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김형수 기자] CJ CGV가 인도네시아에서 손실 폭을 크게 줄인 무난한 성적표를 받았다. 영화 부문과 식음료 부문 매출이 나란히 우상향하며 실적을 이끌었다. 실적 회복은 내년 상반기에나 본격화 될 것으로 전망된다. 9일 업계에 따르면 CJ CGV가 지난 1분기 인도네시아 법인(PT Graha Layar Prima Tbk)에서 기록한 손실은 206억8900만루피아(약 18억6800만원)로 전년 동기 대비 59.06% 감소했다. 영화관 산업이 활기를 띠면서 매출이 늘어난 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같은 기간 인도네시아 매출은 2058억6500만루피아(약 185억6900만원)로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53.80% 증가했다. 영화 부문 매출이 46.11% 늘어난 1282억6050만루피아(약 115억8200만원)를 기록했다. 식음료 부문 매출은 43.68% 늘어난 568억230만루피아(약 51억2900만원)로 집계됐다. 인도네시아 총자산은 2조1970억7020만루피아(약 1983억9500만원)을 기록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하면 3.70% 감소한 수치다. 비유동자산 규모가 소폭 감소한 가운데 유동 자산 규모도 줄어든 영향이다. CJ CGV는 인도네시아
[더구루=정등용 기자] J트러스트가 캄보디아 정부와 납세 효율성 개선에 힘을 모으기로 했다. 캄보디아 재무부 산하 세금총국(GDT)은 9일 J트러스트 캄보디아 법인인 J트러스트 로얄 은행 등 10개 은행과 세금 납부 효율성 강화를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10개 은행에는 J트러스트 로얄 은행 외에 △캐나디안 은행 △ACLEDA 은행 △캄보디아 퍼블릭 은행 △바타낙 은행 △캄보디아 포스트 은행 △캄보디아 대외무역은행 △사타파나 은행 △어드밴스드 뱅크 오브 아시아 △윙 은행이 포함됐다. 이번 MOU 체결에 따라 J트러스트 로얄 은행 등 10개 은행은 납세 효율성 개선에 주력한다는 방침이다. 이를 위해 관련 디지털 기술을 업그레이드 하는 등 효과적인 납세 서비스 제공에 집중한다는 계획이다. 켄 삼바스 세금총국 부국장은 “코로나19 기간 동안 납세자들은 비대면 서비스를 통해 편리하게 세금을 납부할 수 있었다”면서 “전반적인 효율성 개선을 위해 금융사들이 보다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한편, J트러스트는 지난 2019년 캄보디아 상업은행 ANZ 로얄 은행을 인수하며 J트러스트 로얄 은행을 설립했다. 이후 기존 기업금융과 소매금융
[더구루=홍성일 기자] 글로벌 암호화폐 거래소 코인베이스가 암호화폐 보안업체 클라우드버스트 테크놀로지스(Cloudburst Technologies, 이하 클라우드버스트)에 투자했다. 코인베이스는 암호화폐 보안 솔루션에 투자, 암호화폐 생태계 성숙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클라우드버스트는 8일(현지시간) 코인베이스 벤처스와 SCV(Strategic Cyber Ventures)가 공동으로 주도한 시드 투자 라운드를 통해 300만 달러(약 40억원)를 조달했다고 밝혔다. 클라우드버스트는 실시간 모니터링 솔루션, 사이버 위협 인텔리전스 툴 등을 개발해 공공, 금융 분야에 특화된 솔루션을 제공한다. 클라우드버스트는 자사의 API를 포함한 솔루션을 사용하면 시장 조작을 예측하고 방어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클라우드버스트의 툴은 익명의 지갑 주소에 의존하지 않고도 암호화폐 사기 범죄자를 식별, 추적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클라우드버스트 관계자는 "우리는 디지털 통화를 위한 사이버 인텔리전스 솔루션을 계속 개발하는데 있어 투자자들의 지원을 받게 돼 기쁘다"며 "이번 투자는 우리 팀의 노력과 헌신에 대한 증거이며, 우리는 사이버 인텔리전스에 대한 새로운 표준을 수
