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길소연 기자] 카타르 국영 석유기업인 카타르에너지(QatarEnergy)가 거대한 조선 프로그램을 위해 140억 달러(약 19조원) 가치가 있는 66척의 선박의 초기 라인업을 완료했다. 내년에 프로젝트 2단계를 시작하면 총 주문 선박 수는 100척이 넘는다. 9일 업계에 따르면 중국 국영 해운사 코스코(Cosco)와 일본 미쓰이상선(MOL)이 공동으로 설립한 특수목적 회사 '코스코 쉬핑 에너지 트랜스포테이션'은 중국 후둥중화조선에 3척의 선박을 발주한다. 카타르에너지가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 슬롯을 예약한 신조 물량이다. 이번 주문으로 MOL과 코스코의 장기 계약에 대한 주문을 7척으로 늘리고 카타르에너지의 대규모 LNG 신규 건조 계획 중 1단계를 완료한다. 1단계 주문은 척당 2억1500만 달러로, 총 66척의 선박 라인업을 완료한다. 카타르에너지는 신조 프로젝트 2단계는를 내년에 시작할 예정이며 주문 총 선박 수는 100척을 넘을 수 있다. 중국 조선소 외 국내 조선 3사는 각 사당 45척씩 수주했다. <본보 2020년 6월 7일 참고 "조선 3사, 카타르 LNG선 45척씩 수주 전망"> 카타르 에너지는 LNG 증산 계획에 따라
[더구루=길소연 기자] 포스코 아르헨티나 리튬 사업이 순항하고 있다. 협력 업체들도 속속 현지에 생산시설을 마련하며 포스코 지원 사격에 나섰다. 9일 업계에 따르면 한영엔지니어링은 최근 아르헨티나 카사 캄포 키하노에 유리섬유 케미칼 탱크 생산공장을 설립했다. 한영엔지니어링은 포스코의 운영을 위해 우선 100㎥ 면적의 유리 섬유 화학 탱크를 제조할 계획이다. 펌프와 유리 섬유 파이프는 나중에 개발될 예정이다. 또 이번 공장 설립을 위해 5헥타르가 조금 넘는 부지를 인수했다. 한영엔지니어링은 캄포키하노에서 진행되는 기술과정과 장학금 집행 및 학생 훈련을 위해 공동작업도 진행한다. 아르헨티나 카사 캄포 키하노 관계자는 "이 지역에 신규 기업을 유치하는 것은 진정한 고용 창출원으로 매우 중요하다"며 "이곳은 광산 개발의 길에 있고 더 많은 일자리와 산업화를 가져올 새로운 기업의 설치와 투자의 출발점이 될 것이기 때문에 의미가 있다"고 강조했다. 한영엔지니어링은 케미칼 플랜트와 환경설비와 주변 내산기기 전문 제조업체로서 창립 후 30여년간 경험을 쌓았다. 지난 2016년에 아르헨티나 법인을 설립한 후 2019년에 포스코 아르헨티나 PosLX C0 프로젝트 기자재 공급
[더구루=길소연 기자] 현대두산인프라코어가 고객에게 텔레매틱스 정보를 제공한다. 스마트 엑스 케어(Smart X-Care) 가입자들에게 기계 사용률과 연료 소비량을 포함한 주요 운영 수치를 포함하는 기계 사용 보고서를 보내 장비 사용을 돕는다. 9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두산인프라코어 북미법인은 고장코드, 예방정비 등 텔레매틱스 정보를 고객에게 제공하기 위해 데이터 모니터링 센터를 신설했다. 초기 6개월 무료 가입 시 새로 구입한 장비에서만 사용할 수 있는 새로운 서비스인 스마트 엑스 케어를 지원한다. 그 후에는 서비스 비용이 매월 기계당 19.99 달러이다. 토드 로커(Todd Roecker) 현대두산인프라코어 북미 지역 성장 이니셔티브 담당 부사장은 "고객에게 새로운 텔레매틱스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 것을 기쁘게 생각한다"며 "스마트 엑스 케어를 통해 고객은 현대두산 직원이 차량 관리자 역할을 하고 고객과 딜러가 협력해 장비 투자를 보호할 수 있다"고 말했다. 새로운 기계 모니터링 센터는 중요한 기계 결함 코드, 기한 만료 서비스, 보증 만료를 감시한다. 기계 경고가 발생하면 텔레매틱스 시스템은 이메일을 통해 두 개의 메시지(하나는 소유자에게, 다른 하나는 딜
