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길소연 기자] 중국 후동중화조선이 2조원 규모의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 7척을 신규 수주한다. 28일 업계에 따르면 카타르에너지(옛 카타르페트롤리엄)가 '액화천연가스(LNG) 프로젝트'를 위해 중국 후동중화조선에 사전 예약된 7개의 LNG 운반선 선석을 확정한다. 선박 건조와 정기 용선 계약은 내달 말 완료될 예정이다. 선가는 척당 2900억원 수준으로 총 2조원으로 추정된다. 인도는 2026년으로 연기된다. 선주사는 일본 선주 NYK 라인으로 예상된다. 카타르에너지는 LNG 프로젝트를 위해 일본 3대 선주인 MOL과 NYK 라인, K라인 등과 협력한다. 일본이 과거 LNG 운반선을 위해 카타르와 긴밀히 협력했고, 과거 중동 걸프 국가 기초 구매자라 입찰 경쟁에 참여했다. 카타르에너지는 대우조선에 발주한 6척 주문과 후동중화 추가 7척을 통해 대규모 LNG 신규 건조 프로그램의 1단계를 완료할 예정이다. 카타르는 슬롯 150여 개를 예약한 상태이다. 국내 조선 3사에서 45척씩, 후동중화에서 16척을 건조하기로 했다. <본보 2021년 6월 30일 참고 카타르, 'LNG선 45척' 선주 입찰 내달 마감...연내 발주 시동> 그러다 카
[더구루=길소연 기자] 글로벌 4위의 선사인 CMA CGM가 바이오가스 추진 컨테이너선 7척을 발주한다. 국제해사기구(IMO)의 환경규제가 강화되면서 친환경 선박 수요가 증가한다. 28일 업계에 따르면 CMA CGM은 바이오가스 추진 컨테이너선 7300TEU 선박 4척과 7900TEU 선박 3척을 주문해 선단을 늘린다. 신조선은 프랑스 서인도 제도 무역을 위해 건조된다. 인도 후 프랑스 서인도 제도, 프랑스 , 유럽 간의 항로 전용 소형 선박을 대체한다. 2024년부터 인도된다. CMA CGM가 발주한 선박은 탈탄소 경로에 대한 약속이다. 바이오가스는 화석 액화천연가스(LNG)에서 나오는 재생 가능한 바이오매스 투입으로 만들어진다. 바이오가스는 기존 연료에 비해 이산화탄소(CO2) 배출량을 67%, 황산화물 배출량을 99%, 미세입자 배출량을 91%, 질소산화물 배출량을 92% 줄인다. 대기 질 개선에 크게 기여하고 에너지 전환을 돕는다. CMA CGM는 이미 2017년부터 개발한 이중 연료 가스 엔진 기술은 합성 메탄뿐만 아니라 바이오 가스도 사용할 수 있다. 이미 이중 연료 엔진이 장착된 31개의 e-메탄 준비 컨테이너선을 보유하고 있으며, 오는 2026
[더구루=길소연 기자] 인도 국방부가 한화디펜스의 K9 자주포 바지라('천둥'의 힌디어)를 100문 추가 도입한다. 28일 업계에 따르면 인도 국방부는 인도 고산지대이자 중국군 분쟁지역인 라다크에서 배치된 이후 K9 바지라 자주포 100문을 추가로 배치할 예정이다. 중국 위협에 직면한 인도 육군이 북부 국경에 배치하기 위해 라르센 앤 토르보(L&T)에 K9 바지라 자주포 100대를 주문한다. K9 바지라 100문은 구자라트주(Gujarat)의 L&T 생산시설에서 제조된다. 인도 육군은 200문의 K9 바지라를 원하지만 100문만 주문한다. L&T는 "인도 국방부로부터 바지라 100대를 더 주문하라는 허가를 받았다"며 "제안 요청(RFP)은 곧 비용 협상이 수행된 후 L&T에 발행될 것"이라고 밝혔다. 인도의 K9 바지라 추가 구매는 중국과의 국경 분쟁을 위해 결정됐다. 인도와 중국군은 난투극을 벌인 뒤 무기를 증강 배치하며 긴장감을 높이고 있다. 중국 위협 증가에 K9 바지라를 추가로 사들이는 것. 이미 300문의 K9 바지라를 도입한 바 있는 인도 군은 라다크에서의 성능평가를 성공하자 중국 제압용으로 배치한다는 계획이다. 앞서
