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길소연 기자] 이집트가 구매한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K9 자주포가 군 배치 후 처음 모습을 드러냈다. 26일 업계에 따르면 이집트군은 25일(현지시간) 압델 파타 엘시시(Abdel Fattah el-Sis) 이집트 대통령이 제 4기갑사단을 시찰하는 동안 처음으로 155mm K9 자주포와 관련 K10 탄약 차량이 공개됐다. K9 A1EGY로 라벨이 붙은 자주포는 트레일러에 의해 견인되며 선보여졌다. 퍼레이드에서는 K9 자주포 외 미국산 중거리 지대공 미사일 호크와 단거리 방공 미사일인 토르-M2, 포병시스템 쉴카 등도 대거 등장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지난해 2월 이집트에 2조원 규모의 K9 자주포 수출에 성공했다. 이집트는 K9 자주포 200문 가량을 한국수출입은행 돈을 대여해 구매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이집트와 K9 자주포를 공동생산하기로 했다. 공동 제작은 현지 탱크 생산과 수리 전문 회사인 팩토리 200(Factory 200)과 아부 자발 엔지니어링 산업 회사가 함께 한다. <본보 2022년 2월 28일 참고 한화디펜스·이집트 'K9 자주포' 공동생산 계약> 이집트가 K9에 구매한 이유는 가격도 싸지만, 성능과 정비의 신뢰도는 다
[더구루=길소연 기자] 두산에너빌리티의 베트남 현지법인 두산비나(Doosan Vina) 임원진이 당반민(Dang Van Minh) 베트남 꽝응아이성 인민위원회 위원장과 회동했다. 26일 업계에 따르면 두산비나를 맞이한 당 위원장은 "우리는 국내외 파트너에게 꽝응아이성의 잠재력과 강점, 문화적 정체성 등을 소개하고 싶다"며 "성은 국내 기관과 기업과의 동반자이자 믿음직한 파트너가 되고자 한다"고 말했다. 이어 "꽝응아이성은 앞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과 발전을 위한 기회에 대해 논의하고 공유할 준비가 되어 있다"고 덧붙였다. 꽝응아이 컨퍼런스는 국내외 기업과 조직, 파트너 등에게 성의 이미지, 문화, 인력과 잠재력 및 발전 강점을 알리는 자리이다. 베트남 외교부와 지방 인민위원회가 공동으로 개최했다. 꽝응아이성은 2030년까지의 지방 사회경제 개발 마스터 플랜과 '비전 2050'에 따라 '경제-사회-환경'을 기반으로 발전하고 있다. 2030년까지 목표는 관광 개발의 잠재력과 강점을 결합해 산업단지와 산업 클러스터, 로직티스에 집중된 녹색 산업과 첨단 기술 산업을 통해 베트남 균형 발전을 이루는 것이다. 6개의 경제 공간 지역 형성하고, 특히 중꿧 경제구역(Qu
[더구루=길소연 기자] 보령의 합작사 파트너인 민간우주관광 개발기업 액시엄 스페이스(Axiom Space·이하 액시엄)가 유럽우주국(ESA)에 이어 영국우주국(UK Space Agency)과 손을 잡았다. 영국우주국은 액시엄과 함께 유인 우주 비행 임무를 수행한다. [유료기사코드] 26일 업계에 따르면 액시엄은 24일(현지시간) 영국우주국과 영국 우주 비행사 임무를 수행하기 위해 업무협약(MOU)를 체결했다. 이번 MOU를 바탕으로 영국 우주비행사들은 우주로 발사돼 궤도에서 최대 2주 동안 과학 연구를 수행하고, 신기술을 시연한다. 또 교육과 지원 활동에도 참여한다. 임무는 영국 정부의 국가 우주 전략과 영국 과학 기술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한다. 이는 영국의 역량에 대한 국제 관계의 중요한 기여를 강조하고 5가지 핵심 기술 △인공지능 △공학생물학 △미래통신 △반도체 △양자기술을 식별한다. 영국우주국 폴 베이트(Paul Bate) CEO는 "이번 계약은 영국우주국과 액시엄 그리고 우주 임무 후원자들이 지식과 혁신의 최전선을 어떻게 가장 잘 추진하는지 평가하는 발판이 된다"고 말했다. 마이클 서프레디니(Michael Suffredini) 액시엄 스페이스 C
