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진유진 기자] 뱅크 오브 아메리카(BofA)가 구리 공급 위기를 경고했습니다. 뱅크 오브 아메리카 금속 전략가들은 최근 "광산 프로젝트 부족 사태는 친환경 기술에 대한 투자와 글로벌 경제의 반등과 함께 오는 4분기까지 구리 가격을 t당 1만250달러까지 끌어올릴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글로벌 전기 자동차와 친환경화 조치 채택으로 구리 수요가 증가하는 가운데 광산 프로젝트 부족 때문이라는 판단입니다. 한편 페루의 최대 구리 생산지인 라스밤바스 광산이 중단될 위기에 놓였습니다. 라스밤바스 광산 노동조합이 인근 주요 도로를 봉쇄함에 따라 트럭 통행이 중단됐습니다. 아직 광산 작업은 중단되지 않았지만, 연중 최고점을 찍은 구리 가격이 또 오를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더구루 홈페이지에서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 더구루 인사이트 영상보기 ◇ 상세 기사 BofA, 구리 공급 위기 경고…"4분기 t당 1만250달러까지 간다" [단독] 페루 최대 구리 생산지 '라스 밤바스' 또 생산중단 위기…가격 또 오르나
[더구루=길소연 기자] 삼성중공업이 미국 엔지니어 블랙앤비치(Black & Veatch)와 컨소시엄을 구성해 수주한 캐나다 시더 LNG 프로젝트의 부유식 액화천연가스 생산·저장·하역 설비(FLNG) 건설을 본격 추진한다. 15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중공업은 조만간 블랙앤비치와 시더 LNG 프로젝트의 FLNG 건조에 착수한다. 삼성중공업은 시더 FLNG 프로젝트를 위한 모든 상부 모듈의 제작과 통합을 처리하는 것 외에도 격납 시스템이 포함된 선체를 제공할 예정이다. 블랙앤비치는 특허받은 프리코(PRICO) 액화 기술을 활용해 전체 상부 설계과 장비를 공급해 상부 공정 플랜트를 작업한다. 삼성중공업과 블랙앤비치는 이달 초 캐나다 석유·천연가스 업체인 펨비나 파이프라인(Pembina Pipeline)과 하이슬라 네이션(Haisla Nation) 합작법인(JV)으로부터 시더 LNG 프로젝트의 FLNG 진행 통지서를 받았다. <본보 2024년 4월 8일 참고 [단독] 삼성중공업, 캐나다 시더 FLNG 기본설계 계약이행 통보 받아> 오성일 삼성중공업 부사장 겸 최고마케팅책임자(CMO)는 "시더 FLNG는 삼성중공업과 블랙앤비치 간 파트너십을 공고히 하며
[더구루=진유진 기자] 런던금속거래소(LME)가 러시아산 알루미늄·구리 가격이 오를 것으로 예상했다. 미국과 영국이 러시아산 금속의 자국 수입을 금지한 데 따른 영향으로 분석된다. 블룸버그 통신은 15일 LME 금속 트레이더들이 이날 오전 1시(현지 시간) LME 거래 재개 시 알루미늄·구리·니켈 가격이 급등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보도했다. 주요 생산업체가 시장에서 퇴출당해 가격이 상승할 것이라는 전망도 있는 반면, 러시아산 귀금속이 LME로 유입될 가능성을 우려하는 의견도 있는 등 수입 금지 조치가 미칠 파장에 대한 의견이 엇갈리고 있다. 앞서 미국과 영국 정부는 지난 12일 대러시아 추가 제재 공동 조치로 13일 이후 생산된 러시아산 금속 신규 물량 수입을 금지하고 시카고상업거래소(CME)와 LME에서의 거래도 차단했다. 다만 13일 이전 물량 거래와 보유한 재고 물량은 이번 규제 대상의 예외로 삼았다. 이에 대해 LME는 "13일 이전에 생산된(Old) 러시아산 금속이 계속 인도될 수 있음을 확인했다"며 "거래소는 13일 이전에 생산된 금속 인도 요청을 사례별로 검토할 예정이다"고 설명했다. 러시아산 금속은 이미 지난 3월 말 기준 LME 알루미늄 재고의