[더구루=길소연 기자] 대동이 기술과 혁신으로 정의되는 트랙터 제품군 카이오티(Kioti) HX 시리즈를 출시했다. 한국의 농기계 제조사 1위 답게 대동은 성능과 사용자 편의성을 극대화한 트랙터 솔루션을 제공한다. 28일 업계에 따르면 대동은 북미 브랜드인 카이오티(KIOTI)를 통해 트랙터 제품군 HX를 선보였다. 새로운 HX 시리즈는 성능과 사용자 편의성을 극대화한다. 한국의 선도적인 트랙터 제조업체는 카이오티 HX 트랙터에 안정적인 120마력 엔진, 공격적인 디자인, 첨단 기술을 장착한다. 디자인 측면에서는 곡선과 둥근 모양을 제거하고 공격적인 라인과 직각을 선호해 역동적이고 미래적인 외관이 탄생했다. LED 헤드라이트는 야간에 가시성을 높이고 크롬 요소는 카이오티 HX 트랙터에 독특한 우아함을 부여한다. 무엇보다 사용자가 피로를 느끼지 않고 농장에서 가장 힘든 작업을 수행하도록 만들어진 프리미엄 트랙터이다. 캐빈은 5개의 유리 패널로 둘러싸여 사용자에게 360도 시야를 가리지 않는다. 동시에 캐빈에서는 편안함이 집에 있으며 인체 공학과 재료 품질에 중점을 둔다. 신제품은 스테이지(Stage) V 배출가스 허용 기준을 준수하며 공공 도로에서 합법적으로
[더구루=길소연 기자] 포스코가 수소환원제철기술 개발, 재생에너지 확대, 탄소포집(CCS) 등 '2050 탄소중립'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탄소중립 방안을 실행한다. 포스코는 자동차 고객사들을 중심으로 한 글로벌 제조사들의 저탄소 제품 공급 요구를 맞추기 위해 이산화탄소(CO2) 배출 원단위 저감, RE100(Renewable Enegy 100%) 인증 제품 생산 등 다양한 방식의 탄소중립 협력을 논의하고 있다고 28일 밝혔다. 특히 포스코는 저탄소 철강제품 만드는 브릿지(Bridge) 기술을 적용한다. 저탄소 친환경 제철 프로세스를 위해서다. 브릿지 기술은 철강제품 생산시 이산화탄소(CO2)가 배출되는 이유는 철광석(Fe2O3)을 철(Fe)로 환원시킬 때 석탄, 천연가스 등 화석연료가 쓰이기 때문에 필요하다. 철강제품 생산시 이산화탄소(CO2) 배출을 원천적으로 차단하기 위해서는 화석연료를 대체할 수 있는 친환경 환원제가 필요하며, 글로벌 철강사들은 수소를 환원제로 사용하는 수소환원제철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포스코도 파이넥스(FINEX) 유동환원로 기술을 기반으로 가루 상태의 철광석과 수소를 사용하여 쇳물을 제조하는 수소환원제철 기술인 HyREX (Hydr
[더구루=길소연 기자] 테슬라 최고경영자(CEO) 일론 머스크가 설립한 터널 굴착회사 보링컴퍼니가 샌안토니오 국제공항과 시내를 연결하는 교통 인프라 구축을 위해 투자비를 증액한다. [유료기사코드] 28일 업계에 따르면 보링컴퍼니는 샌안토니오 루프에 자금을 지원하기 위해 1500만 달러(약 214억원)를 추가로 조달했다. 미국 텍사스주 샌안토니오 알라모 지역 교통국인 알라모 RMA(Alamo RMA) 의장 마이클 린드 주니어(Michael Lynd Jr)는 "보링컴퍼니가 샌안토니오 루프에 1500만 달러를 추가로 자금 지원했다"며 "이는 지역 사회 교통을 개선하기 위해 납세자들로부터 나오지 않는 많은 돈"이라고 말했다. 그는 샌안토니오 지역의 증가하는 인구를 위해 필요한 교통 프로젝트를 재정적으로 지원할 자금이 충분하지 않다고 반복해서 전했다. 알라모 RMA는 연간 차량 등록을 통해 수익을 창출할 예정이다. 보링컴퍼니가 샌안토니오 루프 프로젝트를 위해 1500만 달러의 추가 지원한 것으로, 지금까지 프로젝트를 위해 6000만 달러(약 856억원)를 모았다. 자금은 샌안토니오 루프의 첫 번째 단계에 사용된다. 알라모 RMA 이사회 비서이자 재무국장인 데이비드 스