[더구루=길소연 기자] 두산밥캣의 미국 생산공장에서 화재가 발생했다. 26일 미국 노스다코타주 비스마르크 소방서(BFD)에 따르면 24일(현지시간)오후 4시 30분께 비스마르크에 위치한 두산밥캣의 생산공장에서 화재가 발생했다. 불은 공장 내 공기 여과 시스템에서 났으며, 출동한 소방대에 의해 화재 발생 22분만인 오후 4시 55분에 완진됐다. BFD측은 "신고 전화를 받고 총 5개의 소방대와 16명의 소방대원이 사고현장에 출동했다"며 "화재 진압 후 그을린 물질을 찾아 추가로 정밀 검사 작업을 수행하고 건물에서 모든 연기를 제거하기 위해 환기 작업을 수행했다"고 밝혔다. 현재 소방당국은 정확한 화재 원인과 피해 규모를 조사 중이다. 다행히 인명피해는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두산밥캣은 "큰 불은 아니고 직원들 다 잘 대피해 인명피해는 없다"며 "생산에도 전혀 차질 없다"고 밝혔다. 비스마르크 공장은 밥캣의 미니굴착기와 소형 굴절식 로더, 미니 트랙 로더를 주로 생산한다. 2014년에는 초기제품 디자인, 시제품 엔지니어링, 시제품 제조, 컴퓨터 시뮬레이션, 아이디어 및 콘셉트 실험 등을 목적으로 노스다코타주 비스마르크 R&D센터를 개설했다. 비스마르크 R
[더구루=길소연 기자] 글로벌 주요 화물운송회사 퀴네앤나겔(Kuehne+Nagel International)이 반도체 항공운송 물류 솔루션을 제공한다. 공급망 사슬의 복잡성으로 수익이 높아진 항공화물운송을 위해 새로운 연결편을 도입했다. [유료기사코드] 26일 업계에 따르면 퀴네앤나겔은 23일부터 반도체 산업 수요를 지원하기 위해 미국, 네덜란드, 대만을 오가는 새로운 주간 전세기를 추가했다. 이 항공편은 의료, 부패하기 쉬운 식품, 반도체 등 주요 산업에 서비스를 지원한다. 네트워크 확장으로 화물기는 미국 애틀랜타와 시카고에서 암스테르담까지 일주일에 한 번씩 교대 항공편으로 화물을 운송한다. 이후 암스테르담에서 일주일에 두 번씩 대만 타이베이로 반도체 등을 실어 나른다. 퀴네앤나겔은 해당 노선에 스위스 화물 운송업체 아틀라스 에어(Atlas Air)와 독점 운송 계약을 맺고, 두 대의 보잉 747-8 화물기를 배치한다. 퀴네앤나겔이 대만 노선을 추가한 건 대만이 반도체 생산의 글로벌 중심지이기 때문이다. 대만은 전 세계에서 제조되는 전체 마이크로칩 수요의 약 20%를 차지한다. 퀴네앤나겔은 대만과 베네룩스(Benelux, 네덜란드·벨기에·룩셈부르크) 지역을
[더구루=길소연 기자] 인천국제공항공사가 필리핀 니노이 아키노 국제공항(NAIA) 운영권 입찰에 참여했다. 필리핀 정부가 NAIA 현대화 사업을 추진하는데 인천공항공사가 그간 축적한 노하우와 해외사업경험을 살려 사업에 도전한다. 26일 업계에 따르면 제이미 바티스타 필리핀 교통부 장관은 25일(현지시간) 마닐라에서 열린 제49회 필리핀 비즈니스 컨퍼런스·엑스포에서 "니노이 아키노 국제공항의 운영과 유지관리를 위한 경쟁에 인천국제공항공사(IIAC)가 합류했다"고 말했다. 그는 "지금까지 인천공항공사를 포함해 7개사가 NAIA 운영권 입찰에 참여했다"고 덧붙였다. 