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길소연 기자] 현대로템이 체코 고속철 프로젝트에 참여할지 관심이 집중된다. 29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로템은 체코 정부의 고속철 프로젝트 참여를 요청받았다. 마틴 쿱카(Martin Kupka) 체코 교통부 장관은 지난 4월 방한해 현대로템 방문해 KTX 시승 등을 통해 고속철 협력에 관심을 표명했다. 이어 5월에 고속철 기술, 노하우 공유를 위한 한-체코 철도 워킹그룹 구성에 합의하며 고속철 협력을 논의했다. 현대로템이 체코 고속철 사업에 참여할 경우 체코 기업과 협력이 필요하다. 체코철도협회(ACRI)에 따르면 고속철 프로젝트에 자국 기업 참여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는 만큼 체코 기업과의 협력도 필요하다. 체코 기업은 철도 차량 및 기자재, 부품 제조, 철도 선로 등 인프라 건설에 풍부한 경험을 보유하고 있다. 일례로 현대로템은 체코 철도·차량 부품 업체 스코다(Skoda)와 손잡고 아프리카 탄자니아에 전동차를 공급한 바 있다. 스코다(Skoda)의 전기 장비를 공급받아 탄자니아 전동차에 장착했다. <본보 2023년 7월 8일 참고 현대로템·성신, 탄자니아에 전동차 속속 인도> 체코 고속철 프로젝트는 체코 및 국경을 공유하는 독일, 폴란드,
[더구루=길소연 기자] LS엠트론이 차세대 에너지저장장치 슈퍼커패시터(SC) 시장에서 '톱10' 기업에 진입했다. 슈퍼커패시터가 10년 뒤 40조원 규모로 성장할 전망인 가운데 LS엠트론의 수익성 개선이 기대된다. 29일 미국 뉴스 웹사이트 스쿱 마켓 어스(scoop.market.us)에 따르면 작년 전 세계 슈퍼커패시터 시장 규모는 47억 달러(약 6조3800억원)로 평가됐으며 2032년에는 292억 달러(약 39조6000억원)로 성장한다. 연평균 성장률(CAGR) 20.6%를 기록한다. 에너지 저장 솔루션인 슈퍼커패시터는 콘덴서의 전기 용량 성능을 강화해 전지 용도로 사용하도록 한 부품이다. 전력망 개발과 함께 태양광, 풍력과 같은 재생 가능 에너지원의 사용 증가로 슈퍼커패시터의 수요가 늘고 있다. 재생에너지 외 자동차, 전자, 국방, 철도, 전력 부문에서도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통신과 우주통신 분야에서도 슈퍼캐패시터 사용량이 늘었다. 슈퍼커패시터는 일반 커패시터와 달리 훨씬 더 큰 전하를 저장할 수 있어 방전 기능을 유지하면서 향상된 에너지 밀도를 제공한다. 신속한 충전과 방전이 가능해 기존 배터리 기술과 차별화된다. 빠른 에너지 버스트 기능 덕에 전