[더구루=정예린 기자] 메모리 반도체 가격이 더 하락할 경우 관련 기업들이 존폐 위기에 처할 수 있다는 주장이 나왔다. 감산 등 주요 칩 메이커들 간 업황 반등을 위한 공조가 본격화되는 상황에서 ‘메모리 보릿고개’를 무사히 넘길 수 있을지 이목이 쏠린다. 9일 대만 파이슨에 따르면 푸아케인승(潘健成) 최고경영자(CEO)는 지난 5일(현지시간) 열린 올 2분기 실적발표 컨퍼런스콜에서 "낸드플래시 추가 가격 인하는 더이상 실행 가능하지 않다"며 "시장이 회복되지 않으면 공급업체가 파산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그는 "낸드 제조사들이 가격을 안정화하거나 인상하기 위해 생산량을 추가로 줄일 가능성도 높다"며 "최근 마이크론의 가격 인하 중단 결정은 공급업체 간 시장 안정을 위한 공동 노력의 일환"이라고 덧붙였다. 푸아 CEO의 발언은 현재 낸드 가격이 최저점을 찍었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가격이 더 떨어지게 되면 기업이 떠안아야할 손해 규모가 불어나 견디지 못할 것이라는 관측이다. 구체적으로 영향을 받는 기업이 낸드 생산업체인지 SSD(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 공급업체인지 등 자세한 사항은 언급하지 않았다. 현재 거래되는 메모리 반도체 가격은 원가에 가까운 수준인
[더구루=오소영 기자] SK이노베이션의 소재 사업 자회사 SK아이이테크놀로지(SKIET)가 국내 기업 중 유일하게 폴란드 전기차 행사의 패널 토론에 참석한다. 폴란드 진출 기업으로서 현지 최초 전기차 '이제라(IZERA)' 생산과 관련한 미래 모리빌리티 산업 발전 방안에 머리를 맞댄다. 박병철 SKIET 폴란드법인(SKBMP)장은 9일(현지시간) 폴란드 실롱스크주 야보주노에서 열리는 전기차 행사 ‘제6회 IABM(International Automotive Business Meeting) IZERA 에디션’에 패널 토론자로 참석한다. 이 행사는 완성차 업계 관계자들이 모여 수소·전기차 등 미래차 기술과 최신 동향 등을 공유하는 자리다. 매년 자동차 업계에 종사하는 글로벌 리더 350여 명이 찾는다. 현대차·기아는 2019년 행사의 공식 파트너로 선정된 바 있다. 이번 행사는 폴란드 최초의 전기차 브랜드 'IZERA' 특집으로 꾸며졌다. SKIET는 야보주노 내 카토비체 경제특구의 대표 배터리 소재 기업으로 참석했다. 박 법인장은 '폴란드 전기모빌리티 밸리-협력·역량 구축을 위한 관점(Polish Electromobility Valley - perspectiv
[더구루=홍성환 기자] 퀄컴(Qualcomm)이 이스라엘 차량용 반도체 기업 오토톡스(Autotalks)를 인수한다. 퀄컴은 자회사 퀄컴테크놀리지스가 오토톡스와 인수 계약을 체결했다고 9일 밝혔다. 구체적인 거래 조건은 공개하지 않았다. 2008년 설립된 오토톡스는 도로 안전을 개선하기 위해 유인 및 무인 차량용 V2X(Vehicle-to-Everything) 통신 기술에 사용되는 전용 칩을 만드는 회사다. 삼성과 현대차가 이 회사에 투자했다. 현대차는 지난 2018년 이 회사에 전략적 투자를 했고, 삼성은 2019년 삼성카탈리스트펀드를 통해 시리즈D 라운드에 참여했다. 퀄컴은 오토톡스 솔루션을 자회사 스냅드래곤 디지털 섀시 제품 포트폴리오에 통합할 예정이다. 퀄컴 측은 "우리는 2017년부터 V2X 연구를 해왔으며 개발 및 배치에 투자해 왔다"며 "자동차 시장이 고도의 기술을 요구함에 따라 향상된 도로 사용자 안전과 스마트 교통 시스템을 위해 독립형 V2X 안전 아키텍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퀄컴은 작년 7월 자동차 사업에서 파이프라인을 시작한 이후 9월 주문량이 300억 달러(약 39조7320억원) 이상 증가했다.