인천공항공사 외 나머지 6개사는 △GMR 공항 인터내셔널(GMR Airports International) △산 미구엘 홀딩스(San Miguel Holdings Corp) △마닐라 국제공항 컨소시엄(Manila International Airport Consortium) △스파크 888 매니지먼트(Spark 888 Management) △아시안 에어포트 컨소시엄(Asian Airport Consortium) △첸기즈 건설(Cengiz Insaat Sanayi ve Ticaret A.S.) 등이다. N
[더구루=길소연 기자] HD현대건설기계가 우크라이나 복구 지원을 본격화한다. 장비 지원은 물론 현지 인력 교육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광범위한 지원을 아끼지 않는다는 방침이다. 26일 업계에 따르면 HD현대건설기계는 우크라이나 남부에 있는 니콜라예프(Nikolaev)주의 재건을 위해 필요한 장비 제공을 본격화했다. 이번 장비 제공은 지난달 맺은 HD현대건설기계와 니콜라예프 지방정부간 양해각서(MOU) 체결의 일환이다. 비탈리 김(Vitaliy Kim) 니콜라예프 지역행정청장은 "MOU의 일환으로 HD현대건설기계가 복원에 필요한 건설장비를 지원한다"며 "이미 30톤급 굴착기 HX300SL 2대가 오고 있으며, 중장비 3대를 더 기다리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기술과 운송 분야에서 한국의 경험은 우리에게 중요하다"며 "(한국과)협력 확대를 위한 협상도 진행 중"이라고 알렸다. 우크라이나는 재건사업을 추진하면서 지속적으로 HD현대건설기계에 협력을 요청해왔다. 우크라이나 인프라부 쉬쿠라코프 바실리 제1차관과 철도공사 관계자 일행은 지난 6월 HD현대건설기계를 방문했다. 그들은 우크라이나 현지 딜러망과 장비, 기술지원 서비스 등을 소개하고 향후 재건 사업에 필
[더구루=길소연 기자] 민간헬기업체 헬리코리아가 미국 전기 수직 이착륙 항공기(eVTOL) 개발업체 오버에어(Overair)의 에어택시를 구매한다. 25일 업계에 따르면 헬리코리아는 전날 오버에어와 eVTOL 버터플라이 20대를 구매하는 의향서에 서명했다. 헬리코리아는 주로 헬리콥터로 여객 운송 사업을 했는데 앞으로는 오버에어의 eVTOL로 승객을 수송한다는 계획이다. 헬리코리아는 1996년에 창업한 이후 지속적인 발전을 통하여 국내 최대의 항공회사로 성장했다. 대표적으로 항공운송사업(Transportation), 응급의료헬기사업(HEMS), 소형항공운송사업, 산불진화, 화물수송, 항공정비사업(MRO), 헬기 조종사 훈련사업(ATO) 등을 실시하고 있다. 미국 캘리포니아에 본사를 둔 오버에어는 미국 대표 방산업체 카렘 에어크래프트가 eVTOL 개발을 위해 지난 2020년에 설립한 회사다. 2019년 국내 최초로 도심항공모빌리티(UAM) 시장에 진출한 한화시스템과 함께 버터플라이를 공동 개발 중이다. 오버에어는 최근 버터플라이의 추진 시스템 테스트를 실시, 성공적으로 완료했다. 내년 초 버터플라이 실물 크기의 시제기 시험비행을 위해 비행 제어 시스템, 틸팅 메