[더구루=길소연 기자] 인권단체 국제앰네스티가 트레이딩 기업 트라피규라(Trafigura)와 팬오션 소유 유조선이 미얀마 전쟁범죄에 이용됐다고 주장했다. 8일 업계에 따르면 국제앰네스티는 다국적 원자재 트레이딩 기업 트라피규라(Trafigura) 산하 푸마에너지와 팬오션이 미얀마의 전쟁 범죄를 부채질했다고 비판했다. 국제엠네스티는 "트라피구라가 장악하고 있는 푸마에너지와 한국 선주 팬오션이 민간 제트 연료 수송이 민간인에 대한 군사 공격을 부채질한다"고 설명했다. 이는 지난주 미얀마 공군에 기름을 붓는 공급망과 전쟁범죄 혐의에 대한 상세한 조사를 발표한 데 따른 조치이다. 국제앰네스티는 저스티스포미얀마, 미얀마캠페인UK 등의 단체와 미얀마 군부의 공급망을 추적한 결과 푸마에너지 외에 태국 타이오일, 중국 국영 석유업체인 중국석유천연가스(페트로차이나)가 운영하는 싱가포르페트롤륨 등의 연료가 미얀마군으로 들어간 것으로 나타났다고 전했다. 단체는 미얀마 공군은 공급받은 항공유로 공습을 했으며, 일부는 민간인을 상대로 한 전쟁범죄였다고 비판했다. 실제 카친독립기구(KIO) 창립 62주년 기념 공연장을 공격해 민간인을 포함한 70여명이 목숨을 잃었다. 또 지난 9월
[더구루=길소연 기자] 한화테크윈이 베트남에 인공 지능 개발 센터를 설립한다. 또한 현지 공장 생산 규모를 늘려 전 세계 시큐리티 장비 공급을 확대할 계획이다. 안순홍 한화테크윈 대표는 8일(현지시간) 응웬 흐엉 지앙(Nguyen Huong Giang) 박닌성 인민위원장과 만나 양국 경제협력 강화를 모색했다. 안순홍 대표는 이 자리에서 박닌성 공장 안에 인공지능 연구개발(R&D)센터 설립안을 제시했다. 한화테크윈은 이를 위해 향후 3년 내 베트남 인공지능 연구 인력을 채용·양성할 예정이다. 응웬 흐엉 지앙 위원장은 "인공지능 센터를 설립하려는 한화테크윈의 정책을 환영한다"며 "비즈니스에 큰 진전이 되는 건 물론 연구와 응용을 촉진하는 파급 효과를 창출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화테크윈은 2년 전부터 베트남 공장 생산을 증대, 글로벌 판매를 확대했다. 베트남 박닌공장 생산량을 기존 월 15만대에서 20만대로 늘리고, 투자 규모도 늘려 베트남 생산거점인 박닌공장에 힘을 싣는다. <본보 2020년 12월 30일 참고 한화테크윈, 베트남 박닌 공장 생산 확대 추진> 한화테크윈 베트남 제조법인이 둥지를 튼 박닌성은 베트남 정부의 우호적인 정책과 유연
[더구루=길소연 기자] 보잉이 추락사고를 낸 '737 맥스(MAX)' 기종이 기체 결함으로 인도가 지연됐다. [유료기사코드] 9일 업계에 따르면 보잉은 B737 맥스 기체 결함으로 인해 지난달 35대의 항공기를 인도했다. 이는 9월 인도분 51대보다 16대 줄었다. 스탠 딜(Stan Deal) 보잉 상업용 항공기 사장 겸 최고경영자(CEO)는 "수요 급증으로 연말에 납품을 회복할 것이지만, 시스템에서 관리해야 하는 부정적인 품질이 (인도 지연에) 영향을 미쳤다"고 말했다. 지난달 인도된 35대의 항공기 중 23대가 보잉이 제작한 항공기 중 가장 많이 팔린 737기였다. 올해 누적 9개월 동안 보잉은 363대의 비행기를 인도했고 이중 300대는 737 계열의 맥스 8과 9 변형이 포함됐다. 10월은 보잉에 바쁜 달이었다. 9월 주문량 96대보다 증가한 122대의 항공기 주문을 받은 것. 보잉은 알래스카 항공과 국제항공그룹(IAG)의 대량 주문에 힘입어 지난달 16대를 맥스 계열로 추가 주문했다. 드림라이너(Dreamliner) 10대도 10월에 주문하기도 했다. <본보 2022년 5월 31일 참고 보잉, 737 맥스 80대 또 수주…노르웨이 항공사 주문&