[더구루=길소연 기자] 독일이 유럽 드론시장을 선도하는 가운데 상업용 드론 부문에서 빠른 성장을 이루고 있다. 29일 독일 무인항공협회(Verband Unbemannter Luftfahrt)에 따르면 작년 독일의 드론 시장 매출 규모는 상업용 드론 시장이 8억9300만 유로(약 1조2770억원), 개인용 드론 시장이 6200만 유로(약 887억원)로 총 9억5500만 유로(약 1조3600억원)를 기록했다. 2021년에서 2030년까지 연평균 7.5%의 성장률을 유지하며, 2030년에는 총매출 규모가 17억 유로(약 2조4300억원)로 거의 두 배 성장할 전망이다. 독일의 드론시장 성장은 주로 상업용 드론 시장이 주도할 전망이다. 독일에서 드론은 물류·배송, 건설·인프라, 농업, 보안·감시, 환경 모니터링과 야생동물 보호, 건강 관리, 구조 활동 그리고 에너지 부문 등에서 활용된다. 독일에서 상업용 드론 시장의 성장은 드론 기업에 대한 높은 투자와 밀접한 연관이 있다. 최근 몇 년 동안 독일에서는 드론 기업에 대한 투자가 급증했다. 지난 10년간 드론 기업에 약 1억2400만 유로가 투자됐으며, 이 금액 중 약 93%는 지난 2021년과 2022년에 투자된 것
[더구루=길소연 기자] 중국의 인구 고령화가 가속화되면서 의료, 헬스, 교육 등 관련 분야에서의 서비스 로봇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관련 서비스와 기술 업체들은 중국 시장 진출을 위해 서비스 로봇 수요 동향과 중국 정부의 지원 정책 분석이 필요해 보인다. 29일 첸잔산업연구원(前瞻産業研究院)에 따르면 중국 서비스 로봇 시장 규모가 2023년 751억8000만 위안(약 13조8600억원)에서 2027년에는 1872억 위안(약 34조5000억원) 규모로 성장한다. 시장 규모는 2025년까지 연평균 성장률(CAGR)이 64.7%에 달할 전망이다. 첸잔산업연구원은 중국 서비스 로봇 산업이 인공지능, 클라우드 컴퓨팅, 사물인터넷 기술과의 응용을 통해 빠르게 스마트화, 디지털화 발전을 이룰 것으로 예상했다. 중국 서비스 로봇 생산량도 증가 추세다. 로봇생산량이 작년 말까지 감소를 이어오다가 지난 4월 전년 동기 대비 47.6% 증가했다. 지난 6월 기준으로는 전년 동기 대비 40% 증가한 66만2658대를 기록하며 상승 추세로 돌아섰다. 중국 정부는 로봇 클러스터를 조성한 업체에 시설 투자금 10% 환급과 기업 이익 20% 수준의 보조금을 지원하는 등 정책적 지원을 내
[더구루=길소연 기자] 제주항공이 일본발 한국행 노선을 할인한다. 28일 업계에 따르면 제주항공은 일본에서 오는 31일 오후 5시까지 정기운임을 최대 88% 할인된 '2023 가을 항공권 판매 페스티벌'을 개최한다. 탑승 기간은 내년 10월 29일부터 3월 30일까지이다. △나리타 △간사이 국제공항 △센트레아 △후쿠오카 △신치토세 △히로시마 △나하~인천 등 14개 노선 편도 티켓을 3000엔(약 2만7000원)부터 구입할 수 있다. 히로시마~인천 노선에 한해 3명의 티켓을 구매한 선착순 50명에게 1명의 무료 티켓을 증정한다. 제주항공 공식 홈페이지나 앱에서 항공권을 구매하면 운임에 따라 일반석 최대 3000엔(약 2만7000원), 비즈니스 라이트석 최대 1만엔까지 할인코드를 받을 수 있다. 이밖에 '홀리데이 인 익스프레스 서울 홍대' 숙박권 할인, 여행·레저 예약 사이트 '클룩(Klook)', 여행플랫폼 '케이케이데이(KKday)' 등 한국 여행 상품 할인과 신라면세점 추가 할인 등의 제휴 특전도 제공한다.
