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최영희 기자] 바이오마커(생체표지자) 기반 혁신신약 개발기업 메드팩토는 지난 5일 미국 식품의약국(FDA)로부터 재발/난치성 골육종 환자 대상 백토서팁 단독요법에 대한 임상승인계획(IND)을 승인받았다고 8일 밝혔다. 이번 임상은 재발 난치성 혹은 진행성 골육종을 앓고 있는 14세 이상 청소년 및 성인환자 54명을 대상 백토서팁 단독요법에 대한 1/2상이다. 임상은 케이스웨스턴 리저브 대학교 UH 무지개 어린이병원(Case Western Reserve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UH Rainbow Babies and Children’s Hospital) 등에서 진행된다. 메드팩토는 임상에서 백토서팁 단독요법의 안전성, 내약성, 약동학 평가와 항암 효과 등을 확인하고 중간 분석 결과에 따라 더 큰 환자군을 대상으로 안전성과 효능을 평가할 계획이다. 골육종은 뼈 또는 뼈 주변의 연골 등 유골 조직에서 발생하는 악성종양을 말하며, 육종암 중 5.6%을 차지하는 희귀암이다. 골육종은 어린이와 청소년에서 발병률이 높은 대표적인 소아암 중 하나다. 특히 골육종은 환자 중 25~50% 암이 폐로 전이되고, 항암치료 중에도 폐 전이가
[더구루=길소연 기자] 아시아나항공이 재개하려던 일본 삿포로 노선에 전세편을 투입한다. 8일 업계에 따르면 아시아나항공은 지난 4일부터 오는 18일까지 '인천~신치토세' 노선에 전세기 운항한다. 주 2회(목,일)로 총 5회 운항한다. 당초 아시아나항공은 지난해 삿포로 운항을 재개하려 했다. 정기편 노선 재개가 아닌 임시편 형식으로 2회 왕복 운항할 예정이었으나 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 등장으로 운항 계획을 미뤘다.<본보 2021년 1월 19일 참고 코로나 대유행 일본…아시아나항공, 삿포로 운항 재개 연기> 아시아나항공이 이번에 삿포로 노선을 운항하는 건 일본 관광객들이 비자 없이 한국을 찾을 수 있게 되서다. 정부는 일본, 대만, 마카오 등 3개국에 대해 8월 한 달간 '무비자 입국 허용'을 해주기로 했다. 그동안 일본, 대만 등이 코로나 방역을 이유로 외국인 입국을 규제해와 무비자 대상 국가에 포함되지 않았다. 외국 관광객의 방한 수요가 커지고 있는데다 일본 등 재외공관에서 비자를 발급하는 데 3∼4주가 걸리는 등 비자 문제가 관광객 유치에 지장이 돼 한달간 무비자 입국 시킨다. 일본은 2019년 기준 방한 관광객 수 기준으로 2위(327만명)에
[더구루=최영희 기자] 뉴지랩파마의 신약개발 전문 자회사 ‘뉴지랩테라퓨틱스’가 미국 ‘안허트테라퓨틱스(안허트)’와 함께 개발 중인 비소세포성폐암 치료제 ‘탈레트랙티닙’이 FDA로부터 ‘혁신치료제지정(Breakthrough Therapy Designation)’ 승인을 받았다고 8일 밝혔다. 탈레트랙티닙은 비소세포성폐암 ROS1 변이 치료제다. FDA의 혁신치료제지정은 심각하게 생명을 위협하는 질환의 약물개발을 촉진하기 위한 제도다. 신약후보물질이 기존 치료제 대비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평가변수에서 상당한 개선사실을 입증해야 지정이 가능하다. 혁신치료제로 지정되면 우선심사 자격을 획득해 심사기간이 단축되며, 임상 2상 결과만으로도 신속하게 허가를 받을 수 있다. 안허트는 올해 6월 ‘미국임상암학회(ASCO)’에서 탈레트랙티닙의 글로벌 2상 중간결과를 발표했다. 안허트가 발표한 바에 따르면 탈레트랙티닙은 치료 경험이 없는 1차 치료제군에서 완전관해 2건과 함께 객관적 반응률(ORR)이 92.5%, 2차 치료제군에서의 ORR은 50.0%로 나타났다. 특히 뇌전이 병변이 있는 환자군에서 ORR은 91.7%로 관찰됐다. 탈레트랙티닙은 앞선 글로벌 임상1상에서도 완전관해
