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길소연 기자] 현대미포조선의 자회사 현대베트남조선이 갑작스런 불똥을 맞을 지경이다. 합작사 파트너이자 베트남 국영조선소인 조선산업공사(SBIC)가 파산하기 때문이다. SBIC가 부채 관리로 구조조정과 재무 구조에 실패하자 잔여재산 소유권 이전과 자산 매각 등 청산 절차를 밟는다. 17일 업계에 따르면 베트남 정부는 지난해 말 SBIC와 산하 7개 자회사에 대한 파산안을 승인했다. 올 1분기부터 파산 절차를 준비해 SBIC 자산과 재산권을 회수한다. SBIC의 파산 이유는 국가 예산에 대한 의존도를 최소화하면서 자본과 자산을 회수하기 위해서다. 베트남은 조선 및 수리 부문에서 국가 기금 사용시 국가, 관련 기관과 개인의 재정적 손실을 줄이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이에 정부는 국가 기금 회수를 위해 SBIC와 △하롱조선소 △파룽조선소 △박당조선소 △틴롱조선소 △깜란조선소 △사이공조선산업 △사이공조선해양산업 등 7개 자회사의 파산 절차를 밟는다. SBIC는 2010년 베트남 국영 조선 비나신의 파산 이후 조선업을 이어받았다. 그러나 지난 10년간 관리 부실과 비용 초과로 손실을 내 파산이 불가피해졌다. SBIC가 파산 위기에 처하자 합작사인 현대베트남조
[더구루=길소연 기자] 한화오션이 노르웨이 해운 투자가로부터 초대형 유조선 4척을 수주할 전망이다. 17일 업계에 따르면 노르웨이 사업가인 셸 잉게 뢰케(Kjell Inge Rokke)는 한화오션에 옵션 포함 최대 4척의 선박을 발주할 수 있는 슬롯(선박 건조 공간)을 예약했다. 조만간 건조 의향서(LOI)를 체결해 발주를 확정한다. 선박은 스크러버(Scrubber)가 장착된 에코(Eco) VLCC로, 환경 이슈에 대응과 동시에 연료비 절감에 따른 수익성을 제고한다. 선가는 척당 1억2700만 달러(약 1700억원)에서 1억 2800만 달러(약 1715억원)으로 알려졌다. 총 4척을 수주할 경우 한화오션의 수주가는 약 6800억원이 된다. 뢰케는 2026년 하반기에 2척 인도로 슬롯을 제안했으나 한화오션은 다른 조선소의 건조 물량으로 2027년 7월과 10월로 인도 날짜를 제안한 것으로 전해진다. 셸 잉게 뢰케는 1982년 미국에서 69피트 트롤 어선을 구입하면서 해운 사업을 시작했다. 현재 노르웨이 국적의 조선사 아커야즈(Aker Yards ASA)의 회장이자 최대 주주이다. 뢰케가 VLCC를 발주하는 건 노르웨이 선주들 사이에서 대형 유조선 부문에 열풍을
[더구루=길소연 기자] 삼성물산에 이어 현대로템이 아랍에미리트(UAE) 두바이 정부가 추진하는 6조4000억원 규모의 메트로 사업에 출사표를 던진다. 17일 업계에 따르면 두바이 도로교통청(RTA)은 지난 12일(현지시간) 두바이 메트로 블루라인의 설계 및 건설 계약을 위한 입찰 문서를 발행했다. RTA는 사전 자격을 갖춘 6개 컨소시엄에 입찰 제안서를 보내 경쟁입찰 방식으로 사업자를 선정한다. 사전 자격을 얻은 현대로템은 중국과 일본 기업과 참여한다. 중국토목건설공사(CCECC), 일본 시그널과 컨소시엄을 구성해 입찰에 참여한다. 현대로템측은 "입찰 공고가 아직 발표되지 않았으나 입찰에는 참여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삼성물산도 유력 후보군 가운데 하나로 꼽힌다. 삼성물산은 독일 지멘스와 인도 L&T, UAE 웨이드아담스 등과 컨소시엄을 구성해 이 사업에 도전하고 있다. <본보 2023년 11월 27일 참고 UAE 두바이, '6.4조' 메트로 사업 승인…삼성물산 후보군> 이외에 △프랑스 알스톰·스페인 FCC·중국건축공정총공사 컨소시엄 △중국철도건축총공사·튀르키예 리막홀딩스·튀르키예 마파그룹 컨소시엄 △스페인CAF, 중국타이시주토목그룹, 이집