[더구루=한아름 기자] CJ제일제당이 글로벌 냉동피자 시장을 이끌 주요 기업으로 선정되면서 약진에 무게가 실린다. 냉동피자는 외식보다 편리하고 저렴해 고물가 시대에 폭발적인 성장세를 보일 것이란 전망에서다. 9일 시장 조사기관 테크나비오(Technavio)는 전 세계에서 냉동피자 수요가 늘어나고 있다며 핵심 기업으로 CJ제일제당을 선정했다. 제네랄 밀스와 네슬레 등 글로벌 대형 식품 기업과 어깨를 나란히 했다. 이밖에 에이미스 키친(Amys Kitchen)·앳킨즈 뉴트리셔널즈(Atkins Nutritionals)·벨리시오 푸즈(Bellisio Foods)도 이름을 올렸다. 주목할 만한 점은 CJ제일제당이 국내 식품 기업 중 유일하게 냉동피자 핵심 기업으로 인정받았다는 것이다. CJ제일제당은 피자 전문점 못지않은 제품을 선보이고 있다는 평가를 받는다. 지난 2018년 인수한 미국 냉동식품 전문기업 슈완스의 제조 기술을 적용해 도우와 소스, 토핑을 전면적으로 업그레이드한 덕분이다. 글로벌 시장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작년 CJ제일제당은 글로벌 식품 매출 비중이 47%로 역대 최고 수준까지 올라갔다. 특히 미국에서 고성장을 이어갔다. 작년 미국 매출은 전년 대
[더구루=최영희 기자] 메타버스 전문 개발사 원유니버스는 ‘챔피언스 아레나’의 첫번째 NFT(대체불가능토큰) ‘넥서스’를 출시했다고 9일 밝혔다. 넥서스는 세계 최대 블록체인 게임 네트워크를 보유한 갈라게임즈의 공식 사이트를 통해 판매된다. 넥서스는 유저의 아이템 소유권을 보장하기 위한 NFT다. 유저들은 넥서스를 통해 자신이 보유한 챔피언을 다른 유저에게 대여하고 보상을 얻도록 설계됐다. 기존에 갈라게임즈에서 판매하던 노드의 컨셉을 활용해 시스템을 간소화하고 핵심 기능인 리워드 기능을 강화했다. 이번 출시에서는 총 300개의 넥서스 NFT가 판매될 예정이다. 얼리 엑세스 특전으로 테스트 서버내에서 길드를 개설할 권한이 부여된다. 또 넥서스 구매자의 경우 영지(Estate)의 확정 구매 권한인 화이트리스트 혜택이 제공된다. 영지는 총 유통 가능한 물량이 한정돼 있고, 타 유저에게서 이용료를 거둘 수 있는 독점적인 기능을 보유해 높은 가치를 지닌다. 영지 보유자는 길드를 개설하고 길드장이 될 수 있으며, 유저들에게 강력한 혜택을 제공하는 시설을 가지게 된다. 또한 넥서스 구매자에게는 한정 NFT 챔피언 ‘베로니카’가 함께 제공된다. 베로니카는 게임 내 최고등급
[더구루=홍성일 기자] 4월 글로벌 웹3 투자 규모가 3월보다 소폭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부문별로는 블록체인 인프라 부문의 자금 조달 규모가 꾸준하게 상승하고 있다. 9일 업계에 따르면 2023년 4월 글로벌 웹3 부문 투자액은 8억300만 달러(약 1조600억원)로 추산되며 전월대비 8.22% 증가했다. 펀딩건수는 총 90건으로 3월보다 18.89% 늘어났다. 부문별로는 블록체인 인프라 분야의 투자 성장세가 눈에 띄었다. 