[더구루=최영희 기자] 토스뱅크가 한국투자금융지주 자회사 한국투자증권과 업무제휴 협약’(MOU)을 체결했다고 8일 밝혔다. 이날 여의도 한국투자증권 본사에서 열린 협약식에는 토스뱅크 홍민택 대표, 한국투자증권 김성환 부사장 등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자산관리 및 투자상품에 관한 광고업무 협력을 위한 업무제휴’ 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을 통해 토스뱅크는 한국투자증권의 다양한 투자상품을 고객이 투자에 활용할 수 있도록 소개하는 광고 업무를 추진할 계획이다. 한국투자증권은 자산관리와 운용, 투자은행(IB), 위탁매매(BK) 등 다양한 부문의 업무를 영위하고 있다. 특히 자산관리 부문에서는 개인과 기관 투자자들에게 Δ 수익증권 Δ Wrap Δ 신탁 Δ 펀드 상품 등 다양한 금융 상품을 선보이고 있는 국내 대표 증권사이다. 토스뱅크와 한국투자증권은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디지털금융 혁신과 고객 경험 강화를 위한 협력 관계를 확대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토스뱅크 관계자는 “이번 협약을 통해 자산관리 부문에서 고객들의 다양한 니즈를 만족시켜드릴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며, “향후에도 토스뱅크의 플랫폼으로서의 이점과 편리성, 한국투자증권의 자산관리 및 투자상품에 관한
[더구루=오소영 기자] LX그룹이 인도네시아에서 재생에너지 사업을 추진한다. 인니 정부의 탈탄소 정책에 따른 재생에너지 수요에 대응하고 인니의 중요한 경제 파트너로 자리매김할 것으로 보인다. 7일(현지시간) 인도네시아 투자조정청(BKPM)에 따르면 LX는 북부 수마트라와 서부 자바, 동부 칼리만탄에서 수소·태양광·바이오디젤 사업을 모색한다. 인니가 추진하는 10억5000만 달러(약 1조3630억원) 상당의 재생에너지 사업 중 일부에 참여를 검토한다. 인니는 석탄화력과 가스, 디젤 발전 비중이 85% 이상이다. 재래식 발전에 대한 높은 의존도를 해소하고 기후변화에 대응하고자 현지 정부는 신재생에너지 확대를 추진하고 있다. 발전 비중을 지난해 14%에서 2025년 23%, 2050년 31%로 키운다는 계획이다. 에너지광물자원부는 2020~2025년 재생에너지 발전 사업에 352억7000만 달러(약 45조7980억원)의 투자가 필요하다고 예상했었다. 재생에너지 수요가 높아지며 인니는 해외 기업의 투자를 유치해왔다. 인니 사업을 확장하고 있는 LX도 현지 정부의 레이더망에 들어왔다. 조코 위도도 인도네시아 대통령은 지난달 27일 1박2일 일정으로 방한했을 당시 LX
[더구루=홍성환 기자] 인도네시아 천연고무 제조·유통 기업 부미 인다와 니아가(Bumi Indawa Niaga)가 IBK기업은행 인도네시아법인의 유상증자에 참여한다. 8일 인도네시아 증권거래소(IDX)에 따르면 부미 인다와 니아가는 IBK인도네시아은행 유상증자에 최대 176억 루피아(약 15억원)를 출자한다. 지분율은 약 0.6%다. 부미 인다와 니아가는 천연고무 제품을 제조·유통하는 기업으로 인도네시아 대표 한상 기업인 코린도그룹의 자회사다. 이번 유상증자 참여는 단순 투자 목적이다. IBK인도네시아은행은 1조2000억 루피아(약 1050억원) 규모 유상증자를 진행 중이다. 이달 중으로 증자를 완료할 예정이다. 기업은행은 지난 2019년 9월 아그리스은행·미트라니아가은행을 합병해 IBK인도네시아은행을 공식 출범했다. IBK인도네시아은행은 2023년까지 핵심자본을 5조4000억 루피아(약 4730억원)로 확대해 부쿠(BUKU) 3 등급 중대형 은행으로 도약한다는 목표를 세우고 있다.
