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길소연 기자] 고려아연의 자회사 아크에너지(Ark Energy)의 호주 찰룸빈(Chalumbin) 풍력발전 사업이 '환경논란'으로 기소됐다. 발전소 건설로 야생동물의 서식지 등 지역 생태계가 훼손되는데 연방 환경부뿐만 아니라 일반 대중에게 고의로 허위 정보를 제공해 지역 주민에게 혼란을 야기했다는 이유에서다. 25일 업계에 따르면 아크에너지는 퀸즈랜드 북부의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열대우림 인근에 10억 달러(약 1조3000억원) 규모의 풍력 발전소 건설 계획에 대해 '그린워싱(greenwashing, 위장환경주의)' 혐의로 기소됐다. 그린워싱은 언뜻 환경을 보호하는 듯 홍보하지만 실제로는 환경 보호와 관련이 없는 행동을 하는 위장환경주의를 의미한다. 기업이 환경오염 문제는 축소시키고 일부 과정만을 부각시켜 마치 친환경 사업인 듯 하는 것을 일컫는다. 찰룸빈의 환경단체 '프렌즈 오브 찰룸빈'(Friends of Chalumbin)은 그린워싱에 대한 상원조사에서 아크에너지가 이 프로젝트가 지역 주민과 연방 환경부에 미치는 환경 영향을 경시했다고 밝혔다. 이 단체는 "친환경으로 여겨지는 재생 에너지 산업이 그린워싱 선전을 가장 노골적으로 남용하는 산업 중
[더구루=길소연 기자] 효성이 중국에서 열리는 세계적인 섬유 전시회에서 최신 섬유 혁신 기술을 소개한다. 24일 업계에 따르면 효성은 오는 28일부터 30일까지 열리는 상하이 국립 전시컨벤션센터에서 열리는 '인터텍스타일 상하이 의류·직물 박람회'에 참가한다. 코로나19 이후 처음으로 박람회에 참석하는 효성은 최신 섬유 혁신에 초점을 맞춘 글로벌 공장 파트너의 직물을 선보일 예정이다. △크레오라 바이오 기반 스판덱스/엘라스테인 △리젠 오션(regen ocean) △크레오라 컬러+ 스판덱스/엘라스테인 등을 소개한다. 효성은 인터텍스타일 상하이(ITS)의 부스 공동 출품사로 주요 공장 파트너사들을 대거 지원한다. 스콧 박 효성 중국 마케팅 디렉터는 "화동 지역에서 7개, 화남 지역에서 12개, 한국에서 빌리언 라이즈(Billion Rise), 진카이(Jinkai), 진후(Jinhu), 줄리안(Julian) 등 5개 등 총 24개의 공동 전시업체가 ITS에 함께한다"고 말했다. 인터텍스타일 상하이 의류·직물 박람회는 최고의 의류 직물과 액세서리를 선보이는 자리다. 잠재 고객을 만나고, 새로운 시장 기회를 탐색하고, 다음 시즌 트렌드를 배우는 등 비즈니스에 가치를 더
[더구루=길소연 기자] 삼성물산이 컨소시엄을 구성해 참여한 캐나다 사이트-씨(Site-C) 댐 건설의 성토(흙을 운반해 지반 위에 쌓는 작업) 작업을 마쳤다. 24일 업계에 따르면 캐나다 전력 공기업인 '브리티시 컬럼비아 수전력청(BC Hydro)은 지난달 말 160억 캐나다 달러(약 15조7000억원) 규모의 사이트 씨 댐 건설에서 흙쌓기 작업을 진행했다. 브리티시 컬럼비아 수전력청는 "지난달에 사이트 C 댐 성토를 완공했다"며 "높이 60m, 폭 500m의 댐은 브리티시컬럼비아주 북동부의 피스 강을 가로질러 1km 이상 뻗어 있다"고 설명했다. 댐 건설은 땅을 깎고, 흙은 쌓는 등 지반을 조성하는 공사가 중요하다. 성토는 도로나 철도, 댐 건설 시에 일정한 높이를 갖도록 흙을 쌓아 올리는 것을 말한다. 성토 작업은 2021년부터 시작됐다. 1600만㎥의 토사 자재 대부분은 댐 현장에서 직접 가져왔고, 그 외 자재는 현지에서 조달해 5km 길이의 컨베이어 벨트를 통해 댐으로 운반했다. 흙쌓기가 완성됨에 따라 댐 건설의 다음 단계로 이동한다. 다른 주요 프로젝트 영역에는 접근 수로, 방수로, 테일레이스 지역, 댐 취수 구조물 및 발전소의 특정 구성 요소가 남