블록체인 인프라 부문은 2월 3억3000만 달러, 3월 3억5400만 달러, 4월에는 4억900만 달러를 조달하며 꾸준하게 증가했다. CeFi, DeFi 부문 등을 1억 달러 이상을 조달하며 안정적인 투자 상황을 유지했으나 메타버스 부문은 2월 2억3500만 달러를 조달한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세를 보이며 3월 1억3900만 달러, 4월 1억2700만 달러로 하락세를 보였다. 4월 웹3 투자는 초기단계 스타트업에 집중됐다. 4월 완료된 펀딩 중 37.78%가 시드투자 라운드였으며 15.56%가 시리즈A 투자 라운드로, 전체 투자의 절반 이상이 시드, 시리즈A 단계 스타트업에 이뤄졌다. 주요 투자자로는 최근 가장 적극적인 투자 행보를 벌이
[더구루=윤진웅 기자] 현대자동차가 전용 전기차 모델 '아이오닉5'를 앞세워 인도네시아 전기차(EV) 시장을 장악하고 있다. 지난해 현지 베스트셀링 전기차로 꼽힌 중국 울링자동차 에어EV를 제치고 판매 1위를 달리고 있다. 9일 인도네시아자동차공업협회(GAIKINDO)에 따르면 현대차는 1분기(1~3월) 인도네시아 EV 시장에서 아이오닉5 1039대를 판매, 점유율 58.4%로 1위에 올랐다. 해당 기간 현지 EV 시장 전체 규모는 1777대로 집계됐다. 세련된 디자인과 본연의 성능이 가격 부담감을 넘어섰다는 평가다. 특히나 대부분의 판매가 보조금 혜택 적용 이전에 이뤄져 더욱 의미있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아이오닉5 현지 판매 가격은 기본 트림 기준 7억1800만 루피아(한화 약 6591만원)다. 보조금은 지난 3월 20일부터 지급됐다. 2위는 울링차가 차지했다. 에어EV 총 537대를 판매했다. 에어EV는 지난해 현지 베스트셀링전기차로 꼽힌 모델이다. 가격은 아이오닉5와 비교해 3분의1 수준이다. 아이오닉5와 함께 보조금 지급 대상에 오른 2개 전기차 중 하나로 현지 수요를 양분하고 있다. 토요타는 BZ4X 64대 판매로 3위, BMW는 iX X드라이
[더구루=김형수 기자] 휠라홀딩스의 올 실적에 청신호가 켜졌다. 자회사 미국 아쿠쉬네트(Acushnet)의 판매 호조에 힘입어 두자릿수 성장세를 이어간 덕이다. 타이틀리스트와 풋조이 등 브랜드 파워로 호조를 보였고, 글로벌 공급망 확대로 매출은 큰 폭으로 증가했다. [유료기사코드] 9일 업계에 따르면 아쿠쉬네트가 지난 1분기 올린 순매출(Net Sales)은 6억8630만달러(약 9090억원)로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13.2% 늘어났다. 이 기간 순이익(Net Income)은 15.2% 증가한 9330만달러(약 1240억원)를 기록했다. 타이틀리스트 제품 판매가 활성화되며 실적이 우상향했다고 회사측은 설명했다. 타이틀리스트 골프공 매출은 신제품 프로 V1과 프로 V1x 인기에 힘입어 17.2% 늘어난 1억9200만달러(약 2550억원)를 기록했다. 타이틀리스트 골프클럽 매출은 TSR 드라이버 등의 높은 판매고를 바탕으로 12.4% 증가한 1억8080만달러(약 2400억원)로 집계됐다. 유통망 개선에 따라 타이틀리스트 골프용품 매출은 6700만달러(약 890억원)로 51.9% 늘었다. 풋조이(FootJoy) 골프 의류 매출도 3.9% 늘어난 2억530만달러
