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길소연 기자] 최근 파키스탄의 건설 산업이 인프라, 전력, 수자원 개발, 주택건설로 호황을 맞은 가운데 중고 굴착기 시장도 확대되고 있다. 31일 업계에 따르면 파키스탄은 굴착기를 비롯한 중공업 장비의 현지 제조활동이 없어 이를 전량 수입에 의존한다. 건설장비는 주로 중고제품이 수입되며, 신규 제품은 일부 건설업자와 개발업자가 취급한다. 중고 굴착기 수입업자들은 주로 임대 방식으로 최종 소비자에게 제공한다. 다만 사후 서비스는 제공하지는 않는다. 파키스탄에서는 중고 건설 기계의 수입이 전면 허용돼 수입에 특별한 제한은 없다. 파키스탄에서 인기가 높은 중고 굴착기는 한국과 일본산이다. 일본산은 시장 점유율 32.29%이고, 한국산은 31.96%를 차지하고 있다. 한국산은 주로 HD현대와 대우 굴착기가 파키스탄에서 고품질로 평가받고 있다. 미국의 캐터필러, 피아트 히타치, 유럽의 볼보 등도 파키스탄 중고 굴착기 시장을 점유하고 있다. 파키스탄의 건설산업은 핵심 산업으로, 굴착기와 관련 장비의 수요는 앞으로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정부가 광업 부문의 개발에도 주력하고 있어 굴착기와 관련 장비의 수요도 늘어난다. 코트라 관계자는 "파키스탄 굴착
[더구루=길소연 기자] 미국 에어택시 제조업체 조비 에비에이션(Joby Aviation)이 미 항공우주국(NASA, 나사)과 개발한 시뮬레이션에서 시간당 120회 에어택시 운용을 시연했다. 31일 업계에 따르면 조비는 지난 20일(현지시간) 미국 연방항공청(FAA), 미국 항공교통관제사협회 등 이해 관계자들을 나사 에임스(Ames) 연구센터와 함께 만든 항공교통관제 시뮬레이션 시설 '퓨처플라이트 센트럴'(FutureFlight Central)에 초청해 시뮬레이션을 관람하도록 했다. 조비는 이 시뮬레이션에서 시간당 최대 120회의 전기 수직 이착륙기(eVTOL) 운용(이착륙, 경로 비행)을 시연했다. 최대 45대의 eVTOL가 댈러스 포트워스 국제공항(DFW)의 중앙터미널구역 B등급 공역에서 동시 비행했다. eVTOL 조종사는 기상 조건, 실시간 비행 데이터와 공항 운영 데이터를 시뮬레이션하는 시설을 통해 공항을 원활하게 운영했다. 2층으로 된 시뮬레이션 시설은 나사와 조비가 함께 개발했다. 관제사, 조종사 및 공항 직원이 운영 절차를 테스트하고 신기술을 평가할 수 있게 공항의 360도 실물 크기 시뮬레이션을 제공한다. 항공 교통 관리 통합 시뮬레이션은 미국
[더구루=길소연 기자] 러시아가 북극과 남극을 연구하기 위해 탐험선을 건조한다. 30일 업계에 따르면 러시아 기상청 로시드로메트(Roshydromet)는 25일(현지시간)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의 JSC 해군성 조선소에서 세계 최대 과학 탐험선 이반 프롤로프(Ivan Frolov) 금속 절단 진수식을 갖고 건조 시작을 알렸다. JSC 해군성 조선소는 탐험선 첫번째 공정 단계로 금속 절단 작업을 실시한다. 이후 절단된 금속 철판을 용접, 조립하게 된다. 선박 건조 과정에는 많은 러시아산 부품이 사용된다. 로시드로메트와 JSC 해군성 조선소는 지난 3월 6일 과학 탐험선 '프로젝트 23680' 건조 계약을 맺었다. JSC 해군성 조선소는 유조선, 쇄빙선, 잠수함, 심해 차량 등 민간 및 해군 선박을 제작하고 있다. 탐험선은 길이 약 165m, 배수량은 약 2만5000톤(t)으로 건조된다. 승무원 70명, 과학자 및 항공대원 최대 170명을 포함해 240명을 편안하게 수용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해저부터 성층권까지 모든 유형의 연구를 위해 최대 20개의 실험실을 선내에 설치할 수 있다. Ka-32 함상대잠 헬리콥터와 Mi-8·Mi-38 등 수송용 헬리콥터 2대를