[더구루=김형수 기자] 한국, 중국, 일본 동아시아 3국이 글로벌 그린바이오 시장에서 경쟁을 벌이는 가운데 CJ제일제당이 주요 키플레이어로 꼽혔다. CJ제일제당은 중국·브라질·인도네시아·말레이시아·미국·베트남 등 전 세계 6개국 11개 공장, 37개국 판매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한 라이신, 트립토판, 핵산, 발린, SPC(Soy Protein Concentrate·농축 콩단백) 글로벌 시장에서 선두를 달리고 있다. 8일 미국 시장조사업체 글로벌인포메이션(Global Information)의 보고서에 따르면 글로벌 아미노산 시장은 연평균 7.4% 성장세를 이어나가며 오는 2030년 497억 달러(약 64조8337억원) 규모로 확대될 전망이다. 글로벌인포메이션은 건강한 라이프스타일에 대한 소비자들의 인식이 확대되면 아미노산 시장이 성장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업계에서는 아미노산을 비롯한 그린바이오 시장에서 존재감을 나타낼 주요 기업 가운데 하나로 CJ제일제당이 거론됐다. CJ제일제당과 경쟁일 펼칠 업체로는 일본의 아지노모토(Ajonomoto), 중국의 마이단 바이올로지(Maidan Biology) 등이 꼽혔다. CJ제일제당은 라이신, 핵산, 트립토판 등의 아미노산
[더구루=최영희 기자] 음식물처리기 전문기업 포레는 세계 최초로 음식물쓰레기 배출원 관리시스템 eFMS(ecop Foodwaste Management System)을 개발했다고 8일 밝혔다. 포레의 eFMS는 데이터 기반의 스마트 AIoT(AI+IoT) 음식물처리기를 활용해 배출원에서 발생하는 음식물쓰레기의 배출량, 감량, 탄소저감량 등의 빅데이터를 수집 관리할 수 있는 차세대 친환경 ESG 시스템이다. eFMS는 스마트 AIoT 음식물처리기 에콥, 에콥앱, 빅데이터 서버로 구성된다. 사용자는 스마트 AIoT 음식물처리기 에콥을 사용하여 음식물쓰레기를 약 80% 감량하면서 각종 데이터를 생산하게 되고 이 데이터들은 서버로 전송된다. 전송된 데이터는 분석 단계를 거쳐 집계, 분류되어 사용자 앱과 모니터링 시스템으로 데이터를 공유한다. 사용자에게는 앱을 통해 에콥포인트로 감량 및 데이터에 대한 보상을 제공하고 사업자에게는 제품의 상태, 이력 관리 등을 통해 제품 업그레이드 및 AS고도화 데이터를 제공하며 지자체 등 기관에게는 배출량, 감량, 탄소저감 성과 등의 빅데이터를 다차원적으로 수집 관리할 수 있게 해주어 데이터 기반의 스마트 음식물처리기를 활용한 공공 및
[더구루=정등용 기자] 한화생명 인도네시아 법인이 현지 중형 보험사인 리포 보험(LPGI) 인수에 한발 더 나아갔다. 8일 인도네시아 증권거래소에 따르면 스타퍼시픽(Star Pacific)은 임시 주주 총회를 통해 한화생명 인도네시아 법인과 한화손해보험에 대한 리포 보험 주식 지분 매각 계획을 승인했다. 이로써 스타 퍼시픽이 보유한 리포 보험 주식 중 한화생명 인도네시아 법인이 4.9%, 한화손해보험이 14.9%를 각각 취득한다. 절차는 보통주 매매거래 방식으로 진행된다. 앞서 한화생명 인도네시아 법인은 지난 4월 리포 그룹 계열사인 인티 아누게라 프라타(Inti Anugerah Pratama)·스타퍼시픽(Star Pacifik)과 리포 보험 지분 47.69% 인수하는 조건부 주식매매계약을 체결한 바 있다. 현재 리포 보험 지분은 인티 아누게라 프라타가 65.79%, 일반 투자자가 14.41%, 리포 보험이 나머지 지분 19.8%를 보유 중이다. 이와 관련해 금융당국 승인 절차가 진행 중인 단계로 최종 승인이 완료되면 한화생명은 리포보험의 최대주주에 올라 경영권을 확보하게 된다. 한화생명은 리포 보험 인수를 통해 동남아를 비롯한 해외 시장 개척에 박차를 가한