[더구루=길소연 기자] 조영철 HD현대인프라코어 사장이 미국 라스베이거스에 이어 브라질 상파울루까지 향하며 연초부터 바삐 움직이고 있다. 디벨론 부품공급센터 개소식에 참석해 현지 사업 현황을 직접 살피는 한편 정부 당국 관계자들을 만나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17일 업계에 따르면 조 사장은 12일(현지시간) 브라질 상파울루주 준지아이(SP Jundiaí) 세바로지스틱스(CEVA Logistics) 본사에서 열린 디벨론(DEVELON) 부품공급센터(PDC) 개소식에 참석했다. 개소식에는 루이스 페르난도 마차도(Luiz Fernando Machado) 준지아이 시장을 포함해 시 정부 관계자와 세바로지스틱스 경영진이 함께 했다. 조 사장은 이날 PDC 내부를 둘러보며 작업장 내 환경과 각종 시설 및 설비 등을 살펴봤다. 부품 영업 활동과 관련해 직원들의 현지 상황도 점검했다. 준지아이시 정부 관계자들과는 PDC 공급망 협력 확대를 위한 사업 협력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HD현대인프라코어는 중남미 핵심 거점 국가인 브라질에 디벨론 PDC를 개소했다. 자체 부품 조달능력을 향상시켜 중장비 제품 애프터서비스를 개선시킨다는 전략이다. <본보 2024년 1월 16일
[더구루=길소연 기자] 프랑스 헬기 제작사 에어버스 헬리콥터스(Airbus Helicopters·AH)가 미국 장거리 드론 제조업체 에어로벨(Aerovel)를 인수해 무인 항공기 시스템 포트폴리오를 확장한다. [유료기사코드] 17일 업계에 따르면 에어버스 헬리콥터스는 15일(현지시간) 에어로벨 인수를 통해 무인항공시스템(UAS)인 플렉스로터(Flexrotor)를 제품군으로 확보했다. 전술 무인 솔루션 포트폴리오를 강화하기 위한 전략의 일환이다. 양사 승인으로 인수가 진행되며 현재 규제기관 등 관례적인 조건만 남았다. 인수 거래는 연내 완료된다. 브루노 에븐(Bruno Even) 에어버스 헬리콥터스 최고경영자(CEO)는 "에어로벨 인수로 UAS 제품을 확장하고 유인-무인 팀 구성과 같은 추가 임무 기능에 대한 전 세계 고객의 증가하는 수요에 대응하고자 한다"며 "에어로벨의 무인 기술에 에어버스 헬리콥터스의 UAS 개발과 상호 운용성을 개발하기 위해 수행해온 작업을 보완할 것"이라고 밝혔다. 에어로벨의 UAS 플렉스로터는 해상과 지상에서 정보, 감시, 표적 획득 및 정찰(ISTAR) 임무를 수행하기 위해 설계된 수직이착륙(VTOL) 무인 항공기이다. 전고 2m·
[더구루=길소연 기자] 삼성중공업의 노동력 부족난 해소를 위한 인도네시아의 용접공 양성이 본격화된다. 인도네시아는 인재 양성으로 한국 조선업 분야 취업을 지원한다. 16일 업계에 따르면 인도네시아 동자바주 인력이주사무소(Disnakertrans)는 15일(현지시간) 수라바야 UPT 직업훈련센터(BLK)에서 32명의 코어드 아크용접(FCAW) 직종 이주노동자 교육(CPMI) 프로그램을 실시했다. 용접공 직업훈련 프로그램은 인도네시아 수라바야의 직업소개소와 협력해 2개 수업으로 진행된다. 참가자는 3개월간 총 340시간 수업을 이수해야 한다. 동자바주 인력이주사무소는 용접공 훈련을 위해 100대의 새로운 FCAW 용접 기계를 조달했다. 이곳의 용접 훈련은 삼성중공업이 맡는다. 참가자들은 교육 수강 후 한국에 갈 수 있도록 선발 및 기술 테스트를 받게 된다. 이후 삼성중공업의 아크용접(FCAW) 인력으로 3년간 일하게 된다. 수나르야 BLK 수라바야 지사장은 "모든 교육생이 용접공으로 한국에 파견될 수 있는 바란다"며 "인도네시아 이주노동자가 한국 용접공이 되려면 반드시 통과해야 하는 선발 단계가 있어 결코 쉬운 일은 아니다"라고 밝혔다. 삼성중공업은 지난해 11