[더구루=김형수 기자] 빔산토리가 아메리칸 위스키 브랜드 오버홀트(Overholt)를 통해 위스키 신제품을 미국에 론칭한다. 오버홀트 위스키 포트폴리오를 강화하고 현지 판매를 확대한다는 전략이다. 오버홀트 위스키 신제품의 국내 출시 여부에도 관심이 쏠린다. 15일 업계에 따르면 빔산토리는 미국에 A.오버홀트(A.Overholt) 위스키를 출시했다. 미국 전역에 자리한 주류 소매점에서 판매를 시작했다. 빔산토리는 A.오버홀트 위스키가 호밀 80%, 맥아 20%를 배합해 생산되는 위스키라고 소개했다. 옛 방식으로 제조해 오버홀트 브랜드가 지난 오랜 위스키 역사를 강조했다. 오버홀트는 그 역사가 지난 1810년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200년이 넘는 역사를 지닌 아메리칸 위스키 브랜드다. A.오버홀트 위스키는 클로버 허니 색깔을 띠고 있다. 카라멜, 백단유(열대지방에서 자생하는 나무 백단향에서 채취하는 향수 원료로 쓰이는 기름), 캐러웨이(향신료로 사용되는 회향 식물) 등의 향기와 브라운 버터, 정향 등의 풍미가 조화를 이룬다고 회사측은 설명했다. 오버홀트 위스키 제품군을 확대하고 북미 위스키 시장 공략에 집중하기 위한 빔산토리의 행보로 풀이된다. 이번 A.오버홀트
[더구루=한아름 기자] 마녀공장이 일본 브랜드 앰배서더 사카구치 켄타로와 함께 시장 공략을 강화한다. 사카구치 켄타로를 전면에 내세운 새로운 브랜드 광고 캠페인을 선보이고 소비자 접점 확대에 나선다. 지난해 부진을 털고 반전을 꾀한다는 목표다. 15일 업계에 따르면 마녀공장이 일본에서 사카구치 켄타로와 함께 광고 캠페인을 선보인다. 이번 광고 영상에서 △갈락토미 나이아신 에센스 △비피다바이옴 앰플 등을 집중 홍보했다. 두 제품 모두 마녀공장의 핵심 제품이다. 특히 갈락토미 나이아신 에센스는 지난 2012년 4월부터 지난해 12월까지 국내외 누적 판매량 410만개를 돌파하며 뛰어난 제품력을 인정받았다. 마녀공장은 사카구치 켄타로의 인지도를 내세워 현지 소비자 접점 확대에 적극 나선다는 계획이다. 이달 현지 온라인몰 큐텐(Qoo10) 등에서 제품 구매 고객을 대상으로 사카구치 켄타로 엽서 증정 이벤트를 연다. 지난해 일본 실적 부진에 휩쌓인 마녀공장이 새로운 광고 캠페인을 발판으로 실적 턴어라운드를 꾀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마녀공장의 지난해 일본 매출은 전년 대비 20% 감소했다. 회사 측은 "기존 온라인 중심의 판매 채널에서 오프라인으로 전환하며 생긴 일
[더구루=홍성일 기자] 전기차 기업 폴스타가 중국 스마트폰 제조업체 메이주와 손잡고 개발하는 스마트폰의 새로운 정보를 담은 영상을 공개한다. [유료기사코드] 15일 업계에 따르면 폴스타는 출시를 앞둔 자체 스마트폰의 영상을 16일 공개하기로 했다. 이번 영상에서는 그동안 공개되지 않은 정보가 추가로 공개될 것으로 전망된다. 폴스타는 중국 지리자동차에 인수되며 자체 스마트폰을 출시할 것이라는 소식이 전해졌다. 폴스타를 인수한 지리차가 스마트폰과 전기차의 완벽한 통합을 중요한 전략으로 삼았기 때문이다. 폴스타는 지리차의 스마트폰 자회사인 메이주와 손잡고 스마트폰을 개발하고 있다. 