[더구루=길소연 기자] 삼성중공업이 그리스 선사에 액화천연가스(LNG)운반선을 인도했다. 24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중공업은 21일(현지시간) 그리스 해운그룹 안젤리쿠시스 쉬핑(Angelicoussis Shipping)의 자회사인 마란가스 마리타임(Maran Gas Maritime)에 건조한 17만4000㎥급 LNG 운반선 '마란가스 마르세유(Maran Gas Marseille)'를 인도했다. 프랑스 선급인 BV(Bureau Veritas)에 의해 분류되며 그리스 국기를 달고 운항한다. 선박은 최적화된 선체 형태로 샤프트 생성기, 효율적인 가스 스크류 압축기, 공기 윤활 시스템, LNG 과냉각기를 포함해 효율적이고 환경 친화적인 설계를 특징으로 한다. 마란가스는 2020년 11월 삼성중공업에 LNG 운반선을 당시 약 1억8600만 달러에 발주했다. 인도된 선박은 프랑스 에너지 대기업인 토탈에너지스(TotalEnergies)에 정기 용선된다. 영국의 조선·해운시황 전문기관인 클락슨리서치에 데이터에 따르면 마란가스의 선단은 현재 건조 중인 17만4000㎥ 규모의 LNG 운반선 13척 외에 40척의 LNG 운반선을 운영하고 있다. 이 중 10척은 한화오션이 건조하고
[더구루=길소연 기자] 미국 항공단체가 에어택시의 안전에 대한 우려를 표명했다. 미국 연방항공청(FAA)에 '첨단 항공 이동성'(AAM)을 어떻게 감독해야 하는지에 대한 의견을 제출해 안정성 인증을 촉구했다. [유료기사코드] 24일 업계에 따르면 미국 항공단체는 16일(현지시간) FAA에 전기수직이착륙기(eVTOL)의 개발에 대해 안전을 우려하는 동시에 전력망 등 실질적인 문제에 대해 경고했다. 국제항공선조종사협회(ALPA)는 FAA에 공개서한을 보내 "항공기 배터리 표준과 항공기 추진을 위한 유일한 에너지원으로 배터리를 사용하는 것에 대해 우려하고 있다"며 배터리 안전 기준을 평가할 것을 촉구했다. 이어 "고도로 자동화된 기술이 적절한 심사를 거쳐 허용됐다고 믿기에는 너무 이르다"며 "eVTOL 기술이 안전하고 훈련 가능하다는 것을 증명할 수 있는 수년간의 데이터와 안전 위험에 대한 근거가 없다면, 고도의 자동화 수준이 두 명의 조종사가 항공기에 탑승하는 것을 대체할 수 있다고 믿는 것은 매우 어리석은 생각"이라고 밝혔다. 현재 에어택시 개발자들은 초기에는 한 명의 조종사가 비행기를 조종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어 완전 자율 반복 비행을 개발할 계획
[더구루=길소연 기자] 기아의 전술 차량 'KM450'이 우크라이나 야전에 투입된다. 24일 업계에 따르면 기아 KM450는 우크라이나 군에 인도되기 시작했다. 그동안 파산한 우크라이나 자동차 제조사 보흐단 모터스에 보관돼 있다가 우크라이나 유명 정치인 세르게이 프리툴라가 만든 자선 재단이 기아 KM450를 구입해 야전에 투입시킨다. 보흐단 모터스가 자산 매각을 위해 경매 매물로 20대의 기아 KM450를 내놓았는데 세르게이 프리툴라의 자선 단체가 낙찰받은 것이다. 단체는 KM450을 대당 12만8000 흐리우냐(약 463만원)에 샀다. 20대의 총 구입 지불가는 9260만원이다. 이들 차량은 개조를 거쳐 전투에 투입된다. 앞서 기아는 지난 2015년 우크라이나 육군에 단발성으로 전술 차량 'KM450'을 수출했다. 우크라이나 육군의 지휘·참모용 차량으로 활용될 예정이었다. 우크라이나 현지업체가 통신장비 등을 갖춘 박스샵차(차량이 끌고 가는 박스형 공간)를 생산하면 보흐단 모터스가 이를 차체에 조립할 계획이었다. 그러나 보흐단 모터스가 2021년 7월에 파산하면서 KM450의 차체조립을 맡은 보흐단의 체르카시 공장도 문을 닫았다. 체르카시 공장은 2000년에