[더구루=길소연 기자]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 간 충돌로 국제유가 급등하면서 초대형 원유운반선(VLCC) 발주 확대 기대감이 흘러 나온다. 28일 업계에 따르면 중동 전쟁의 확전 우려 속에 VLCC 발주가 증가할 전망이다. 이·팔 전쟁이 중동 전쟁으로 확전된다면 현지에서 세계 각지로 옮겨지는 원유 공급에 차질이 생긴다. 세계 최대 산유국 중 하나인 이란이 전쟁으로 인해 세계 주요 수송로인 '호르무즈 해협'을 봉쇄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중동이 아닌 다른 지역에서 원유를 공급받아야해 더욱 긴 거리를 운항할 수 있는 선박이 필요해진다. VLCC는 20만~32만t의 원유를 운반할 수 있는 초대형 선박을 의미한다. 주로 원유의 장거리 운송에 쓰인다. 업계에서는 진작에 올해를 'VLCC의 해'가 될 것이라고 관측했다. 시그널 마리타임(Signal Maritime)은 보고서를 통해 올해 유럽의 탈러시아 행보로 미국산 석유를 대량 수입하면서 교역 항로가 변경돼 VLCC의 시장 점유율이 커질 것이라고 전했다. 이미 올 상반기 유조선 발주량은 지난해 연간 발주량을 넘어섰다. 내년에도 신조 발주가 이어져 유조선 시장의 반등 조짐이 보인다. <본보 202
[더구루=길소연 기자] 삼성중공업이 글로벌 자산관리회사 아틀라스(Atlas)의 자회사 시스팬(Seaspan)으로부터 수주한 액화천연가스(LNG) 추진 컨테이너선 3척을 인도한다. 27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중공업은 24일 거제조선소에서 1만5000TEU급 LNG 컨테이너선 3척 △짐 후지(ZIM Fuji) △짐 킬리만자로(ZIM Kilimanjaro) △짐 올림푸스(ZIM Olympus)의 명명식을 개최했다. 이들 선박은 삼성중공업이 지난 2021년 시스팬과 건조 계약을 맺은 1만5000TEU급 컨테이너선 10척의 수주분이다. 선박은 LNG 추진선으로 건조돼 23%의 배기가스 배출 감소 효과가 있다. <본보 2021년 2월 15일 참고 삼성중공업, '1.1조원' 컨테이너선 10척 수주> 이번에 명명한 신조선 3척을 전달하면 삼성중공업이 시스팬에 인도해야 할 선박은 2척이 된다. 앞서 삼성중공업은 지난 2월에 첫 번째 1만5000TEU 컨테이너선 '짐 새미 오퍼'(ZIM Sammy Ofer) 명명식을 갖고 인도했다. 이후 4월에 2척의 동급의 컨테이너선 '짐 마운트 에버레스트'(ZIM Mount Everest), '짐 마운트 블랑'(ZIM Mount
[더구루=길소연 기자] 두산밥캣이 미국에서 잔디깎이 장비 리콜을 실시한다. 밥캣은 충돌과 열상 위험으로 장비 사용을 즉각 중단하고 무상으로 점검과 수리에 나선다. 미국 소비자제품안전위원회(Consumer Product Safety Commission, 이하 CPSC)는 26일(현지시간) 두산밥캣과 일본 쿠보타(Kubota) 독립형 무회전 잔디깎이 기계에 대해 리콜 명령을 내렸다. 밥캣의 리콜 대상 모델은 △ZS4036 △ZS4036 SJAU △ZS4048 △ZS4048 SFAU △ZS4052 △ZS4052 SKAU △ZS4061 △ZS4061 SKAU 등이다. 장비는 미국 노스다코타주 웨스트파고 소재한 두산밥캣의 북미지역 본사에서 제조됐다. 지난 3월부터 8월까지 전국의 밥캣의 딜러를 통해 판매됐다. 리콜 대상이 된 이유는 잔디깎는 기계의 조향 시스템에 설치된 댐퍼(진동 에너지를 흡수하는 장치)와 운전자 스위치 때문이다. 댐퍼의 작동 오류로 제어 레버가 중립 위치로 돌아가는 것을 막고, 운전자 스위치는 엔진과 블레이드(칼날)이 활성화되거나 정지하지 않아 운전자나 주변 사람에게 충돌과 열상 위험을 초래한다. CPSC는 "소비자들은 리콜 대상 잔디깎이 기계의 사