영상 예고를 위해 공개된 티저 이미지에서는 폴스타 스마트폰이 메이주 21 프로 모델의 변경 모델임이 확인됐다. 이미지로 확인되는 메이주 21 프로와의 차이점은 로고뿐이다. 이에 폴스타 스마트폰의 전반적인 사양도 메이주 21 프로과 크게 다르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메이주 21 프로는 퀄컴 스냅드래곤8 젠3 프로세서를 기반으로 최대 16기가바이트(GB) 램, 1테라바이트(TB) 저장공간, 6.79인치 2K+ 해상도 디스플레이 등이 장착됐다. 폴스타가 자체 스마트폰을 출시하면서 전기차와
[더구루=길소연 기자] 한화오션이 에너지 및 해운 산업 분야 베테랑 인재를 수혈해 해양사업부의 변화를 꾀한다. 15일 업계에 따르면 한화오션은 '쉘 쉬핑 앤드 마리타임(Shell Shipping and Maritime)' 출신 클레어 라이트 전 상업 및 전략 총괄 책임자를 런던지사에 채용했다. LNG 및 탈탄소화 전문가였던 클레어 라이트는 한화오션의 에너지 주요 사업에 집중할 전망이다. 신규 직책은 아직 공개되지 않았다. 런던정치경제대학교(LSE)에서 유럽 정치와 환경영향평가관리를 공부한 라이트는 머스크(Maersk) 연수생으로 경력을 시작했다. 지난 2013년 쉘에 합류하기 전에 컨설팅회사인 로이드 리스트 인텔리전스(Lloyd's List Intelligence)의 분석가로 일하다 책임자를 역임했다. 쉘에 합류하면서 선박 설계, 용선 및 벙커링을 포함한 LNG 운송 업무와 쉘의 해양 사업 및 LNG 연료 유조선에 대한 탈탄소화 전략에 참여했다. 그는 배출 감소, 기술 상용화와 새로운 해양 연료와 함께 프로젝트 평가, 개발, 선박 인수, 매각과 같은 전문 지식을 보유하고 있다. 특히 LNG 부문에서 잘 알려져 있으며, 글로벌 해양 포럼 회의에서 쉘을 대표하거
[더구루=김형수 기자] 유한킴벌리의 모회사 미국 킴벌리클락(Kimberly-Clark)이 페루에 신규 하기스(Huggies) 브랜드 기저귀 생산라인을 구축한다. 페루 생산 역량을 제고하고 남미 시장 공략을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유료기사코드] 15일 업계에 따르면 킴벌리클락은 페루 수도 리마 인근 아떼(Ate)에 위치한 공장에 기저귀 생산시설을 추가 조성한다.다만 구체적 투자 규모는 공개되지 않았다. 아떼 신규 기저귀 생산라인은 연내에 완공될 것으로 전망된다. 킴벌리클락은 해당 라인에서 생산되는 하기스 브랜드 기저귀 제품을 페루를 비롯한 남미 시장에 공급한다는 방침이다. 현재 킴벌리클락 하기스는 페루 기저귀 시장에서 50% 이상의 점유율을 차지하며 압도적 1위다. 기저귀에 이어 물티슈, 샴푸 등으로 현지 베이비 케어 사업을 다변화하는 데도 주력하고 있다. 킴벌리클락이 남미 시장 선점에 발빠르게 움직이는 모습이다. 미국 비영리 연구통계연구소 인구조회국(PRB·Population Reference Bureau) 조사결과 지난해 기준 페루 합계출산율은 2.2명으로 미국(1.7명)에 비해 0.5명 높다. 브라질 1.8명, 아르헨티나 1.9명, 에콰도르 2.0명, 베