[더구루=길소연 기자] 대한항공이 대북 정보 수집과 정찰임무를 수행할 '한국형 리퍼' 중고도정찰용무인항공기(MUAV)를 양산한다. 24일 업계에 따르면 대한항공은 최근 방위사업청으로부터 'MUAV 양산계획안'을 승인받았다. 대한항공은 'KUS-FS'로 명명된 무인항공기 개발을 지난해 완료하고 2024년부터 생산에 들어갈 예정이다. MUAV은 공군의 독자적인 감시‧정찰을 위해 추진됐다. 총 사업비 약 9800억원으로 오는 2028년까지 양산을 완료한다 대한항공이 양산하는 MUAV는 고성능 감지기가 탑재돼 항공기 비행고도 이상의 높이에서 핵심 타깃을 실시간으로 감시·정찰하는 전략급 무기 체계를 갖췄다. 현재 전 세계에서 4개국만 보유하고 있는 최고의 경쟁력을 갖춘 자산이다. 헬기의 수직 이착륙 기능과 고정익의 고속비행 능력을 모두 갖춘 이 제품은 대한항공이 개발, 양산한 기존 사단급 무인기의 후속모델이다. 국내의 협소한 산악지형에서의 군용 정찰목적 뿐만 아니라 산불 감지, 어군 탐지 등 민간 공공용으로의 사용도 기대하고 있다. MUAV는 길이 13m, 폭 26m로, 미국의 MQ-9 '리퍼'보다 강력한 1200마력 터보프롭 엔진을 장착한다. 이 무인기는 고도 6~
[더구루=길소연 기자] HD현대인프라코어의 엔진이 탑재된 우크라이나의 PM-B 파이로테크닉 지뢰(pyrotechnic mine) 제거 차량이 공개됐다. 23일 업계에 따르면 우크라이나의 화재, 구조 및 특수 장비 제조업체 포즈마시나(Pozhmashina)는 지난달 말 우크라이나 국가재난청에 34대의 PM-B 신형 차량을 납품했다. PM-B는 지뢰와 불발탄을 제거하는 복잡한 작업을 처리하는 차량이다. 응급 서비스를 위한 민간 트럭(주로 소방차)을 전문적으로 개조하는 포즈마시나는 PM-B 지뢰 제거 트럭을 생산해 포트폴리오를 확장한다. PM-B의 주요 기능은 수동 지뢰 제거와 관련된 내재적 위험을 줄여 폭발물 위협을 무력화한다. 이 차량은 폭발물을 사용해 위협을 안전하게 무장 해제하고 첨단 센서를 활용해 탐지, 표시, 제어 폭발 및 폭발 후 검증을 수행한다. 다양한 지형과 폭발물 유형에 적응할 수 있고, 인명 노출을 줄여 피해를 최소화한다. 포즈마시나의 PM-B 차량은 타타대우 노부스(TATA DAEWOO NOVUS)의 K5DEF 6x4 티퍼 트럭(Tiper Truck)으로 제작됐다. 건설·광업 분야에서 주로 사용되는 차량은 2100RPM에서 335마력을 지녔다
[더구루=길소연 기자] HD현대중공업그룹과 삼성중공업이 수주한 모잠비크발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 프로젝트가 또 다시 미뤄진다. 23일 업계에 따르면 토탈에너지스는 모잠비크 LNG 프로젝트를 위해 오랫동안 계획된 17척의 LNG 운반선 신조 선석의 인도 날짜를 연기한다. 모잠비크 LNG 프로젝트와 연관된 선주사 4곳이 카타르에너지가 올해 2단계 계획에 따라 얼마나 많은 사전 예약 슬롯을 선언할지 기다리면서 2027년과 2028년에 걸쳐 분산된 모잠비크 LNG 선석 인도를 2028년에서 2029년으로 미뤘다. 모잠비크 LNG 프로젝트를 위한 신조 슬롯 재협상 연기는 이번이 다섯번째이다. 