[더구루=길소연 기자] 이집트가 현대로템이 수주한 이집트 카이로 지하철 사업의 차관 계약을 이행한다. 우리나라 대외경제협력기금(EDCF)이 제시한 조건에 합의하면서 한국수출입은행의 도움을 받는다. 16일 업계에 따르면 이집트 당국은 이달 말 한국수출입은행 대외경제협력기금(EDCF)으로부터 자금을 조달받는다. EDCF는 개발도상국의 경제·산업 발전을 지원하기 위한 장기·저리의 양허성 차관을 의미한다. 한국수출입은행이 기획재정부장관으로부터 위탁받아 운용·관리한다. 이집트 국제협력부는 작년 6월 우리나라 대외경제협력기금(EDCF)과 카이로 지하철 2호선·3호선 전동열차 공동 제조·공급 사업과 관련해 4억6000만 달러(약 5900억원) 규모 차관 공여 계약을 맺었다. <본보 2023년 6월 13일 참고 한·이집트, 현대로템 '카이로 지하철' 전동열차 공급사업 6000억 차관 계약> 지난해 말 이집트 대통령과 이집트 의회가 수출입은행이 제공하는 낮은 금리와 탄력적 대출기간의 혜택 조건에 합의하면서 차관 계약이 이행된다. 이집트 하원은 지난달 6일 의회에서 한국수출입은행의 이집트 카이로 지하철 2호선·3호선용 전동열차 40대(8량 1편성, 320량)을 제조
[더구루=길소연 기자] 인도가 한화에어로스페이스 K9 자주포 기반으로 자체 개발한 '조라와르(Zorawar)' 경전차((AFV-ILT)의 혹서 테스트에 나선다. 인도가 고산지대이자 중국군 분쟁지역인 라다크를 위해 개발한 전차의 성능을 점검한다. 16일 업계에 따르면 인도 국방부(MoD) 산하 국방연구개발기구(DRDO)는 오는 4월과 5월 두 달간 라자스탄 타르 사막에서 인도산 전차 개발 테스트를 실시한다. 전차의 사막 테스트는 혹독한 더위에서 전차 성능을 점검하고, 극한의 환경에서 전차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진행한다. 인도 서부의 라자스탄주(州) 타르 사막은 라자스탄주 서부에서 파키스탄의 인더스강 유역까지 펼쳐진 대사막이다. 인도 유일의 열풍지대로 '죽음의 사막'이다. 면적은 약 25만㎢이고, 월 평균 기온은 1월 영상 20도에서 5월에는 35도까지 오른다. 인도는 지난 2000년 중국군의 인도 영토 침입으로 354대 경전차를 개발하기로 결정했다. 354대 중 59대는 국방연구개발기구가 신규 개발할 25톤 미만급 신형 고화력 경전차를 위해 배정됐고, 나머지 295대는 라센 앤 투브로(Larsen&Toubro, L&T)로부터 조달할 것으
[더구루=길소연 기자] 지난해부터 이어진 리튬 가격 하락에 이어 니켈도 가격 하락을 피하지 못하고 있다. 이에 일부에서는 생산 중단이라는 칼을 빼들었다. 포스코가 투자한 캐나다 자원회사 퍼스트퀀텀미네랄스 역시 서호주 레이븐소프(Ravensthorpe) 광산 니켈 채굴을 당분간 중단키로 했다. [유료기사코드] 16일 업계에 따르면 캐나다 자원회사 퍼스트퀀텀미네랄스(First Quantum Minerals, 이하 FQM)는 레이븐소프 광산을 2년간 일시 폐쇄한다. 광산 폐쇄로 약 125명, 고용 인원의 30%가 해고된다. 