[더구루=길소연 기자] 이집트가 한국산 경공격기 FA-50에 이어 기본 훈련기 KA-1 웅비도 도입을 검토하고 있다는 보도가 나왔다. 아랍 국방매체 디펜스 아라빅(defense-arabic)은 26일(현지시간) 이집트 정부가 한국항공우주산업(KAI)에서 제조한 신기술이 적용된 첨단 KA-1 웅비 훈련기 도입에 관심이 있다고 보도했다. 이 매체는 이집트가 EMB-312 투카노(Tucano)와 같은 노후 훈련기의 교체를 위해 KA-1 웅비 훈련기 도입을 원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KA-1 웅비는 KT-1 웅비 초등훈련기를 기초로 개발한 전선통제용 항공기(전술통제기/경공격기)다. KT-1 훈련기에 무장 포드와 정찰 장비를 장착해 육군의 작전을 지원하고 전선항공통제 임무를 수행하기 위해 개발됐다. KT-1 중등 훈련기의 파생형으로 플랫앤휘트니사의 950마력 엔진을 탑재하고 있다. 대한민국 공군에서 20여대를 도입, 보유하고 있다. 이집트가 훈련기로 KA-1 관심을 보인 건 노후 훈련기 EMB 312 투카노 때문이다. EMB 312 투카노는 브라질에서 개발한 2인승 기본훈련기이다. 초도비행은 1980년에 있었고, 최초 인도는 1983년에 있었다. T-37C 복좌 제트훈
[더구루=길소연 기자] 두산에너빌리티(옛 두산중공업)이 영국 발전 자회사 두산밥콕을 프랑스 기업인 알트라드에 완전히 매각했다. 인수 작업을 완료하면서 전직원 고용 승계를 떠맡았다. 알트라드는 두산밥콕 인수 계약을 재정적으로 종료했다고 26일(현지시간) 밝혔다. 알트라드는 밥콕 인수 작업으로 새로운 소유권을 반영해 '알트라드밥콕'으로 사명을 바꾼다. 사명 변경 외 근로자도 인수한다. 두산밥콕에 근무했던 4000명의 근로자들은 알트라드에 고용된 5만2000명의 근로자들에 합류한다. 알트라드는 최근 최대 1000명의 직원을 위한 채용 드라이브를 통해 올해 영국 직원 수를 확대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두산밥콕은 인수는 최근 몇 달간 알트라드가 인수한 행보 중 가장 길다. 알트라드는 지난 3월 스패로우 그룹을 인수했고, 지난 1월에는 덴마크와 영국에서 뮐한(Muehlhan)의 석유.가스 사업 인수를 완료했다. 앞서 두산에너빌리티는 지난 5월 자회사 두산밥콕을 알트라드에 매각하는 주식매매계약(SPA)을 체결했다. 매각가는 약 1600억~2000억원 수준. <본보 2022년 5월 27일 참고 두산, 밥콕 인수기업으로 프랑스 '알트라드' 낙점한 이유는> 두산밥콕이
[더구루=길소연 기자] 노르웨이가 한화디펜스가 만든 다연장 로켓 발사시스템(MLRS) 'K239 천무' 도입을 추진한다. 노르웨이는 K239 천무 MLRS에서 스텔라 대함미사일 NSM이 개조돼 탑재한다는 전략이다. 27일 업계에 따르면 한화디펜스는 노르웨이 최대 방산기업 콩스버그(Kongsberg)와 'K239 천무' 다연장 로켓 시스템 발사대 도입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콩스버그는 K239 천무'다연장 로켓 시스템 발사대에 노르웨이산 NSM 순항 미사일 적용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이를 위해 한화디펜스와 콩스버그는 미사일 개조에도 협력할 예정이다. 노르웨이의 K239 천무 도입은 한화디펜스의 레드백이라 불리는 차세대 보병전투장갑차 제안 외 구매 검토다. 노르웨이는 'K239 천무' 발사기에서 NSM 미사일의 시험 발사를 원하고 있다. NSM은 바다 표면의 물체를 공격하고 지상 목표물을 파괴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아음속 미사일이다. 길이 4m, 무게 400kg 이상인 탄약은 결합 탄두를 가지고 있으며 표적 인식 시스템이 장착되어 있다. 노르웨이 외 폴란드, 독일, 말레이시아, 미국 군대에서 운용되고 있다. 로켓포 천무는 한국 자체 기술로 개