· [더구루=길소연 기자] 스위스 엔진개발업체 윈터투어가스앤디젤(Winterthur Gas & Diesel, 이하 WinGD)이 탄소절감에 특화한 산업용 장비 전문 글로벌 기업 알파라발(Alfa Laval)과 손을 잡고 미래 선박 연료인 암모니아 추진선 개발에 박차를 가한다. [유료기사코드] 30일 업계에 따르면 WinGD는 알파라발과 파트너십을 구축하고, 내년 초 연료공급시스템(FSS)을 제공받는다. WinGD가 자사 암모니아추진선 엔진 테스트를 위해 FSS 2기를 공급받는다. WinGD는 연구센터에서 FSS로 인젝터(injector, 연료 분사 장치) 테스트와 엔진 성능을 위한 테스트 벤치(test bench)를 실시한다. WinGD는 HD현대중공업과 협력해 개발한 암모니아 추진식 'X-DF-A' 2행정 사이클(two-stroke) 엔진에 대해 영국선급 로이드선급(LR)과 프랑스 선급협회 뷰로베리타스(BV)로부터 기본승인(AiP)을 획득하며 암모니아 추진선의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다. WinGD는 지난해부터 HD현대중공업과 손잡고 암모니아 2행정 엔진 개발해왔다. <본보 2022년 6월 15일 참고 HD현대중공업, 암모니아 추진선 기술 확보 총
[더구루=길소연 기자] 한국마사회가 말산업 분야 창업 활성화와 생태계 확장을 위해 실시한 '말산업 창업경진대회'의 수상자가 선정됐다고 29일 밝혔다. 올해는 '신속한 말 질병관리를 위한 통합형 현장진단센서(유호정/광주과학기술원)' 대상의 영예를 안았다. 말 사육두수가 많은 미국, 유럽 등지에서 말인플루엔자 질병이 지속발생하고 국내 유입도 우려되고 있다. 최첨단 말전염병 진단키트는 기존의 신속항원검사보다 빠르고 PCR검사보다 저렴하지만 검출력은 100배 이상 증가된 진단기술로 대상으로 선정됐다. 이어 승마고객의 기록을 기승분석, 랭킹, 영상 등으로 제공함으로써 고객의 흥미를 지속시키고 정기적 승마이용인구 확대에 기여할 수 있는 '승마의 게이미피케이션 및 대중화(정성헌/홀텍)'가 최우수상을 수상했다. 음악과 승마교육을 접목한 'Equine Music Program(허안/제주한라대)'는 우수상으로 선정됐다. 한국마사회 관계자는 "이번 대회에서는 빅데이터와 IT기술을 접목한 말산업 첨단화 아이템에서 창의성과 예술성이 결합된 아이템까지 다양한 아이디어가 도출됐다"며 "향후 한국농업기술진흥원과의 협업을 통해 집중지원 및 조기창업을 유도해 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더구루=길소연 기자] 러시아의 북극해 항로(NSR) 개발에 속도가 붙는다. 러시아는 북극 항로 개발을 위해 오는 2035년까지 1조8000억 루블(약 26조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유료기사코드] 29일 러시아 통합 국가 법인 등록부(USRLE)에 따르면 러시아 국영 원전기업 로사톰(Rosatom)은 북극 항로 화물 프로젝트 개발을 위해 자회사 '루사톰 아크틱'(Rusatom Arctic JSC)'를 설립했다. 자회사는 운송과 물류 지원, 광물 자원 클러스터 개발, 에너지 및 인프라 지원 업무를 맡는다. 