIA)의 인공지능(AI) 서버 생산을 위해 미국 제조 시설 건설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엔비디아는 위스트론, 폭스콘 등과 손잡고 미국 AI 인프라 구축 프로젝트를 진행한다. [유료기사코드] 24일 업계에 따르면 제프 린(Jeff Lin) 위스트론 최고경영자(CEO)는 최근 개최된 연례 주주총회에서 "내년 중 미국 텍사스주 댈러스 공장을 준공하고 블랙웰(Blackwell) 아키텍처 기반 AI 서버 생산을 시작할 것"이라고 밝혔다. 위스트론 댈러스 공장은 엔비디아의 대대적인 미국 AI 인프라 구축 사업에 따라 건설된다. 엔비디아는 지난달 최대 5000억 달러(약 690조원)를 미국 AI 인프라 구축에 투자할 것이라고 밝혔다. 엔비디아는 AI 인프라 구축 사업에 필요한 슈퍼컴퓨터 등을 미국에서 생산하겠다고 밝히며 폭스콘, 위스트론과 협력할 것이라고 전했다. 이에 따라 폭스콘도 텍사스주 휴스턴에 새로운 공장을 건설하고 있다. 폭스콘 휴스턴 공장에서는 반도체 칩 테스트, 모듈 통합 작업 등이 진행된다. 위스트론은 엔비디아 외에 미국 내 추가 고객사 확보에도 나섰다.
[더구루=김은비 기자] 전기차 스타트업 리비안(Rivian)이 차세대 전기 SUV ‘R2’를 통해 본격적인 생산 혁신에 나선다. 핵심은 배선 길이의 획기적인 축소다. 리비안은 기존 R1 모델 대비 R2에서 배선을 대폭 축소하며 차량 경량화와 원가 절감이라는 '두 토끼 잡기'에 나섰다. [유료기사코드] 24일 업계에 따르면 RJ 스캐린지 리비안 최고경영자(CEO)는 자신의 엑스(X, 옛 트위터)에 "전면부 배선 설계도 변경을 통해 R2의 배선 하네스를 R1 대비 약 20kg 경량화 시켰다"고 밝혔다. 리비안은 약 3.2km(2마일) 배선 하네스 경량화 외에도 인라인 커넥터 수는 60% 줄였으며 전자 제어 장치(ECU) 수 역시 기존 17개에서 7개로 감소시켰다. 스캐린지 CEO는 “R2에 적용된 배선 하네스는 네트워크 아키텍처와 존별 ECU를 기반으로 설계돼, 공장 내 설치 편의성을 높이고 전체적인 시스템을 간소화한 것이 특징"이라며 "이를 통해 전선, 클립, 접속 횟수가 크게 줄어들며 생산성과 정비 효율성이 동시에 향상됐다"고 밝혔다. 리비안은 전기 모터 인버터 역시 효율화했다. 기존 R1S, R1T에 쓰이던 ‘엔듀로(Enduro)’ 유닛보다 부품 수를 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