[더구루=길소연 기자] 캐나다 리튬 채굴기업인 리튬아메리카스(Lithium Americas Corp, LCA)가 북미와 아르헨티나 사업을 둘로 나눈다. 리튬아메리카스는 사업 분리로 자산 기반의 잠재력을 최대한 발휘해 주주와 기타 이해 관계자에게 최대 가치를 제공한다. [유료기사코드] 8일 업계에 따르면 리튬아메리카스는 북미와 아르헨티나 사업을 올해 말까지 두 개의 독립적인 공개 회사로 분리한다. 리튬아메리카스는 성명을 내고 "네바다(Nevada)의 태커 패스(Thacker Pass) 리튬 프로젝트와 그린 테크놀로지 메탈과 미국 폐배터리 리사이클링 혁신기업 '어센드 엘리먼츠(Ascend Elements)'에 대한 투자한다"고 밝혔다. 리튬아메리카스 사장 겸 최고경영자(CEO) 조나단 에반스가 계속 사장직을 맡게 된다. 리튬아메리카스는 최근 리튬화학물 공급망 개발이라는 공통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그린 테크놀로지 메탈과 전략적 협약을 체결했다. <본보 2022년 9월 22일 참고 리튬아메리카스, 리튬화학물 공급망 개발> 또 다른 분리회사 리튬인터내셔널은 아르헨티나 자산에 초점을 맞춘다. 여기에는 첫 생산을 향해 나아가고 있는 아르헨티나 후후이(Jujuy
[더구루=길소연 기자] 아랍에미리트(UAE) 국영 석유공사 애드녹(ADNOC) 산하 해양서비스, 물류, 해운업을 담당하는 애드녹 로지스틱스 앤드 서비스(ADNOC L&S)가 상장을 재추진한다. 석유 의존도가 높은 자국 산업 지형을 바꾸고, 기업공개(IPO)로 자금 조달에 나선다. [유료기사코드] 8일 업계에 따르면 아부다비 국영 석유회사 애드녹은 IPO 계획이 처음 논의된 지 1년 만에 선박 부문을 위한 40억 달러 이상의 잠재적 유동성을 추진하고 있다. IPO는 씨티그룹, JP모건체이스, 퍼스트 아부다비 은행이 준비한다. IPO는 이르면 2023년 상반기에 이루어질 전망이다. IPO를 위해 투자은행 모엘리스(Moelis & Co)가 재무 고문으로 임명됐으며, 모회사 애드녹은 상장을 돕기 위해 더 많은 은행을 유치한다. 애드녹 해양·물류 부문을 담당하는 애드녹 엘엔에스(ADNOC L&S)는 작년부터 해양서비스와 물류을 기반으로 IPO를 준비했다. <본보 2021년 11월 23일 참고 애드녹 물류사업 IPO 추진…내년 상장> 영국의 선박 컨설팅 업체인 베슬스밸류(VesselsValue)에 따르면 애드녹 소유 함대 가치를 작년 이
[더구루=길소연 기자] 한화디펜스와 통합한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노르웨이에 K9 자주포를 추가 수출한다. 2017년에 체결한 옵션을 노르웨이가 서명하면서 K9 자주포 수출이 성사됐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 7일(현지시간) 노르웨이 국방물자청(NDMA)과 K9 썬더(Thunder) 155mm 자주포 4문와 K10 탄약재보급차량 8대를 추가로 인도하는 옵션을 발효했다. 옵션분은 2017년 체결된 18억 크로네(약 2448억원) 계약에 해당된다. 