구체적으로 석유와 천연가스 생산 분야뿐만 아니라 기타 광업 분야에서의 서비스 제공, 선박과 부유 구조물, 수자원 구조물 건설, 해상 화물 및 여객 운송, 내륙 해상 화물과 여객 운송 활동, 상품 운송 처리 등을 한다. 로사톰의 북극항로 개발에서는 화물 기지 개발 관련 프로젝트를 실행한다. 북극항로는 바렌츠해부터 베링해까지 러시아 북부 해안을 따라 이어지는 항로이다. 유럽과 아시아를 연결하는 경로로 길이는 1만3000km이다. 수에즈 운하 경로의 길이는 2만1000km이다. 북극항로 개발은 북극항로와 연관된 화물 운송·인프라·선박·항행 안전 등에 대한 과제를
[더구루=길소연 기자] 테슬라가 인도에 연간 50만 대의 전기차를 생산할 수 있는 기가팩토리를 설립에 대한 마지막 단계만 남겨뒀다. 인도 정부와 벌여온 협상이 진전을 보이며 공장 설립에 속도가 붙을 것으로 보인다. 테슬라는 기가팩토리를 설립해 인도·태평양 지역의 수출 전진기지로 활용한다는 전략이다. [유료기사코드] 29일 업계에 따르면 테슬라는 인도 서부 해안에 위치한 구자라트에 기가팩토리 공장을 설립할 예정이다. 공장 설립 계획은 내년 1월 간디나가르에서 개최되는 '바이브런트 구자라트 서밋(Vibrant Gujarat Summit)에서 공식 발표될 전망이다. 테슬라 경영진은 최근 피유시 고얄(Piyush Goyal) 인도 상무부장관을 만나 공장 설립 부지 할당에 대한 협상을 진행했다. 루시케쉬 파텔 (Rushikesh Patel) 구자라트주(州) 보건부 장관이자 주정부 대변인은 "구자라트 정부는 테슬라가 인도에 공장을 설립할 것이라고 낙관하고 있다"며 "테슬라 관계자들이 구자라트를 방문했으며, 인도 전기차 공장 위치로 주를 선호하고 있어 주정부는 테슬라와 지속적으로 소통하고 있다"고 말했다. 테슬라는 구자라트주 사난드(Sanand)에 공장을 설립할 가능성이
[더구루=길소연 기자] 올해 로봇 산업은 로봇공학, 자동화, 인공지능(AI)이 트렌드를 선도했다. 29일 업계에 따르면 올해 로봇 산업은 △휴머노이드 △ 생성형 인공지능(AI) 챗GPT(ChatGPT) △자율이동(AMR) 등이 주목받았다. 실제로 올해 산업계는 인간처럼 생긴 휴머노이드 로봇을 개발해 사람과 함께 일하는 로봇의 시대를 앞당기기 시작했다. 보스턴 다이내믹스(Boston Dynamics)의 아틀라스(Atlas) 로봇을 포함해 피규어 AI(Figure AI)의 피규어(Figure)01, 생추어리(Sanctuary) AI의 6세대 피닉스(Phoenix), 유니트리(Unitree) H1, 앱트로닉(Apptronik)의 아폴로(APOLLO) 등이 등장했다. 테슬라는 최근 휴머노이드 로봇인 옵티머스 2세대를 선보이기도 했다. 1세대보다 10kg 더 가볍고 30% 더 빨라져 더욱 부드럽고 인간적인 움직임을 구현한다. 휴머노이드 로봇 개발 열기는 계속되고 있다. 앱트로닉과 피규어AI는 투자 유치를 통해 자금을 조달했다. 어질리티로보틱스(Agility Robotics)는 오리건주에 연간 최대 1만 대의 로봇을 생산할 수 있는 공장인 '로보팹(RoboFab)'을
[더구루=길소연 기자] 김용현 주이집트대사가 타렉 모하메드 엘피키(Tarek Mohamed Elfiki) 이집트 소하그 주지사와 회동했다. 현대로템이 참여하고 있는 이집트 열차 신호 현대화 사업과 현지 국가 프로젝트의 양국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29일 업계에 따르면 김 대사는 지난 20일(현지시간) 이집트 남부 소하그주(州)를 방문해 모하메드 엘피키 주지사와 면담했다. 김 대사는 엘피키 주지사와 만난 자리에서 현대로템의 '룩소르~나그 함마디' 간 열차 신호 현대화 사업과 한-이집트 양국 관계의 최신 동향을 공유했다. 