레이븐소프 광산에서는 전기차 리튬-이온 배터리의 핵심 재료인 니켈과 코발트를 생산한다. 최근 니켈과 코발트의 과잉 생산으로 가격이 하락하고, 수익성이 악화되자 생산을 중단하기로 했다. 특히나 니켈은 양극재의 핵심원료로 이차전지의 충전 용량을 높여 전기자동차의 주행거리를 늘리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현재 니켈 가격은 40% 가격이 하락해 2년 만에 최저점을 기록하고 있다. 톤당 1만6000즈워티(약 530만원)를 약간 웃돌고 있다. FQM은 2년 안에 레이븐소프의 헤일-밥(Hale Bopp)과 핼리스(Halleys) 광구에서 니켈과 코발트
[더구루=길소연 기자] HD현대인프라코어가 중남미 시장을 공략하기 위해 브라질 중장비 제품 애프터서비스를 개선한다. 브라질에 부품공급센터를 개소해 자체 부품 조달능력을 향상시킨다. 16일 업계에 따르면 HD현대인프라코어는 12일(현지시간) 브라질 상파울루주 준지아이(SP Jundiaí)에 디벨론(DEVELON) 부품공급센터(PDC)를 설립했다. 1988㎡ 면적의 PDC에는 400만 헤알(약 11억원) 가치의 초기 재고 품목 4700개가 있다. 재고 품목은 올해 1200만 헤알(약 32억원) 상당의 1만2000개로 늘릴 계획이다. 재고 부품 선택은 지난 10년 동안 브라질에서 판매 내역과 활성 기계 수를 기준으로 결정됐다. 재고 확대는 수요에 맞춰 유통망과 협력해 진행된다. 브라질의 디벨론 PDC는 굴착기, 휠로더 등 건설장비의 예비부품 공급망을 확보하고 물류기지 역할을 한다. 소비자는 필요한 예비 부품을 적시에 얻을 수 있게 하고, 부품 공급 외 품목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춰 공급망 효율성을 높인다. 준지아이는 지리적 위치가 좋아 브라질 PDC로 낙점됐다. 상파울루시와 가깝고 콩고냐스(Congonhas), 과룰류스(Guarulhos), 비라코포스(
[더구루=길소연 기자] 효성이 베트남 동나이에서 가장 많은 세금 낸 기업으로 나타났다. 15일 업계에 따르면 베트남 동나이성 관세청은 12일(현지시간) 2023년 동나이 수출입 분야에서 국가 세금을 가장 많이 지출한 10개 기업을 표창했다. 10개 기업이 납부한 세금은 4조3000억동(약 2310억원)에 달한다. 동나이 관세청이 표창한 10개 기업에는 △효성티앤씨㈜ 동나이법인 △효성화학 베트남법인 △대만 포모사의 흥응이엡포모사(Hung Nghiep Formosa) △켄다 타이어(Kenda Vietnam Rubber Company) 등이 포함됐다. 효성티앤씨㈜ 동나이법인은 작년 한해 베트남에 7760만동(약 420억원)을 수출입 세금으로 냈다. 이축연신폴리프로필렌(BOPP) 필름 생산하는 흥엥이엡 포모사도 지난해 7760억동(약 420억원)의 세금을 납부해 공동 1위를 차지했다. 효성티앤씨는 지난 2007년 호찌민 인근 동나이 지역에 현지 법인을 세운 후 현재까지 약 5조원 이상 투자했다. 베트남의 외국인 직접 투자(FDI) 중 3위 규모다. 스판덱스와 에어백 원사 등 주력 제품을 현지에서 생산하고 있다. 효성화학 베트남법인은 지난해 납부한 수출입 세액은 63