[더구루=홍성환 기자] 아랍에미리트(UAE) 국영석유기업 애드녹(Adnoc)이 로우어자쿰 해상유전 확장 프로젝트를 수행할 사업자 선정에 돌입했다. 9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애드녹은 최근 로우어자쿰 해상유전 확장 사업의 입찰에 돌입했다. 애드녹은 오는 2027년까지 로우어자쿰의 일일 생산량을 현재 40만 배럴 수준에서 52만 배럴로 확대할 계획이다. 현재 기본설계(FEED) 작업을 실시하고 있다. 로우어자쿰은 아부다비에서 북서쪽으로 65㎞ 떨어진 페르시아만 중앙부에 위치한 유전이다. 업스트림은 이 사업의 주요 후보군으로 현대건설과 삼성엔지니어링을 비롯해 △아부다비 NPCC △인도 L&T △미국 맥더못 △프랑스 테크닙 △스페인 테크니카스 레우니다스 △중국 중국석유공정건설공사(CPECC) △영국 페트로팩 등을 꼽았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대만 전자제품 위탁생산(EMS) 기업 위스트론(Wistron)이 엔비디아(NVIDIA)의 인공지능(AI) 서버 생산을 위해 미국 제조 시설 건설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엔비디아는 위스트론, 폭스콘 등과 손잡고 미국 AI 인프라 구축 프로젝트를 진행한다. [유료기사코드] 24일 업계에 따르면 제프 린(Jeff Lin) 위스트론 최고경영자(CEO)는 최근 개최된 연례 주주총회에서 "내년 중 미국 텍사스주 댈러스 공장을 준공하고 블랙웰(Blackwell) 아키텍처 기반 AI 서버 생산을 시작할 것"이라고 밝혔다. 위스트론 댈러스 공장은 엔비디아의 대대적인 미국 AI 인프라 구축 사업에 따라 건설된다. 엔비디아는 지난달 최대 5000억 달러(약 690조원)를 미국 AI 인프라 구축에 투자할 것이라고 밝혔다. 엔비디아는 AI 인프라 구축 사업에 필요한 슈퍼컴퓨터 등을 미국에서 생산하겠다고 밝히며 폭스콘, 위스트론과 협력할 것이라고 전했다. 이에 따라 폭스콘도 텍사스주 휴스턴에 새로운 공장을 건설하고 있다. 폭스콘 휴스턴 공장에서는 반도체 칩 테스트, 모듈 통합 작업 등이 진행된다. 위스트론은 엔비디아 외에 미국 내 추가 고객사 확보에도 나섰다.
[더구루=김은비 기자] 전기차 스타트업 리비안(Rivian)이 차세대 전기 SUV ‘R2’를 통해 본격적인 생산 혁신에 나선다. 핵심은 배선 길이의 획기적인 축소다. 리비안은 기존 R1 모델 대비 R2에서 배선을 대폭 축소하며 차량 경량화와 원가 절감이라는 '두 토끼 잡기'에 나섰다. [유료기사코드] 24일 업계에 따르면 RJ 스캐린지 리비안 최고경영자(CEO)는 자신의 엑스(X, 옛 트위터)에 "전면부 배선 설계도 변경을 통해 R2의 배선 하네스를 R1 대비 약 20kg 경량화 시켰다"고 밝혔다. 리비안은 약 3.2km(2마일) 배선 하네스 경량화 외에도 인라인 커넥터 수는 60% 줄였으며 전자 제어 장치(ECU) 수 역시 기존 17개에서 7개로 감소시켰다. 스캐린지 CEO는 “R2에 적용된 배선 하네스는 네트워크 아키텍처와 존별 ECU를 기반으로 설계돼, 공장 내 설치 편의성을 높이고 전체적인 시스템을 간소화한 것이 특징"이라며 "이를 통해 전선, 클립, 접속 횟수가 크게 줄어들며 생산성과 정비 효율성이 동시에 향상됐다"고 밝혔다. 리비안은 전기 모터 인버터 역시 효율화했다. 기존 R1S, R1T에 쓰이던 ‘엔듀로(Enduro)’ 유닛보다 부품 수를 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