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김형수 기자] 이스라엘 제약업체 캔파이트 바이오파마(Can-Fite BioPharma·이하 캔파이트)가 국소 건선 치료제 피클리데노손(Piclidenoson)을 미국과 유럽 시장에 출시하기 위한 움직임에 들어갔다. 캔파이트 파트너업체 종근당이 반사이익을 볼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유료기사코드] 13일 업계에 따르면 캔파이트는 미국 식품의약국(FDA)에는 등록 계획을, 유럽 의약품청(EMA)에는 시판허가신청(Marketing Authorization Application)을 제출하겠다면서 피클리데노손 상업화 계획을 밝혔다. 피클리데노손은 캔파이트가 중등도에서 중증의 건선 치료를 위해 개발한 경구용 의약품이다. 캔파이트가 최근 발효한 임상 3상 톱라인 결과에 의하면 피클리데노손은 통계적으로 상당히 의미있는 개선 효과를 나타내며 1차 평가변수를 충족시켰다. 질병의 상태가 심각할 경우 치료효과가 더 뛰어났다는 설명이다. 피클리데노손은 안전성 프로파일도 우수했다. 피클리데노손 투여군에서의 위장 관련 부작용 발생 비율은 1%에 그쳤다. 암젠의 건선치료제 오테즐라(Otezla)를 투여한 환자 가운데 6%에게서 위장 관련 부작용이 발견된 것에 비해 낮은 수치
[더구루=김형수 기자] 이스라엘 제약업체 캔파이트 바이오파마(Can-Fite BioPharma·이하 캔파이트)가 자국에서 간 질환 치료제 관련 특허를 따냈다. 종근당은 캔파이트 간 치료제 후보물질 나모데노손(Namodenoson)의 국내 판권을 갖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17일 이스라엘 특허청(Israel Patent Office)에 따르면 캔파이트의 ‘이소성 지방 축적 치료에 사용되는 A3 아데노신 수용체 리간드(An A3 Adenosine Receptor Ligand For Use In Treating Ectopic Fat Accumulation)’라는 제목의 특허를 부여했다. 캔파이트는 해당 특허가 한국, 일본, 홍콩, 멕시코, 유럽연합(EU)을 비롯한 전 세계 약 40개 국가 및 지역에서 발행됐다고 전했다. 해당 특허는 캔파이트의 의약품 플랫폼 기술이 타깃으로 삼고 있는 A3 아데노신 수용체(A3AR) 리간드의 사용에 관한 내용을 다루고 있다. 비알콜성지방간질환(NAFLD), 비알콜성 지방간염(NASH) 등의 형태로 나타나는 이소성 지방축적을 치료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캔파이트는 현재 간 치료제 후보물질 나모데노손의 효능을 평가하기 위해 기획
[더구루=김형수 기자] 이스라엘 제약업체 캔파이트 바이오파마(Can-Fite BioPharma·이하 캔파이트)의 국소 건선 치료제 피클리데노손(Piclidenoson) 개발이 순조롭게 이뤄지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7일 업계에 따르면 캔파이트는 경구용 건선 치료제 피클리데노손 임상 3상을 실시하고 있다. 캔파이트는 피클리데노손이 A3 아데노신 수용체 작용제인 소분자 의약품이라고 소개했다. 전임상 시험에서는 이미퀴모드(Imiquimod)에 의해 유발된 피부 건선에 피클리데노손을 국소 투여하자 질병이 유의미하게 억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홍반, 두께 관찰과 피부 병변 수치 등을 바탕으로 나온 결과다. 이어 임상 2상에도 양호한 치료 지수를 나타내면서 피클레데노손 개발은 임상 3상에 접어들었다. 캔파이트는 임상 3상을 유럽, 이스라엘, 캐나다 등에서 수행한다. 임상 3상의 1차 평가변수는 PASI 수치 75% 이상을 기록하는 환자의 비율이다. 2차 평가변수는 오테즐라(Otezla)에 대한 비열등성으로 설정됐다. 올해 2분기 중에 임상 3상의 톱라인 결과가 나올 것으로 예상된다. 시장조사 기관 퍼시스턴스 마켓 리서치(Persistence Market Researc
[더구루=홍성일 기자] 인도 게임·e스포츠 기업 나자라 테크놀로지(Nazara Technologies, 이하 나자라)의 미국 스포츠부문 자회사인 앱솔루트 스포츠(Absolute Sports)가 미국 프로레슬링 전문매체를 인수했다. 앱솔루트 스포츠는 이번 인수로 격투 스포츠 부문 입지를 강화한다는 목표다. [유료기사코드] 11일 업계에 따르면 앱솔루트 스포츠는 영국 미디어 기업 '타이탄 인사이트 디지털(Titan Insider Digital)'로부터 미국 프로레슬링 전문매체 TJR레슬링(TJRWrestling)과 ITR레슬링(ITRWrestling)을 인수하기로 했다. 인수 규모는 125만 달러(약 17억5000만원)이며, 인수 작업은 45일 이내 마무리될 예정이다. 앱솔루트 스포츠가 인수한 TJR레슬링과 ITR레슬링은 각각 2009년과 2020년 설립됐으며, 글로벌 프로레슬링 팬 커뮤니티 내에서 탄탄한 독자층을 보유하고 있다. 두 매체의 월간 활성 이용자 수(MOU)는 170만 명에 달하며, 월간 조회수는 460만 회가 넘는다. 앱솔루트 스포츠는 이번 인수로 자회사인 스포츠 전문매체 스포츠키다(Sportskeeda)의 격투 스포츠 부문을 강화한다. 또한 프로
[더구루=홍성일 기자] 머리카락처럼 생긴 뇌전도(EEG) 전극이 개발됐다. 연구팀은 해당 전극을 활용하면 장시간 뇌 활동 모니터링이 필요한 환자의 편의성이 향상될 것으로 전망했다. [유료기사코드] 10일 업계에 따르면 펜실베이니아 주립대학교 연구팀은 24시 이상 연속 착용이 가능한 EEG 전극을 개발했다. 연구 내용은 국제 학술지 네이처에서 발간하는 생체공학 분야 저널 'npj 바이오메디컬 이노베이션(npj Biomedical Innovations)'에 소개됐다. EEG는 뇌의 전기적 활동을 기록하는 검사로 간질은 물론 수면 장애, 뇌 손상과 같은 질환을 진단하는데 사용된다. 보통 EEG는 여러 개의 전극을 두피에 붙여 뇌파를 측정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하지만 장기간 뇌파를 측정해야 하는 경우 젤로 두피에 붙도록 만들어진 금속 전극을 활용한다. 문제는 젤이 마르거나 하는 경우 제대로 측정이 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한다는 점이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펜실베이니아 주립대 연구팀은 3D 프린팅이 가능한 생체 접착 잉크로 EEG 전극을 만들었다. 펜실베이니아 주립대 연구팀이 개발한 EEG 전극은 머리카락 굵기의 안테나 부분에 조그마한 점처럼 생긴 부분이 붙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