[더구루=길소연 기자] 벨기에 해운 가문 사베리스(Saverys)가 유조선사 유로나브와 자회사 CMB.테크(Tech)와 합병을 추진하면서 저탄소 신조선 120척을 발주할 계획이다. [유료기사코드] 15일 업계에 따르면 사베리스는 유로나브와 CMB.테크를 합병하면서 저탄소 함대를 확대하고 있다. 사베리스는 유로나브의 대주주다. CBM.테크는 사베리스의 자회사로 건화물 운송, 컨테이너 운송 분야에서 활동하는 135척의 선박을 소유한 다각화된 운송 회사이다. 유로나브는 지난해 말 11억5000만 달러(약 1조 5000억원)에 CMB의 클린테크 사업부 CMB.테크를 인수했다. 알렉산더 사베리스 사베리스 최고경영자(CEO)는 "유로나브와 청정 운송 그룹 CMB.테크를 결합하기 위해 저탄소 신조 발주를 진행하고 있다"며 "소형 선박에는 수소 연료를, 대형 선박에는 암모니아 연료를 사용하는 선박을 대량 발주할 것"이라고 말했다. 사베리스는 유로나브와 CMB.테크의 합병 이후 향후 5년간 저탄소 함대와 친환경 연료에 30억~50억 달러를 투자할 계획이다. 알렉산더 사베리스 CEO는 지난 3일(현지시간) 투자자를 대상으로 한 유로나브와 CMB.테크의 캐피탈 마켓데이 행사에서
[더구루=홍성일 기자] 위성 인터넷서비스 스타링크(Starlink)가 인도에서 '박리다매' 전략을 펼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이용자풀을 빠르게 늘리기 위해서라는 분석이다. 일단 스타링크는 인도 서비스 출시를 위한 승인 작업에 박차를 가한다는 계획이다. [유료기사코드] 28일 인도 경제전문매체 이코노믹타임즈(ET)에 따르면 스페이스X는 스타링크 인도 서비스 출시 초기 월 사용료를 10달러(약 1만4000원) 미만으로 책정하는 것을 검토하고 있다. 스타링크의 미국 월 사용료가 약 100달러인 것과 비교하면 10분의 1 수준이다. 이코노믹타임즈는 스페이스X가 스타링크 출시 초기에 이용자를 1000만명까지 빠르게 확보하기 위해 박리다매 정책을 꺼내든 것이라고 설명했다. 스페이스X는 월 사용료가 낮더라도 이용자풀을 빠르게 확장한다면 비용을 상쇄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또한 스페이스X는 스타링크에 이어 원웹과 릴라이언스 지오, 글로벌 스타 등의 위성 통신 서비스가 잇따라 출시될 것으로 전망되는 만큼 파격적 가격 정책으로 시장을 선점하겠다는 목표도 세운 것으로 알려졌다. 업계는 스타링크의 월 사용료가 저렴하게 책정되더라도 수신 접시 등 키트의 가격이 접근성
[더구루=정예린 기자] 미국 배터리 소재 스타트업 '나트리온(Natrion)'이 리튬 이온 배터리용 분리막 판매를 개시한다. 첫 미국산 활성 분리막으로, 미국 배터리 산업의 공급망 자립과 안정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유료기사코드] 나트리온은 27일(현지시간) 자사의 첫 번째 플래그십 활성 분리막 '젠-1(Gen-1)'을 공식 출시하고 조건부 선주문을 받는다고 발표했다. 현재 뉴욕주 업스테이트 지역에 위치한 생산시설에서 대량 생산 준비를 마치고 기가스케일 규모 양산을 진행 중이다. 젠-1 활성 분리막은 회사가 자체 개발한 특허기술인 리튬 고체 이온 복합체(Lithium Solid Ionic Composite, LISIC) 기술을 적용한 최초이자 유일한 미국산 배터리 분리막이다. 기존 분리막이 단순히 전극 간 물리적 격리와 액체 전해질 보유 역할만 했던 것과 달리, 나트리온의 활성 분리막은 액체 없이도 이온 전달이 가능해 배터리 성능과 안정성을 동시에 개선한다. 나트리온이 공개한 실험 결과에 따르면, 젠-1 활성 분리막이 적용된 리튬이온 파우치셀은 동일 조건에서 기존 분리막 대비 이론 용량을 10~15% 더 활용할 수 있어 실질적인 에너지 밀도가 크게 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