[더구루=정예린 기자] 삼성전자가 인도네시아 신규 투자를 검토한다. 스마트폰 공장 라인을 증설하는 등 현지 생산을 확대, 새로운 아시아 거점 기지로 구축할 전망이다. 8일 업계에 따르면 누룰 익환(Nurul Ikhwan) 인도네시아 투자조정청(BKPM) 투자진흥차관은 삼성전자가 서부 자바섬 찌까랑에 위치한 스마트폰 공장에 투자하기로 약속했다고 밝혔다. 투자 가치는 약 5000만 달러(약 649억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삼성전자는 지난달 방한 중이던 조코 위도도(조코위) 인도네시아 대통령과 국내 기업인들과의 면담에서 이같은 신규 투자 의사를 전달한 것으로 보인다. 삼성전자 외 LG전자, 포스코 등 10여 개 기업이 투자할 계획이다. 찌까랑 공장은 삼성전자가 지난 2015년 1월 2000만 달러(약 260억원)를 들여 완공한 스마트폰 생산기지다. 연간 약 1200만 대를 생산해 인도네시아 내수용으로 판매해왔다. 찌까랑 공장 생산규모를 확대해 늘어나는 현지 수요와 인근 아시아 지역 판매량에 대응할 것으로 관측된다. 삼성전자는 최근 고성장이 예상되는 인도네시아 스마트폰 시장에 공을 들이고 있다. 보급형 스마트폰 중심에서 플래그십 라인업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자
[더구루=윤진웅 기자] 현대자동차가 인도네시아 에너지·광산기업인 아다로그룹(ADMR)의 알루미늄 제련공장 설립 프로젝트 참여를 적극 검토하고 있다. 전기차와 배터리 공장에 이어 전기차 배터리와 외장 핵심 소재 중 하나인 알루미늄 투자, 현지 전기차 생태계를 구축하기 위한 전략이다. 8일 더구루 취재에 따르면 현대차와 ADMR 경영진과 수차례 만나 알루미늄 공장 투자 세부 사항을 논의했으며, 투자 방식을 놓고 협의하고 있다. ADMR 핵심 관계자는 "인도네시아 전기차 생태계 조성에 앞장서고 있는 현대차가 알루미늄 제련공장 설립 프로젝트에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고 전했다. 앞서 ADMR은 지난해 12월 보루네오섬 칼라만탄주에 위치한 그린산업단지(Green Industrial Park)에 7억2800만 달러 규모 알루미늄 제련공장 설립하는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가르발디 토히르(Garibaldi Thohir) ADMR 최고경영자(CEO)가 이끄는 컨소시엄이 부지 개발을 맡았다. 그린산업단지는 인도네시아 정부가 1만1000와트(MW) 규모 카얀강 수력발전소(Sungai Kayan PLTA)를 통해 전기를 공급하기로한 곳으로 친환경 생태계 조성에 의지가 담긴 곳이다