[더구루=윤진웅 기자] 기아 엔트리급 전기차 'EV3'가 스웨덴에서 또 포착됐다. 오는 6월 브랜드 첫 전기자동차 전용공장인 기아 오토랜드 광명 2공장에서 생산을 앞두고 최종 성능 점검에 고삐를 죄고 있는 모양새다. 글로벌 자동차 전문 매체 브룸(Vroom)은 최근 스웨덴 북부 지역에서 극한 테스트를 진행 중인 EV3 프로토타입을 포착했다고 15일 보도했다. 테스트뮬(주행시험을 위한 시제작차)이 아닌 위장막을 적용한 프로토타입의 테스트가 이뤄지고 있다는 점에서 성능 점검이 막바지를 향해 달려가고 있다는 설명이다. EV3는 기아가 올해 상반기부터 국내 시장과 더불어 서유럽 시장 등에 출시할 전기차이다. 기아 전기차 대중화를 이끌 모델로 주목받고 있다. EV3 스웨덴 극한 테스트 장면이 포착된 것은 이번이 두 번째다. 앞서 북미 자동차 전문지 오토에볼루션(autoevolution)이 지난 2월 극한 테스트를 진행하고 있는 EV3 프로토타입의 모습을 공개한 바 있다. 위장막에 가려져 전체적인 디자인을 확인하기는 어렵지만 해당 EV3 프로토타입은 앞서 공개된 콘셉트카와 상당히 비슷한 외관을 갖고 있다. 브랜드 대형 전기 플래그십 SUV 모델 EV9과 유사하면서도 훨
[더구루=한아름 기자] 국내 의료 인공지능(AI) 기업 루닛이 글로벌 의료AI 시장에서의 경쟁력 강화에 본격 나섰다. 미국 시장에서 선도적 위치를 확보하기 위해 유방암 검진에 특화된 솔루션과 미국 내 강력한 세일즈 네트워크를 갖춘 뉴질랜드 유방암 AI 검진 업체 볼파라 헬스테크놀로지(Volpara Health Technologies Limited·이하 볼파라)의 인수를 발표한 바 있다. 루닛은 지난 11일(현지시간) 캐나다 몬트리올에서 열린 유방영상학회(Society for Breast Imaging·이하 SBI)에서 볼파라와 공동 프레젠테이션을 진행했다. 프레젠테이션명은 'AI·개인화 스크리닝을 통해 암 예방'이다. 루닛 인사이트AI 소프트웨어의 높은 조기 암 진단률, 향후 볼파라와의 시너지를 적극 알렸다. 루닛은 의료 AI를 활용하면 질병을 조기에 진단할 뿐만 아니라 의료진의 업무 부담도 현저히 줄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제시하며 의료진들의 관심을 집중시켰다. 유방촬영술 AI 영상분석 솔루션 '루닛 인사이트 MMG'를 활용할 경우 의료진의 업무량은 약 69.5% 낮추고 분류 정확도는 약 30.5% 향상됐다고 설명했다. 전체 간격암의 약 52%, 기존 검
[더구루=김은비 기자] 삼성전자의 인공지능(AI) 냉장고가 유럽연합(EU)으로부터 에너지 효율 'A등급'을 획득했다. A등급 획득은 이 회사 최초다. 에너지 효율 기술력을 인정받는 한편 소비자의 에너지 절감 니즈를 충족시켰다는 평가다. 15일 삼성전자에 따르면 이 회사는 지난 3일(현지시간) 파리 레 파빌리온 데 에탕(Les Pavillon des Etangs)에서 열린 글로벌 신제품 론칭 행사 'Welcome to BESPOKE AI'에서 신규 냉장고 모델 'RB6000D'를 출시했다. RB6000D는 차세대 AI 인버터 압축기로 효율적인 에너지 관리를 할 수 있는 제품이다. 과거 정속형과 다르게 작동 모드와 냉장고 주변 온도, 문의 개폐에 따른 온도 변화 등에 맞춰 자동으로 모터 속도를 조절한다. 모터의 회전 반경도 늘렸다. 4.1배 높아진 모터의 관성을 이용해 회전, 전력이 절감되는 형태다. AI로 최적의 냉기를 만들면서 에너지 소비까지 줄일 수 있다. 삼성전자의 통합 연결 플랫폼 '스마트싱스(SmartThings) AI 에너지 모드'도 에너지 효율을 늘리는 '효자' 기능이다. 에너지 소비량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해 전 달과 비교한 뒤, 월간 목표치를 초
