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오소영 기자] 스페인 지방 정부가 일진머티리얼즈에 태양광 발전소용 부지를 제공하고자 도시계획을 수정하고 지역 주민들과 협상한다. 일렉포일 공장 가동에 필요한 친환경 전력 생산을 지원한다. 지난 10일(현지시간) 디아리 메스(Diari Més) 등 스페인 매체에 따르면 몬로지(Mont-roig del Camp) 시의회는 태양광 발전소의 건설을 허용하는 내용의 도시계획 변경을 추진하고 있다. 이를 통해 일진머티리얼즈에 96만㎡의 부지를 제공하고 태양광 발전소를 짓도록 돕는다. 몬로지 시정부는 현지 지역 주민들과 부지 매입 협상도 진행 중이다. 경작하지 않은 농지를 사들여 발전소용 부지로 제공한다. 일진머티리얼즈는 600억원을 투입, 60㎿ 규모의 발전소를 구축할 예정이다. 발전소에서 생산한 전력은 인근 일렉포일 공장에 쓰인다. 일진머티리얼즈는 지난해 카탈루냐주에 5000억원을 투자해 연산 2만5000t을 생산할 수 있는 일렉포일 공장을 짓겠다고 발표했었다. 올해 착공해 2024년 하반기 완공한다는 목표다. <본보 2022년 9월 1일 참고 롯데 인수 추진 일진머티리얼즈, 내년 스페인 동박공장 착공> 스페인 정부는 250억원의 현금 인센티브 제
[더구루=오소영 기자] 일진머티리얼즈가 내년 스페인 카탈루냐주에서 전기차용 일렉포일 신공장을 착공해 2025년 봄부터 가동한다. 전기차 배터리 산업의 격전지로 부상한 유럽에 진출해 수주를 확대한다. 지난달 31일(현지시간) CCMA 등 카탈루냐 지역 매체에 따르면 프란 모란초 몬트로이즈델캠프 시장은 "일진머티리얼즈가 내년부터 공장 건설에 착수해 첫 번째 토목공사를 4개월 안에 완료할 계획이다"라고 밝혔다. 이어 "2025년 봄부터 가동에 돌입한다"며 "모든 것이 잘 진행되고 있다"라고 강조했다. 일진머티리얼즈는 지난 5월 첫 유럽 공장 신설을 발표했다. 카탈루냐에 5000억원 투자해 연간 2만5000t 규모의 전기차용 일렉포일 공장을 짓고 일자리 500개를 창출한다는 구상이다. 스페인 공장이 준공되면 일진머티리얼즈는 한국(연간 1만5000t)·말레이시아(연간 9만t)를 합쳐 연간 13만t의 생산능력을 확보하게 된다. 일진머티리얼즈는 신공장을 활용해 현지 수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고 유럽 고객사를 늘릴 계획이다. 유럽이 전 세계 배터리 생산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0% 미만이다. 하지만 세계 최대 전기차 시장으로 떠오르고 유럽연합(EU)이 적극적으로 투자를 유치하
[더구루=오소영 기자] 이차전지 핵심 소재 회사인 일진머티리얼즈가 유럽에 첫 생산거점을 구축한다. 5000억원을 쏟아 전기자동차용 일렉포일 공장을 짓는다. 일진머티리얼즈는 16일 "스페인 카탈루냐주(州)에 2024년까지 2만5000t 규모의 전기차용 일렉포일 공장 신설에 5000억원을 투자한다"고 밝혔다. 해외 공장으로는 말레이시아 쿠칭에 이어 두번째다. 일진머티리얼즈는 2021년부터 일렉포일 생산에 최적의 조건을 갖춘 유럽내 여러 후보지를 검토한 결과 최종 스페인 카탈루냐주를 낙점했다. 카탈루냐주는 따뜻하고 온화해 일렉포일 생산에 적합한 기후 조건을 갖추고 있다. 주 정부의 친환경 자동차 산업정책, 투자유치 노력, 태양광 등 친환경 에너지 기반의 안정적 전력망 보유 등이 후보지 선정에 큰 영향을 미쳤다. 특히 전체 사용전력의 50% 이상을 태양광 발전을 통해 직접 생산하는 등 총 사용전력의 100%를 신재생에너지로만 사용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이미 RE100을 달성한 말레이시아 공장을 포함한 모든 생산법인이 RE100을 조기에 이행해 친환경을 강조하는 유럽 고객들의 요구에 적극적으로 대응한다는 방침이다. 이번 투자는 폭발적으로 성장하는 유럽 전기차 시장에
[더구루=오소영 기자] 미국 뉴스케일파워와 테라파워, 영국 롤스로이스 등 주요 소형 원전 기업들이 영국 안보·넷제로부 고위 인사와 만났다. 영국 보수당 주최의 원탁회의에서 소형모듈원자로(SMR) 구축을 위한 협력을 모색했다. 탄소중립 실현의 중요한 에너지원으로 SMR을 활용하려는 영국에서 기회를 발굴한다. [유료기사코드] 9일 영국 원전 회사 커뮤니티 뉴클리어 파워에 따르면 뉴스케일파워와 테라파워, 롤스로이스는 최근 그림자 내각의 앤드류 보위 에너지 안보·넷제로부 장관 대행 초청으로 열린 원탁회의에 참석했다. 이번 회의는 영국 보수당이 주최하는 연례 회의로, 에너지 안보와 기후 위기 등 에너지 정책 전반에 대해 업계 의견을 모으는 자리다. 런던 웨스트민스터궁에서 개최됐으며 현지 정부와 원전 업계 인사들이 참석했다. 올해 회의의 주요 화두는 SMR이었다. 참석자들은 영국 SMR 시장의 잠재력과 SMR 도입 과제를 집중 논의했다. SMR 구축을 위해 영국 정부의 지원이 중요하다는 의견도 전달했다. 영국 원자력청은 2050년까지 현재 6.5GW 수준인 원전 발전용량을 24GW로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원전을 통해 전력 수요의 약 4분의 1을 충당할 계획이다. 지난해
[더구루=김은비 기자] 후지필름이 인도에 첫 반도체 생산 거점을 구축한다.미국·대만에 이어 인도와 손잡고 공급망 다변화에 속도를 낸다는 방침이다. [유료기사코드] 9일 업계에 따르면 일본 후지필름이 인도 구자라트주 내 반도체 클러스트에 소재 생산시설을 설립할 계획이다. 인도에 생산 거점을 구축하는 것은 이번이 최초다. 이 공장은 반도체 제조에 사용되는 세정용 화학물질을 생산한다. 향후 다양한 소재 및 솔루션으로 생산 범위를 확대할 예정이다. 내년부터 공사에 착수해 오는 2028년 가동한다는 목표다. 초기 공급 대상은 타타그룹 반도체 계열사 타타일렉트로닉스가 될 전망이다. 타타일렉트로닉스는 현재 대만 파워칩반도체제조(Powerchip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rp·PSMC)와 함께 구자라트에 성숙 공정 기반 차량용 반도체 파운드리를 설립하고 있다. 이 파운드리는 내년부터 양산에 들어간다. 후지필름은 신공장 가동 전까지 미국과 유럽, 아시아 내 기존 생산거점에서 타타그룹 등 인도 고객에 제품을 공급할 예정이다. 이번 공장 설립은 인도 정부가 추진 중인 반도체 공급망 자립 전략에 부응하려는 움직임으로 풀이된다. 인도 정부는 지난해 4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