[더구루=김형수 기자] 이랜드가 천안에 첨단장비를 갖춘 스마트 물류센터를 완공했다. 국내외 패션 시장 내에서의 경쟁력 제고에 힘을 주는 모양새다. 천안 스마트 물류센터를 수출 전진 기지로 삼겠다는 계획이다. 8일 차이나데일리(ChinaDaily)를 비롯한 외신에 따르면 이랜드는 충남 천안에 스마트 물류센터는 운영 효율성 제고를 목적으로 100여대의 로봇이 도입됐다. 고밀도 저장 알고리즘 및 여러 선반을 대상으로 하는 집중 레이아웃을 적용해 효율을 30% 이상 높였다. 신발과 의류를 보관하기 위한 맞춤형 솔루션이 개발됐다. 또한 소프트웨어에 최신 알고리즘을 적용해 다양한 제품의 재고 관리 및 주문 대응을 보다 수월하게 할 수 있게 했다. 선반을 최적의 위치에 배치하고 실시간으로 재고 저장 상태를 최적화함으로써 주문이 들어온 제품을 챙기는 피킹 작업의 효율성을 높인 것이다. 사이즈와 계절에 따라 의류의 신발을 보관하기 위해서 디자인된 선반도 도입됐다. 이랜드는 티니위니, 로엠, 이블린, 스파오, 미쏘 등 여러 패션 브랜드를 운영하고 있다. 코로나19 앤데믹과 함께 다시 회사로 출근하는 사람들이 늘어나면서 미쏘 상반기 매출이 20% 늘어나는 가운데 물류 역량의 중
[더구루=홍성일 기자] 머리카락처럼 생긴 뇌전도(EEG) 전극이 개발됐다. 연구팀은 해당 전극을 활용하면 장시간 뇌 활동 모니터링이 필요한 환자의 편의성이 향상될 것으로 전망했다. [유료기사코드] 10일 업계에 따르면 펜실베이니아 주립대학교 연구팀은 24시 이상 연속 착용이 가능한 EEG 전극을 개발했다. 연구 내용은 국제 학술지 네이처에서 발간하는 생체공학 분야 저널 'npj 바이오메디컬 이노베이션(npj Biomedical Innovations)'에 소개됐다. EEG는 뇌의 전기적 활동을 기록하는 검사로 간질은 물론 수면 장애, 뇌 손상과 같은 질환을 진단하는데 사용된다. 보통 EEG는 여러 개의 전극을 두피에 붙여 뇌파를 측정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하지만 장기간 뇌파를 측정해야 하는 경우 젤로 두피에 붙도록 만들어진 금속 전극을 활용한다. 문제는 젤이 마르거나 하는 경우 제대로 측정이 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한다는 점이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펜실베이니아 주립대 연구팀은 3D 프린팅이 가능한 생체 접착 잉크로 EEG 전극을 만들었다. 펜실베이니아 주립대 연구팀이 개발한 EEG 전극은 머리카락 굵기의 안테나 부분에 조그마한 점처럼 생긴 부분이 붙어
[더구루=홍성일 기자] 구글이 영화와 TV 시리즈 제작사를 신설했다. 구글은 영화와 TV시리즈를 앞세워 자사 제품의 이미지를 변화시킨다는 계획이다. [유료기사코드] 10일 업계에 따르면 구글은 콘텐츠 제작사인 레인지 미디어 파트너스(Range Media Partners)와 다년 파트너십을 체결하고, 100제로스(100 Zeros)라는 새로운 영화·TV 제작사를 출범시켰다. 100제로스는 향후 구글이 투자하거나 자체 제작할 수 있는 콘텐츠를 발굴하는 일을 담당한다. 구글의 100제로스 설립은 애플의 마케팅 전략을 벤치마킹하면서 이뤄진 것으로 보인다. 애플은 수년간 자체 OTT인 '애플 TV 플러스'를 통해 아이폰과 맥, 에어팟 등을 꾸준히 노출해왔다. 이를 통해 애플 제품에 대한 호감도와 가치를 높여왔다. 향후 구글도 100제로스가 제작하는 콘텐츠를 통해 자사의 제품을 지속적으로 노출시켜 브랜드 가치와 호감도를 높일 것으로 분석된다. 구글과 애플의 차이점도 존재한다. 애플이 자체 OTT를 활용한 것과 다르게 구글은 넷플릭스와 디즈니 플러스 등 OTT업체와 파트너십을 맺고 콘텐츠를 배포할 예정이기 때문이다. 구글은 유튜브에서도 영화 등을 배포하지 않는다. 업계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