[더구루=길소연 기자] HD현대인프라코어의 건설장비 브랜드 '디벨론(DEVELON)'이 글로벌 원격 서비스센터를 통해 고객과 대리점 등의 요구사항을 해결, 고객 생산성 향상에 나선다. 15일 업계에 따르면 HD현대인프라코어는 올해 초 HD현대 글로벌 R&D센터(GRC) 13층에 디벨론 업타임 센터(Develon Uptime Center, DUC)를 개소했다. DUC는 디지털 기반의 서비스 기술을 활용해 고객과 대리점, 유통업체의 원격 지원 요청을 신속하게 해결한다. 원격 서비스로 △오류 코드 분석 △가상 현실(VR) 시뮬레이터 △증강 현실(AR) 안내 △CAN BLACK BOX 등을 포함한 포괄적인 서비스 제품군을 제공해 고객의 생산성을 향상에 도움을 준다. HD현대인프라코어는 DUC 개소 후 지난 2월에는 워크숍도 열어 경쟁력을 강화했다. 이날 워크숍에는 문재영 HD현대인프라코어 건설기계부문 부사장과 디지털 콘텐츠 개발 및 운영 담당 인력 28명이 참석했다. 워크숍에서는 경쟁사와 비교해 DUC의 서비스를 평가하고 전기전자개발실, HD현대사이트솔루션 기술연구소 등 사내 다양한 부서에서 개발 중인 기술 및 로드맵에 대한 정보를 공유했다. 문재영 HD현대
[더구루=오소영 기자] 미국 배터리 스타트업 '앰프리우스 테크놀로지스(Amprius Technologies, 이하 앰프리우스)'가 한국 배터리 제조사와 손잡았다. 한국 시설에서 앰프리우스의 실리콘 음극재 기술을 접목해 배터리를 생산한다. 외부 파트너십을 활용해 비용 절감과 생산능력 확장의 이점을 모두 취하고 차세대 실리콘 음극재를 상용화한다. [유료기사코드] 29일 앰프리우스에 따르면 이 회사는 한국 배터리 회사와 실리콘 음극재 기반 배터리 생산을 위한 제조 협약(Contract Manufacturing Agreement)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에 따라 한국 제조사의 공장에서 SiCore® 배터리셀을 생산한다. 초기 드론용 배터리로 활용하고 향후 항공우주와 방위, 전기차 등 다양한 분야에 최적화된 배터리를 양산할 계획이다. 다양한 형태의 리튬이온 배터리 생산 경험이 있는 파트너사와 협력하며 글로벌 배터리 생산능력을 확대한다. 앰프리우스는 작년 6월 여러 건의 제조 파트너십을 체결해 배터리 생산능력을 500MWh 이상으로 늘렸다고 밝혔었다. 현재까지 1.8GWh 규모의 생산능력을 확보했다. 추가 파트너십을 통해 아시아에 제조 거점을 보유, 대륙별 생산체계를 구
[더구루=진유진 기자] 세계 최대 종합 화학 기업인 독일 '바스프(BASF)'가 캐나다 퀘벡주에 계획했던 이차전지 소재 공장 투자를 철회했다. [유료기사코드] 다니엘라 레첸버거 바스프 대변인은 28일(현지시간) "비용 절감 계획과 지속적인 시장 불확실성으로 인해 퀘백주 공장 투자를 중단하게 됐다"고 밝혔다. 다만 그는 "시장과 고객이 현지 생산 능력을 필요로 할 경우, 언제든 북미 투자에 나설 준비가 돼 있다"고 덧붙였다. 바스프는 지난 2022년 퀘벡주 베캉쿠르에 배터리 소재 공장을 세우기 위해 부지를 확보하고 올해 가동을 목표로 사업을 추진해왔다. 이 공장은 배터리 핵심 부품인 음극 활성 물질을 생산하고, 지역 내 전기차 생태계와 연계된 재활용 체계를 구축할 계획이었다. 하지만 배터리 시장 성장세가 둔화되면서 프로젝트는 지지부진해졌다. 바스프는 지난해 하반기부터 배터리 부문 지출을 점진적으로 축소했고, 이 프로젝트의 자동차 파트너사 확보에도 실패한 것으로 알려졌다. 피에르 피츠기번 퀘벡주 경제부 장관은 지난 2023년 "오랫동안 바스프로부터 진전된 소식을 듣지 못했다"며 "건설 현장에도 별다른 움직임이 없어 프로젝트가 사실상 멈춰 있는 상태"라고 언급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