[더구루=길소연 기자] 한국형 초음속 전투기 KF-21이 5년 뒤 개발 어려움에 직면할 수도 있다는 예상이 나왔다. 세계적인 항공우주산업 전문잡지인 '에비에이션 위크(AVIATION WEEK)'은 KF-21이 오는 2028년 이후 '엔지니어링·제조·개발(EMD)' 3단계가 가장 어려운 도전이 될 것이라고 25일(현지시간) 밝혔다. 에비에이션 위크는 강구영 한국항공우주산업(KAI) 사장의 발언을 통해 KF-21이 4.5세대 전투기에서 5세대 전투기로 발전한다는 것에 대해 사람들이 의구심을 품고 있다며 5세대 전투기로 변모할 3단계가 2028년에 시작된다고 전했다. KF-21은 4세대와 5세대 중간 단계에 있어 4.5세대로 분류된다. 에비에이션 위크는 3단계가 성공하면 전투기 수출 시장에서 KF-21의 전망이 극적으로 높아질 수 있다고 평했다. KF-21의 단계별 개발 계획에 따르면 EMD 1단계는 최초 양산 단계다. 공대공 무장을 갖추고 레이더를 피할 수 있는 저피탐 성능을 갖춘다. 1단계 개발 속에 내년부터 오는 2028년까지 초도 물량 40대를 양산한다. 공군은 2026∼2028년 첫 양산품 40대에 이어 2032년까지 추가 80대 등 총 120대를 배
[더구루=길소연 기자] 한화오션이 글로벌 해상풍력 설치선(WTIV) 운영업체인 에네티(구 스콜피오 벌커)로부터 WTIV를 수주했다. 27일 업계에 따르면 한화오션은 지난달 에네티의 자회사 시잭 인터내셔널(Seajacks International, 이하 시잭)로부터 NG16000X급 WTIV 2척을 수주했다. 확정 물량 1척과 옵션 물량 1척이다. 우선 확정 물량 1척부터 건조한다. 선박은 오는 2027년 1분기에 인도된다. WTIV 신조선은 네덜란드 엔지니어링 업체인 구스토MSC(GustoMSC B.V.)의 'NG-16000X' 설계를 바탕으로 건조된다. 네덜란드 크레인 제조업체인 휴시스먼(Huisman)의 2600톤(t)급 크레인(leg encircling crane)을 탑재한다. 최대 65미터 수심에서 최대 20-mw급 풍력터빈 설치가 가능하다. 에네티는 WTIV 운용으로 일일 순수익이 3500만 달러(약 475억원)에 달할 것으로 관측하고 있다. 엠마뉴엘 라우로(Emanuele Lauro) 에네티 최고경영자(CEO)는 "이전 신조 계약과 마찬가지로 우리는 계약 서비스를 위해 신조 중 하나를 제공하는 선택권을 확보했다"며 "이를 통해 선박 활용도를 극대화
[더구루=길소연 기자] 한국마사회가 LS엠트론과 협력을 통해 말산업 맞춤형 자율주행 트랙터 '스마트렉(SmarTrek)'의 운행을 개시했다고 27일 밝혔다. 마사회와 LS엠트론은 지난 8월 자율주행 트랙터 개발을 위해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후 실무협의체를 발족해 기술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양 기관 기술과 현장 등 분아별 전문가들이 모인 실무협의체에서는 말산업 현장에 최적화된 트랙터 개발을 목표로 정기적인 논의가 지속되고 있다. 자율주행 트랙터는 대규모 방목 초지에서 운전자의 조작 없이 스스로 초지관리 업무를 수행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자동속력조절 △원터치 자동 경로 생성 △장애물 인식 회피 운행 △작업기 자동 제어 등이다. 초지뿐만 아니라 경주로에서도 활약할 예정이다. △다변수 주행경로 생성 △작업기 소프트 랜딩 △추종 알고리즘 강화 △펜스 밀접 주행 고도화 등의 경주로 맞춤 기능이 내년 말까지 개발이 완료돼 말산업 현장에 적용이 될 것으로 보인다. 실전 테스트는 지난달 자율주행 트랙터 2대가 마사회 제주목장에 입고되면서 실시됐다. 이어 지난 19일 현장 실무자들을 대상으로 자율주행 트랙터 활용 교육이 진행됐다. 다음날인 20일