[더구루=길소연 기자] 폴란드가 K2 전차와 K9 자주포, FA-50 경공격기 도입에 이어 한국형 K4 고속유탄기관총도 도입한다. 폴란드 군비청 대변인 크지슈토프 플라텍(Krzysztof Płatek) 중령은 26일(현지시간) 자신의 소셜 미디어에 한국의 40mm K4 기관총 구매를 알렸다. 크지슈토프 플라텍 중령은 SNS에 "50만 발의 탄약과 수백 대의 40mm AGL K4 유탄 발사기를 구매한다"며 "자동 유탄 발사기 생산 라이센스는 구입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이어 "한국 군수 구매처인 방위사업청(DAPA) 기술정책과와 국방과학연구소(ADD)를 통해 K4 생산 기술을 폴란드로 이전한다"고 덧붙였다. K4 기계 유탄 기관총은 소구경화기 제조업체인 SNT모티브가 만든 기관총으로,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표준인 높은 포구 속도를 가진 40mm x 53SR HV(고속) 탄약으로 구동된다. 무게는 65.9kg이고 이론 발사 속도는 분당 325발이며 사거리는 최대 1.5km이다. 야간 작전 중에 KAN / TVS-5 야간 투시경으로 유탄 발사기가 완성된다. 한국군 해병대 외 이라크, 리비아, 멕시코, 싱가포르 군에서 사용하고 있다. 모드3(Mod 3) 버전에
[더구루=길소연 기자] 현대글로비스가 미국 위싱턴주 타코마항((Tacoma)에 첫 입항하면서 현대자동차·기아의 미국 수출길이 확대됐다. 27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글로비스는 지난 23일(현지시간) 타코마항(Tacoma) 사우스 부두에서 미국 3대 항만 동맹인 '더 노스웨스트 시포트얼라이언스(The NorthWest Seaport Alliance·NWSA)를 통해 현대차·기아·제네시스의 자동차를 첫 인도했다. 이번 입항은 현대글로비스 미국 현지법인과 독일 왈레니우스윌헬름센솔루션(Wallenius Wilhelmsen Solutions·WWS), NWSA 간 새로운 파트너십을 보여준다. 특히 이번 파트너십은 완성차와 브레이크 벌크 운영이 모두 증가하고, 지역 파트너에 대한 사업 확대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존 맥카시(John McCarthy) NWSA 관리위원은 "현대글로비스와 NWSA 간 오랜 파트너십을 확장한다"며 "현대차·기아WWS시설에서 관리, 새로운 일자리 창출 기회가 증가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현대글로비스와의 파트너십을 강화할 뿐만 아니라 가장 큰 무역 파트너 중 하나인 한국과 강력한 무역 관계를 강화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스