[더구루=길소연 기자] 해운·항만·물류 IT기업 싸이버로지텍이 남미 최대 컨테이너 터미널에 운영 체제를 공급한다. 싸이버로지텍의 운영 체제를 활용, 터미널 내 컨테이너 운영을 현대화시켜 서비스 수준과 생산성을 향상시킨다. 25일 업계에 따르면 싸이버로지텍은 브라질 컨테이너 터미널 테콘 산토스(Tecon Santos)에 터미널 운영 체제인 '오퍼스-토스(OPUS – TOS)' 소프트웨어를 공급했다. 테콘 산토스 터미널은 싸이버로지텍의 운영 프로세스를 통해 모든 운영에서 보다 안전한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테콘 산토스 터미널은 새로운 기술과의 통합 용이성을 위해 '오퍼스-토스'를 선택했다. 이를 통해 광학문자인식(OCR), 원격 제어 장비, 디지털 시뮬레이션 트윈(Twin), 인공 지능 사용을 포함한 최첨단 기술로 장비를 작동할 수 있다. 또 실시간 데이터로 운영을 통합해 회사의 운영 제어 센터에 정확한 정보를 보장한다. 브라질 물류회사 산토스 브라질(Santos Brasil)은 "싸이버로지텍의 운영체제는 디지털 기술과 기계, 사람을 통합해 전체 운영을 보다 현대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도구"라며 "일상적인 의사 결정에서 민첩성과 정확성이 향상돼 낭비가 줄고 터
[더구루=길소연 기자]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이 폴란드 공군에 수출형 경공격기 FA-50GF 7호기와 8호기를 인도했다. 폴란드 군비청은 24일(현지시간) KAI가 폴란드에 경공격기 FA-50GF 2기를 인도했다고 밝혔다. 전투기는 바르샤바 오켕치에 국제공항에 도착했다. 폴란드는 FA-50GF를 2기를 확보하면서 총 8기를 보유하게 됐다. FA-50GF 5, 6호기는 지난달 19일에 폴란드에 도착했다. 폴란드는 연말까지 FA-50GF 12기를 도입할 계획이다. KAI는 폴란드와 FA-50 계약을 체결한 지 10개월여 만인 지난 7월 21일 FA-50GF 2기를 인도한 바 있다. 이는 FA-50 전투기 구매 계약 체결 후 최단 기간 출고로 폴란드 정부도 놀라움과 감사함을 전하기도 했다. KAI는 지난해 9월 폴란드와 FA-50 48기 수출 계약을 체결했다. 올 연말까지 수출형 FA-50GF 12기를 납품하고, 나머지 36기는 폴란드 공군의 요구 사항에 맞춰 성능을 개량한 FA-50PL으로 인도된다. FA-50PL의 경우 오는 2025년 하반기부터 2028년까지 순차 공급될 예정이다. 마리우시 블라슈차크(Mariusz Błaszczak) 폴란드 국방부 장관은
[더구루=길소연 기자] 인도네시아 정부가 내년에 경전철(LRT) 프로젝트 착공에 공식 돌입한다. 경전철 공사가 본격화되면서 우리 기업들의 수주 기대감이 높이지는 모습이다. 콘탄(KONTAN) 등 인도네시아 매체에 따르면 수하르소 모노아르파(Suharso Monoarfa) 인도네시아 국가개발기획부 장관 겸 국가개발계획청(Bappenas) 청장은 23일(현지시간) 한국이 자금을 지원하는 발리 경전철(LRT) 프로젝트를 내년에 착공한다고 밝혔다. 발리 경전철 사업은 응우라라이공항(덴파사르공항) 주변의 만성적인 교통 체증을 완화하기 위해 공항에서 스미냑 해변까지 연결하는 경전철 선로를 건설하는 것이다. 사업비는 약 5억7000만 달러(약 7570억원)에 이른다. 1단계(1-A)로 응우라라이국제공항~센트럴파크 노선 5.3km를, 2단계(1-B)로 센트럴파크~스미냑 4.16km를 나눠서 개발한다. 수하르소 모노아르파 장관은 "먼저 1단계로 6km부터 선로 건설을 시작하겠다"며 "한국 컨소시엄이 발리 경전철 건설 타당성 조사를 실시한다"고 밝혔다. 인도네시아 발리 경전철 사업의 타당성조사는 국가철도공단이 케이알티씨, 삼안, 동명과 컨소시엄을 구성해 시행한다. 인도네시아