이번 수출로 노르웨이는 K9 주문을 28대로 늘린다. K9의 지원 자동화 로봇 유닛인 K10탄약운반장갑차는 총 14대로 증가한다. NDMA 홍보 대변인은 "모든 배송은 향후 2년 이내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노르웨이의 K9 추가 도입은 폴란드와 한화가 지난 8월에 24억 달러 규모의 K9 계약에 합의한 데 따른 것이다. 한화는 폴란드 외 터키, 인도, 핀란드, 에스토니아, 호주, 이집트가 발주한 최대 규모의 포병 시스템 수출 계약을 맺었다. 현재 노르웨이 군당국은 노후된 M109 자주포를 대신 K9 자주포를 도입, 군 현대화를 추진하고 있다. 내년 실전 배치를 목표로 노르웨이 육군 포병 경쟁력을 강화한다는 계획이
[더구루=길소연 기자] 캐나다가 한국산 탄소합금강관에 대한 반덤핑 수입 규제 만료 검토와 도금강판 반덤핑 규제에 대해 재조사에 착수했다. 캐나다는 저가 철강제품 유입을 우려해 수입규제로 자국 철강제품을 보호한다. 8일 캐나다 토론토무역관이 낸 '캐나다, 한국산 철강제품의 반덤핑 규제 관련 업데이트 사항' 보고서에 따르면 캐나다 국경관리청은 한국산 탄소합금강관에 대한 반덤핑 수입 규제 만료 검토에 착수했다. 캐나다 국경관리청은 규제 만료 검토를 내년 3월 23일까지 결정을 내려 그해 4월 14일까지 발표할 예정이다. 규제 대상 제품은 한국에서 생산되는 탄소합금강관으로 용접이나 이음매가 없고 외경이 60.3~610㎜인 제품이다. 한국이 유일한 규제대상이다. 캐나다 국경관리청은 해당 제품에 대해 지난 2017년 4월 18일 접수된 서스캐처원주 리자이나 지역의 에브라즈 엔에이 캐나다(EVRAZ Inc. NA Canada)와 앨버타주 캠로즈 지역의 캐나다 국립 철강공사(Canadian National Steel Corporation) 등 현지 철강회사의 제소를 계기로 덤핑 조사를 착수했다. 제소기업은 한국에서 생산되는 탄소합금강관이 덤핑 가격으로 수입되는 점을 주장하
[더구루=길소연 기자] K2전차와 K9자주포의 폴란드 현지생산이 구체화 됐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영향으로 폴란드 남서부 지역인 글리비체(Gliwice)에서 생산된다 폴란드 국영방산그룹 PGZ의 세바스찬 흐바크 회장은 글리비체 지역지 비보르차(gliwice.wyborcza)와 6일(현지시간) 인터뷰를 갖고 "한국에서 구매한 K9 자주포가 폴란드 남서부 글리비체에서 생산된다"고 밝혔다. PGZ는 이를 위해 글리비체에 위치한 무기 제조사인 '부마르-라베디' 공장에 자주포 생산를 위한 추가 생산 라인을 가동할 예정이다. 부마르-라베디는 폴란드 무기 제조업체로 지난 2010년 폴란드 장갑차용 Hitfist OWS 원격 제어 포탑을 수주한 바 있다. K2전차 역시 같은 공장에서 생산될 가능성이 높다. 부마르-라베디 관계자는 비보르차와의 인터뷰에서 "전차 생산 경험이 있기 때문에 글리비체 공장에서의 K2 전차 생산은 자연스럽다"고 말했다. 이같은 장소 선택이 우크라이나에서 진행중인 전쟁과 관련이 있다. 당초 PGZ는 비스툴라(Vistula)에서 자주포 생산을 생각했으나 러시아 위협으로 상대적으로 안전한 폴란드 남서부 지역에 위치한 글리비체로 택했다. 한국 정부는 폴