이집트 철도 현대화 사업은 나일강을 따라 5100㎞에 이르는 노후화된 기간교통망을 현대화하는 대규모 국책 사업이다. 현대로템은 이집트 철도청과 나일강 상류의 주요 도시 나그 함마디~룩소르 구간에 대한 철도 신호시스템을 현대화한다. 해당 사업은 한국수출입은행의 2억5000만 달러(약 3200억원) 대외경제협력기금(EDCF)을 제공받는다. <본보 2022년 5월 11일 참고 단독] 이집트, '철도 현대화 사업' 수출입은행 차관 승인…현대로템 수주 '청신호'> 김 대사는 "이집트 열차 신호 현대화 사업 등 국가 차원의 높은 수준의 양국 협
[더구루=길소연 기자] 페루 당국이 6000만 달러(약 800억원)를 투자해 30대 획득 예정인 8x8 장갑차 사업이 연기됐다. 기술운영연구위원회의 재조사로 장갑차 획득 절차가 '무효'로 선언돼 내년에 다시 입찰할 전망이다. 페루 장갑차 사업이 원점으로 돌아가면서 수주전에서 탈락한 현대로템과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다시 기회를 얻을지 주목된다. 28일 업계에 따르면 페루 국방부는 최근 육군 8x8 장갑차 획득 사업에 할당된 예산 6000만 달러를 해군에 배정하는 결의안 126-2023을 발표했다. 국방부가 국방자원부 차관을 통해 장갑차 사업 자금을 조달하는데 할당된 예산을 해군에 편성한 것이다. 예산은 2900톤(t)~4500t까지 다목적 함정 6척을 건조하는 코드 2365245 해군의 작전 능력 향상 프로그램에 할당된다. 페루는 루포(Lupo)급 미사일 호위함(Carvajal/Aguirre급)을 대체하고자 신규 군함을 건조한다. 해군 현대화 프로그램의 초기 예산은 1억 4910만 달러(약 1929억원)인데 여기에 6000만 달러(약 800억원)가 추가됐다. 예산을 추가 확보한 해군은 내년 1분기에 군함 건조를 시작해 2028년 취항할 전망이다. 국방부가 해군에
[더구루=길소연 기자] HD현대가 우크라이나 재건을 위한 건설 장비를 현지에 보내고 있다. 앞서 HD현대는 지난 9월 우크라이나 미콜라이우 주(州) 정부와 우크라이나 재건을 위한 건설장비 공급 및 교육 관련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주요 장비를 전달키로 한 바 있다. 28일 업계에 따르면 미콜라이우 지방정부청은 27일(현지시간) 소셜미디어를 통해 미콜라이우 지역 재건을 위해 HD현대로부터 신형 굴착기 4대를 받았다고 밝혔다. 지난 10월 말 부산신항에서 출발해 폴란드를 거쳐 우크라이나에 전달됐다. 비탈리 김(Vitaly Kim) 미콜라이우주 주지사는 "HD현대의 미콜라이우 복구용 건설장비 제공은 지난 9월 체결된 양해각서(MOU)의 결과"라며 "굴착기는 대량의 작업 중량과 첨단 기술의 결합으로 높은 생산성을 특징으로 한다"고 말했다. 장비는 미콜라이우주의 국가 응급 서비스 지역과 코블레베 지역 커뮤니티 등 필요에 맞게 투입된다. HD현대가 전달한 장비는 HD현대건설기계의 30톤(t)급 크롤러굴착기(HX300SL) 2대와 HD현대인프라코어 디벨론 21톤급 휠굴착기(DX210WA) 2대 등이다. HD현대가 현지 조사 이후 현장에서 전천후로 사용 가능한 장비를 제작했다