토탈에너지스도 현재 프로젝트 재개를 위해 설계·조달·시공(EPC) 계약업체들과 비용 조건에 대해 협의 중으로, 17척의 신조선 인도 지연을 예고했다. 패트릭 푸얀(Patrick Pouyanne) 토탈에너지스 최고경영자(CEO)는 올해 초 "프로젝트 재개를 위해 서두르지 않고 있다"며 "보안, 인권, 유지비용이 모잠비크 카보델가도주(州) 아풍기(Afungi) 반도 현장으로 복귀를 결정하게 하는 세 가지 주요 요소를 두고 프로젝트를 재개하고 있다"고 밝혔다. 현대삼호중공업과 삼
[더구루=길소연 기자] 오만에서 대규모 태양광·풍력 프로젝트를 본격 추진한다. 2029년까지 태양광 기반 발전 용량을 총 3500MW(메가와트)로 확보하고, 풍력 에너지 기반 발전 용량을 800MW 규모로 확대한다. 오만 현지에서 태양광·풍력 발전 사업 진행이 구체화되면서 현지에 진출한 국내 기업들에게도 새로운 기회가 될 것으로 보인다. ◇오만, 태양광·풍력 프로젝트 발주 예정 23일 업계에 따르면 오만수전력조달공사(Nama Power & Water Procurement Company, Nama PWP)는 최근 대규모 태양광 발전 기반 민자 발전 프로젝트(IPP) 조달을 확정했다. '태양광 발전 IPP 2029'로 명명된 이 초대형 프로젝트는 각각 500MW 규모의 IPP 두 개로 구성된 총 1000MW의 용량을 확보한다. 이 프로젝트의 조달 전략은 오만 마나 태양광발전 사업에 적용한 방식을 반영했다. 각각 500MW 용량 공유를 확보하는 두 개의 서로 다른 컨소시엄에 분리 발주한다. 오만 수전력조달청(PWP)은 2023~2029년 기간의 전력 수요 전망을 다루는 새로 발표된 7개년 성명서에서 "이 프로젝트는 단일 조달 프로세스로, 각 사이트마다 다른
[더구루=길소연 기자] HD현대건설기계가 북미 건설기계 시장에서 영업망을 확충한다. 북미 등 선진 시장에서의 매출이 증가하자 딜러 네트워크를 확대해 호실적을 이어간다는 목표다. 23일 업계에 따르면 HD현대건설기계는 최근 콜로라도주 덴버에 위치한 G4 건설기계를 북미 딜러 네트워크로 추가했다. G4 건설기계는 콜로라도 동부 프런트 레인지(Front Range) 지역과 와이오밍 남동부 지역에 걸쳐 HD현대건설기계 전 제품군을 취급하게 된다. 테리 프라이데이(Terri Priday) G4건설기계 사장은 "HD현대건설기계 브랜드는 우리 딜러십에 딱 맞는 브랜드"라며 "HD현대건설기계 제품 라인은 신뢰할 수 있는 고성능 장비에 대한 우리 시장의 요구를 충족시킨다"고 말했다. 이어 "HD현대건설기계 장비들은 건설 현장, 재활용 야적장, 농업 및 목장 운영에서 생산성, 효율성 및 안전성을 향상하도록 설계됐다"며 "이미 HD현대건설기계의 휠로더, 굴착기, 소형 장비 모델과 굴절식 트럭에 대한 수요를 확인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그는 HD현대건설기계 제품 라인의 강점 외에도 업계 최고의 장비 보증, 금융 옵션, 부품 지원이 G4의 고객에게 추가적인 가치를 제공한다고 전했다