[더구루=길소연 기자] 삼성중공업이 2026년부터 소형화된 원전 설비를 바다에 띄우는 작업에 돌입한다. 미국 유력 경영 월간지 '패스트 컴퍼니'(Fast Company)는 삼성중공업이 덴마크 소형 용융염원자로(CMSR) 개발업체인 시보그(Seaborg)와 함께 2026년부터 바지선을 건설하면서 원자로를 건설할 계획이라고 지난 4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원자로 조립은 전력 바지선과 비슷한 시기에 시작할 예정이다. 트로엘스 쇤펠트(Troels Schönfeldt) 시보그 창업자 겸 CEO는 "청정 에너지가 필요한 열대 지방에서는 현장 건설보다 저렴하고 빠르게 접근한다"며 "대량 생산 친화적 설계가 처음에 태양열 및 풍력 비용보다 약간 높지만 가스와 석탄 비용보다 훨씬 낮은 메가와트시당 50달러로 전력을 생성할 수 있다고 추정한다"고 말했다. 그는 베트남을 매력적인 사례로 언급하면서 "동남아시아와 개발 도상국에서 개발하고 있다"며 "이들은 빠르게 성장하는 경제로써 많은 에너지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바지선 원자력 발전 설비는 건조 비용을 크게 줄여준다. 쇤펠트 CEO는 "비용과 복잡성을 크게 줄여준다"며 "원자로에서 나오는 폐기물은 표준 원자력 발전소에서 남은
[더구루=홍성일 기자] 대만 전자제품 위탁생산(EMS) 기업 위스트론(Wistron)이 엔비디아(NVIDIA)의 인공지능(AI) 서버 생산을 위해 미국 제조 시설 건설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엔비디아는 위스트론, 폭스콘 등과 손잡고 미국 AI 인프라 구축 프로젝트를 진행한다. [유료기사코드] 24일 업계에 따르면 제프 린(Jeff Lin) 위스트론 최고경영자(CEO)는 최근 개최된 연례 주주총회에서 "내년 중 미국 텍사스주 댈러스 공장을 준공하고 블랙웰(Blackwell) 아키텍처 기반 AI 서버 생산을 시작할 것"이라고 밝혔다. 위스트론 댈러스 공장은 엔비디아의 대대적인 미국 AI 인프라 구축 사업에 따라 건설된다. 엔비디아는 지난달 최대 5000억 달러(약 690조원)를 미국 AI 인프라 구축에 투자할 것이라고 밝혔다. 엔비디아는 AI 인프라 구축 사업에 필요한 슈퍼컴퓨터 등을 미국에서 생산하겠다고 밝히며 폭스콘, 위스트론과 협력할 것이라고 전했다. 이에 따라 폭스콘도 텍사스주 휴스턴에 새로운 공장을 건설하고 있다. 폭스콘 휴스턴 공장에서는 반도체 칩 테스트, 모듈 통합 작업 등이 진행된다. 위스트론은 엔비디아 외에 미국 내 추가 고객사 확보에도 나섰다.
[더구루=김은비 기자] 전기차 스타트업 리비안(Rivian)이 차세대 전기 SUV ‘R2’를 통해 본격적인 생산 혁신에 나선다. 핵심은 배선 길이의 획기적인 축소다. 리비안은 기존 R1 모델 대비 R2에서 배선을 대폭 축소하며 차량 경량화와 원가 절감이라는 '두 토끼 잡기'에 나섰다. [유료기사코드] 24일 업계에 따르면 RJ 스캐린지 리비안 최고경영자(CEO)는 자신의 엑스(X, 옛 트위터)에 "전면부 배선 설계도 변경을 통해 R2의 배선 하네스를 R1 대비 약 20kg 경량화 시켰다"고 밝혔다. 리비안은 약 3.2km(2마일) 배선 하네스 경량화 외에도 인라인 커넥터 수는 60% 줄였으며 전자 제어 장치(ECU) 수 역시 기존 17개에서 7개로 감소시켰다. 스캐린지 CEO는 “R2에 적용된 배선 하네스는 네트워크 아키텍처와 존별 ECU를 기반으로 설계돼, 공장 내 설치 편의성을 높이고 전체적인 시스템을 간소화한 것이 특징"이라며 "이를 통해 전선, 클립, 접속 횟수가 크게 줄어들며 생산성과 정비 효율성이 동시에 향상됐다"고 밝혔다. 리비안은 전기 모터 인버터 역시 효율화했다. 기존 R1S, R1T에 쓰이던 ‘엔듀로(Enduro)’ 유닛보다 부품 수를 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