[더구루=길소연 기자] 두산밥캣이 LG디스플레이와 '터치스크린 윈도우'를 개발한다. 현재 시제품을 개발 중으로, 빠르게 양산까지 이어간다는 방침이다. 25일 업계에 따르면 두산밥캣과 LG디스플레이는 장비창에 직접 표시되는 투명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터치 디스플레이를 개발 중이다. OLED 터치 디스플레이는 단순히 스크린이 아니라 운전석 창문에 디스플레이를 띄운다. 작업자는 전면 유리창이나 측면 창을 터치스크린으로 사용하면서 주변 작업 현장을 원활하게 볼 수 있다. 현재는 투명 OLED를 창문에 부착할 수 있지만, 향후에는 화면이 창문 자체에 내장돼 창문 그 자체로 사용할 수 있다. 브로디 롤프스(Brody Rohlfs) 밥캣 이노베이션 엑셀러레이트는 "5인치 또는 7인치 모니터로 작업하는 대신 전체 창문 전체가 화면이 된다"며 "작업자가 가능한 한 많은 정보를 손쉽게 얻을 수 있도록 작업 현장에 더 효과적으로 연결한다"고 말했다. 투명 OLED는 소형 굴착기, 텔레핸들러, 로더를 비롯한 다양한 밥캣 장비의 운전실 또는 운전실 전면 유리창이나 측면 창으로 설치할 수 있다. 스마트폰과 마찬가지로 디스플레이도 스마트 위젯과 대화형 애플리케이션으로 맞춤화해 작
[더구루=홍성일 기자] 미국 원자력 발전 개발사 엘리멘틀 파워(Elementl Power)가 오크리지국립연구소(ORNL)와 빠른 원자력 발전소 부지 선정을 위해 손잡았다. 엘리멘틀 파워는 ORNL과 계약을 토대로 구글 원자력 발전소 건설 속도를 끌어올린다는 계획이다. [유료기사코드] 26일 업계에 따르면 엘리멘틀 파워는 ORNL과 원자력 발전소 부지 선정 가속화를 위한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ORNL은 협약에 따라 엘리멘틀 파워의 구글 원자력 발전소 부지 선정을 지원할 것이라고 전했다. 이번 파트너십은 구글과 엘리멘틀 파워 간 원자력 발전소 구축 계약에 이어 체결됐다. 구글과 엘리멘틀 파워는 이달 초 전략적 협약을 체결하고, 미국 내 원자력 발전소 3곳 건설하기로 했다. 구글에 따르면 해당 발전소는 1곳 당 최소 600메가와트(MW) 발전용량을 제공한다. 구글은 계약에 따라 초기 개발 자금을 지원하며, 엘리멘틀 파워는 원자력 발전소 부지 선정과 기술 평가, 설계·조달·시공 파트너사 물색 담당하기로 했다. 구글은 원자력 발전소 건설을 통해 24시간 안정적으로 데이터센터 전력을 공급할 '기저전력'을 확보한다는 목표다. 엘리멘틀 파워는 ORNL에서 'OR-세이지(S
[더구루=홍성일 기자] 메타가 글로벌 에너지 기업 '어플라이드 에너지 서비시스(Applied Energy Services Corporation, AES)'와 태양광 에너지 공급 계약을 맺었다. 메타는 이번 계약을 통해 미국 중남부 지역 데이터센터 전력망을 강화한다. [유료기사코드] 26일 업계에 따르면 메타는 AES와 2건의 장기 전력 구매계약(PPA)를 체결했다. 이번 계약으로 메타는 총 650메가와트(MW) 규모 태양광 발전 용량을 확보하게 됐다. 이번 계약은 AES가 텍사스와 캔자스에서 진행하고 있는 태양광 발전 프로젝트에 따라 이뤄졌다. AES는 텍사스에서 400MW, 캔자스에서 250MW 규모 태양광 발전 시설을 구축하고 있다. 해당 시설이 완성되면 텍사스를 비롯한 미국 중남부 지역에 전력을 공급하는 사우스웨스트 파워 풀(SPP) 전력망과 연결된다. AES와 메타는 전력 공급 시작 시점과 기간 등 상세한 계약 내용은 공개하지 않았다. AES 대변인은 "통상 상업 운영 시작 2~3년 전에는 구매계약을 체결하며, 평균 계약 기간은 15~20년"이라고 설명했다. 메타는 AES에서 공급받은 전력을 텍사스 주와 캔자스 시티에 위치한 데이터센터 가동에 투입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