[더구루=길소연 기자] 미국이 한국산 특정 열연코일(HRC)에 대해 반덤핑(AD) 관세를 면제하는 내용의 최종 판정 결과를 내놨다. 미 상무부(DOC)는 17일(현지시간) 한국산 특정 열연 강판 제품에 대한 반덤핑 관세(AD) 심사 최종 결과를 발표했다. 상무부는 2021년 10월 1일부터 2022년 9월 30일까지의 조사 기간 동안 포스코와 현대제철 등 국내 철강사들이 HRC를 정상가 이하로 판매하지 않은 것으로 보고 덤핑 마진을 0%로 책정했다. 포스코와 현대제철이 미국의 공정가치 보다 낮지 않은 가격에 수출해 가중덤핑 마진율을 매기지 않았다. 이 기간 수출 물량에 대해 반덤핑 관세를 면제받는다. 반덤핑 관세는 지난 16일부터 적용된다. 상무부는 지난 6월 발표한 한국산 HRC에 대한 AD 심사 예비결과에서도 관세를 부과하지 않았다. <본보 2023년 6월 16일 참고 美, 한국산 열연코일 반덤핑 관세 無…포스코·현대제철 '안도'> 이번 결과로 향후 HRC의 수출이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다만 현재 미국의 무역확장법 232조에 따라 수출 쿼터제가 이뤄지고 있어 수출량을 늘리는 데는 한계가 있다는 분석이다. 열연코일은 열간압연의 중간소재(반제품)
[더구루=홍성일 기자] 세계 최대 전자상거래 기업 아마존(Amazon)이 로봇 기술과 인공지능(AI)을 결합해 미국 스마트 물류 시스템 표준을 정립하고 있다. 물류 효율성이 기업 경쟁력의 핵심으로 떠오르면서, 아마존의 행보가 업계 전반에 걸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평가다. [유료기사코드] 25일 코트라 로스앤젤레스무역관 보고서에 따르면 아마존의 스마트 물류 시스템은 미국 연방정부가 제정한 '인프라 투자 및 일자리 법(IIJA, Infrastructure Investment and Jobs Act)' 등과 맞물려 미국 물류 산업 전반의 지능형 전환을 이끌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아마존은 지난 2012년 로봇 기술 스타트업 '키바 시스템(Kiva Systems)' 인수를 기점으로 물류센터 자동화를 본격화했다. 현재는 △프로테우스(Proteus) △카디널(Cardinal) △스패로(Sparrow) 등 다양한 첨단 로봇과 AI 기반 소프트웨어를 통해 물류 처리 속도와 정확성, 비용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있다. 2022년 공개된 프로테우스는 사람과 동일한 공간에서 충돌 없이 자율주행하며 카트를 운반하는 완전 협업형 로봇이다. 카디널은 머신러닝 기반 비전 시스템
[더구루=홍성일 기자] 대만 전자제품 위탁생산(EMS) 기업 위스트론(Wistron)이 엔비디아(NVIDIA)의 인공지능(AI) 서버 생산을 위해 미국 제조 시설 건설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엔비디아는 위스트론, 폭스콘 등과 손잡고 미국 AI 인프라 구축 프로젝트를 진행한다. [유료기사코드] 24일 업계에 따르면 제프 린(Jeff Lin) 위스트론 최고경영자(CEO)는 최근 개최된 연례 주주총회에서 "내년 중 미국 텍사스주 댈러스 공장을 준공하고 블랙웰(Blackwell) 아키텍처 기반 AI 서버 생산을 시작할 것"이라고 밝혔다. 위스트론 댈러스 공장은 엔비디아의 대대적인 미국 AI 인프라 구축 사업에 따라 건설된다. 엔비디아는 지난달 최대 5000억 달러(약 690조원)를 미국 AI 인프라 구축에 투자할 것이라고 밝혔다. 엔비디아는 AI 인프라 구축 사업에 필요한 슈퍼컴퓨터 등을 미국에서 생산하겠다고 밝히며 폭스콘, 위스트론과 협력할 것이라고 전했다. 이에 따라 폭스콘도 텍사스주 휴스턴에 새로운 공장을 건설하고 있다. 폭스콘 휴스턴 공장에서는 반도체 칩 테스트, 모듈 통합 작업 등이 진행된다. 위스트론은 엔비디아 외에 미국 내 추가 고객사 확보에도 나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