[더구루=길소연 기자] 에어프랑스-KLM이 마일리지 프로그램인 '플라잉 블루(Flying Blue)'에서 100% 보너스 이벤트를 진행한다. 26일 업계에 따르면 에어프랑스-KLM은 다음달 7일까지 최소 2만4000마일을 충전한 고객에게 최대 100% 보너스를 제공하는 마일리지 구매 혜택을 실시한다. 보너스 혜택을 받으려면 4000마일 이상 구매해야 한다. 4000마일부터 1만 마일을 구입할 경우 50% 보너스를 준다. 4000마일을 사면 2000마일을, 1만 마일을 사면 5000마일을 제공한다. 1만2000마일부터 2만2000마일까지는 70% 혜택을 준다. 1만2000마일을 구입하면 8400마일을, 2만2000마일을 사면 1만5400마일을 준다. 100% 보너스는 2만4000마일 이상을 구입한 고객에게 제공한다. 2만4000마을부터 10만 마일을 구매한 고객에게 동일한 마일리지를 부여한다. 마일리지는 2000마일부터 구입할 수 있다. 구입한 마일리지는 대한항공을 포함 항공동맹 스카이팀 회원사에서도 사용 가능하다. 마일리지와 현금을 이용해 항공권을 예매할 수 있다. 플라잉 블루는 에어프랑스-KLM의 로열티 프로그램이다. 플라잉 블루는 4단계 회원 등급으로 이
[더구루=홍성일 기자] 미국 원자력 발전 개발사 엘리멘틀 파워(Elementl Power)가 오크리지국립연구소(ORNL)와 빠른 원자력 발전소 부지 선정을 위해 손잡았다. 엘리멘틀 파워는 ORNL과 계약을 토대로 구글 원자력 발전소 건설 속도를 끌어올린다는 계획이다. [유료기사코드] 26일 업계에 따르면 엘리멘틀 파워는 ORNL과 원자력 발전소 부지 선정 가속화를 위한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ORNL은 협약에 따라 엘리멘틀 파워의 구글 원자력 발전소 부지 선정을 지원할 것이라고 전했다. 이번 파트너십은 구글과 엘리멘틀 파워 간 원자력 발전소 구축 계약에 이어 체결됐다. 구글과 엘리멘틀 파워는 이달 초 전략적 협약을 체결하고, 미국 내 원자력 발전소 3곳 건설하기로 했다. 구글에 따르면 해당 발전소는 1곳 당 최소 600메가와트(MW) 발전용량을 제공한다. 구글은 계약에 따라 초기 개발 자금을 지원하며, 엘리멘틀 파워는 원자력 발전소 부지 선정과 기술 평가, 설계·조달·시공 파트너사 물색 담당하기로 했다. 구글은 원자력 발전소 건설을 통해 24시간 안정적으로 데이터센터 전력을 공급할 '기저전력'을 확보한다는 목표다. 엘리멘틀 파워는 ORNL에서 'OR-세이지(S
[더구루=홍성일 기자] 메타가 글로벌 에너지 기업 '어플라이드 에너지 서비시스(Applied Energy Services Corporation, AES)'와 태양광 에너지 공급 계약을 맺었다. 메타는 이번 계약을 통해 미국 중남부 지역 데이터센터 전력망을 강화한다. [유료기사코드] 26일 업계에 따르면 메타는 AES와 2건의 장기 전력 구매계약(PPA)를 체결했다. 이번 계약으로 메타는 총 650메가와트(MW) 규모 태양광 발전 용량을 확보하게 됐다. 이번 계약은 AES가 텍사스와 캔자스에서 진행하고 있는 태양광 발전 프로젝트에 따라 이뤄졌다. AES는 텍사스에서 400MW, 캔자스에서 250MW 규모 태양광 발전 시설을 구축하고 있다. 해당 시설이 완성되면 텍사스를 비롯한 미국 중남부 지역에 전력을 공급하는 사우스웨스트 파워 풀(SPP) 전력망과 연결된다. AES와 메타는 전력 공급 시작 시점과 기간 등 상세한 계약 내용은 공개하지 않았다. AES 대변인은 "통상 상업 운영 시작 2~3년 전에는 구매계약을 체결하며, 평균 계약 기간은 15~20년"이라고 설명했다. 메타는 AES에서 공급받은 전력을 텍사스 주와 캔자스 시티에 위치한 데이터센터 가동에 투입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