[더구루=길소연 기자] 제주항공이 '무비자 입국'이 시행되는 일본 노선을 확대하는 가운데 마쓰야마 노선은 운항 중단을 연장한다. 27일 업계에 따르면 제주항공은 내달 말까지 '인천~마쓰야마' 노선 운항을 중단한다. 코로나19 발생 이후 사실상 봉쇄됐던 일본 하늘길을 재개하지만 마쓰야마는 운항 중단은 갱신했다. 마쓰야마 노선은 재작년 말부터 운휴했다. <본보 2022년 5월 11일 참고 제주항공, 인천~마쓰야마 하늘길 하반기 연다> 지난달에도 이달 말까지로 운항 중단을 연장했다. <본보 2022년 8월 24일 참고 제주항공, 日 마쓰야마 노선 내달까지 중단 연장> 마쓰야마는 제주항공이 지난 2017년에 신규 취항한 노선이다. 일본 시코쿠 에히메현에 위치했으며 인기 애니메이션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의 배경이자 일본의 가장 오래된 온천인 도고온천으로 유명하다. 뛰어난 자연경관과 함께 한적한 일본의 전통 분위기를 느낄 수 있다. 제주항공은 마쓰야마를 제외하고 수익성 개선이 기대되는 일본 하늘길을 늘린다. 제주항공은 내달 1일부터 인천∼도쿄(나리타)·오사카·후쿠오카 노선을 매일 2회로 증편한다. 인천~도쿄(나리타) 노선은 매일 3회로 증편한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대만 전자제품 위탁생산(EMS) 기업 위스트론(Wistron)이 엔비디아(NVIDIA)의 인공지능(AI) 서버 생산을 위해 미국 제조 시설 건설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엔비디아는 위스트론, 폭스콘 등과 손잡고 미국 AI 인프라 구축 프로젝트를 진행한다. [유료기사코드] 24일 업계에 따르면 제프 린(Jeff Lin) 위스트론 최고경영자(CEO)는 최근 개최된 연례 주주총회에서 "내년 중 미국 텍사스주 댈러스 공장을 준공하고 블랙웰(Blackwell) 아키텍처 기반 AI 서버 생산을 시작할 것"이라고 밝혔다. 위스트론 댈러스 공장은 엔비디아의 대대적인 미국 AI 인프라 구축 사업에 따라 건설된다. 엔비디아는 지난달 최대 5000억 달러(약 690조원)를 미국 AI 인프라 구축에 투자할 것이라고 밝혔다. 엔비디아는 AI 인프라 구축 사업에 필요한 슈퍼컴퓨터 등을 미국에서 생산하겠다고 밝히며 폭스콘, 위스트론과 협력할 것이라고 전했다. 이에 따라 폭스콘도 텍사스주 휴스턴에 새로운 공장을 건설하고 있다. 폭스콘 휴스턴 공장에서는 반도체 칩 테스트, 모듈 통합 작업 등이 진행된다. 위스트론은 엔비디아 외에 미국 내 추가 고객사 확보에도 나섰다.
[더구루=김은비 기자] 전기차 스타트업 리비안(Rivian)이 차세대 전기 SUV ‘R2’를 통해 본격적인 생산 혁신에 나선다. 핵심은 배선 길이의 획기적인 축소다. 리비안은 기존 R1 모델 대비 R2에서 배선을 대폭 축소하며 차량 경량화와 원가 절감이라는 '두 토끼 잡기'에 나섰다. [유료기사코드] 24일 업계에 따르면 RJ 스캐린지 리비안 최고경영자(CEO)는 자신의 엑스(X, 옛 트위터)에 "전면부 배선 설계도 변경을 통해 R2의 배선 하네스를 R1 대비 약 20kg 경량화 시켰다"고 밝혔다. 리비안은 약 3.2km(2마일) 배선 하네스 경량화 외에도 인라인 커넥터 수는 60% 줄였으며 전자 제어 장치(ECU) 수 역시 기존 17개에서 7개로 감소시켰다. 스캐린지 CEO는 “R2에 적용된 배선 하네스는 네트워크 아키텍처와 존별 ECU를 기반으로 설계돼, 공장 내 설치 편의성을 높이고 전체적인 시스템을 간소화한 것이 특징"이라며 "이를 통해 전선, 클립, 접속 횟수가 크게 줄어들며 생산성과 정비 효율성이 동시에 향상됐다"고 밝혔다. 리비안은 전기 모터 인버터 역시 효율화했다. 기존 R1S, R1T에 쓰이던 ‘엔듀로(Enduro)’ 유닛보다 부품 수를 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