[더구루=길소연 기자] 케이조선이 스위스 선사인 어드밴티지탱커스(Advantage Tanker)로부터 8만DWT 안팎의 파나막스급 석유화학제품선 2척을 수주했다. 27일 업계에 따르면 케이조선은 이달 초 어드밴티지탱커스와 7만3400DWT급 LR1(Long Range1) 탱커 2척의 건조 계약을 맺었다. 신조선은 각각 '어드밴티지 패션'(Advantage Passion)과 '어드밴티지 패스'(Advantage Path)로 명명된다. 인도 시기는 오는 2025년 4분기와 2026년 1분기로 예정됐다. 선가는 공개되지 않았지만 척당 평균가는 5750만 달러(약 745억원)로, 2척의 총 수주가는 1억1500만 달러(약 1490억원)로 추정된다. 영국의 조선·해운시황 전문기관인 클락슨리서치에 따르면 7만3000~7만5000DWT급 신제품 유조선의 현재 가격은 5750만 달러이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 5400만 달러보다 6% 오른 것이다. 케이조선이 어드밴티지로부터 수주한 LR1 탱커는 STX조선해양 시절부터 독주해온 분야다. 과거 STX조선은 시장에 발주된 LR1탱커의 절반 이상을 수주했다. 케이조선은 지난 8월에도 미국 인터내셔널 시웨이즈(Internatio
[더구루=홍성일 기자] 위성 인터넷서비스 스타링크(Starlink)가 인도에서 '박리다매' 전략을 펼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이용자풀을 빠르게 늘리기 위해서라는 분석이다. 일단 스타링크는 인도 서비스 출시를 위한 승인 작업에 박차를 가한다는 계획이다. [유료기사코드] 28일 인도 경제전문매체 이코노믹타임즈(ET)에 따르면 스페이스X는 스타링크 인도 서비스 출시 초기 월 사용료를 10달러(약 1만4000원) 미만으로 책정하는 것을 검토하고 있다. 스타링크의 미국 월 사용료가 약 100달러인 것과 비교하면 10분의 1 수준이다. 이코노믹타임즈는 스페이스X가 스타링크 출시 초기에 이용자를 1000만명까지 빠르게 확보하기 위해 박리다매 정책을 꺼내든 것이라고 설명했다. 스페이스X는 월 사용료가 낮더라도 이용자풀을 빠르게 확장한다면 비용을 상쇄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또한 스페이스X는 스타링크에 이어 원웹과 릴라이언스 지오, 글로벌 스타 등의 위성 통신 서비스가 잇따라 출시될 것으로 전망되는 만큼 파격적 가격 정책으로 시장을 선점하겠다는 목표도 세운 것으로 알려졌다. 업계는 스타링크의 월 사용료가 저렴하게 책정되더라도 수신 접시 등 키트의 가격이 접근성
[더구루=정예린 기자] 미국 배터리 소재 스타트업 '나트리온(Natrion)'이 리튬 이온 배터리용 분리막 판매를 개시한다. 첫 미국산 활성 분리막으로, 미국 배터리 산업의 공급망 자립과 안정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유료기사코드] 나트리온은 27일(현지시간) 자사의 첫 번째 플래그십 활성 분리막 '젠-1(Gen-1)'을 공식 출시하고 조건부 선주문을 받는다고 발표했다. 현재 뉴욕주 업스테이트 지역에 위치한 생산시설에서 대량 생산 준비를 마치고 기가스케일 규모 양산을 진행 중이다. 젠-1 활성 분리막은 회사가 자체 개발한 특허기술인 리튬 고체 이온 복합체(Lithium Solid Ionic Composite, LISIC) 기술을 적용한 최초이자 유일한 미국산 배터리 분리막이다. 기존 분리막이 단순히 전극 간 물리적 격리와 액체 전해질 보유 역할만 했던 것과 달리, 나트리온의 활성 분리막은 액체 없이도 이온 전달이 가능해 배터리 성능과 안정성을 동시에 개선한다. 나트리온이 공개한 실험 결과에 따르면, 젠-1 활성 분리막이 적용된 리튬이온 파우치셀은 동일 조건에서 기존 분리막 대비 이론 용량을 10~15% 더 활용할 수 있어 실질적인 에너지 밀도가 크게 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