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윤진웅 기자] KG모빌리티(옛 쌍용자동차) 준대형 트럭 모델 '렉스턴 스포츠'가 영국에서 최고 4X4 '톱10' 모델로 꼽혔다. 현지 브랜드 이미지와 인지도 제고는 물론 판매 확대로 이어질 전망이다. 12일 업계에 따르면 렉스턴 스포츠는 영국 자동차 전문지 오토카 선정 최고 4X4(포바이포) 모델 9위에 올랐다. 세련된 디자인과 오프로드 성능을 두루 갖춘 모델이라는 평가를 받았다. 단단한 리어 액슬을 토대로 탁월한 험지 주행 능력을 보여줬다는 설명이다. 무엇보다 동급 모델과 비교해 가격 대비 성능(가성비)가 뛰어나다는 점에서 호평을 받았다. 1위는 랜드로버 디펜더가 차지했다. 지프 랭글러는 2위, 토요타 랜드쿠르저는 3위를 기록했다. 이어 메르세데스-벤츠 G클래스와 랜드로버 디스커버리가 각각 4위와 5위에 이름을 올렸다. 6위부터 8위는 △이네오스 그레나디어 △포드 레인저 랩터 △스즈키 짐니 순으로 나타났고 렉스턴에 이어 다시아 더스터가 10위에 올랐다. 이번 결과는 영국 포함 유럽 내 쌍용차 브랜드 이미지와 인지도 제고 효과로 이어질 전망이다. 글로벌 유력 전문지로 평가받는 오토카가 최고 4X4 모델로 선정한 만큼 브랜드 신뢰도 또한 상승할 것으로
[더구루=윤진웅 기자] 쌍용자동차가 폴란드 최대 모터쇼를 통해 토레스 유럽 공식 데뷔전을 치른다. 주요 수출 지역인 유럽에서 활약이 기대된다. 15일 업계에 따르면 쌍용차는 오는 30일부터 내달 2일까지 나흘간 폴란드 포즈난에서 열리는 '포즈난 모터쇼 2023'에 참가, 토레스를 공개한다. 유럽 무대에서 토레스를 선보이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30일 미디어 데이를 시작으로 31일부터 일반에 공개된다. 토레스는 쌍용차가 SUV 시장을 공략하기 위해 지난해 7월 출시한 중형 SUV다. 1.5ℓ 가솔린 싱글터보 엔진과 3세대 아이신 6단 자동변속기가 조합돼 최고출력 170마력, 최대토크 28.6kg·m의 힘을 낸다. 연비는 11.1~11.2km/ℓ다. 쌍용차는 이번 모터쇼에서 토레스 데뷔전을 치른 뒤 이르면 오는 5월부터 유럽향 모델을 양산한다는 계획이다. 유럽 SUV 시장 공략을 토대로 만성 적자를 끊어내고 지속 가능한 기업으로 전환하겠다는 각오다. 실제 유럽은 쌍용차의 주요 수출 지역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지난해 전체 수출 물량 4만5294대 중 65%(2만9391대)가 유럽 시장에 공급됐다. 서유럽과 동유럽에 각각 1만6910대, 1만2481대를 수출한
[더구루=윤진웅 기자] 쌍용자동차가 지난해 유럽 시장에서 '리콜 제로'를 달성했다. 브랜드 신뢰도가 크게 상승할 것으로 기대되는 만큼 현지 판매량 확대로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17일 유럽 자동차 리콜 데이터 제공 업체 카-리콜(Car-Recalls)에 따르면 쌍용차는 지난해 유럽 시장에서 리콜 0건을 기록했다. 전년인 2021년 연료 누유 결함으로 코란도(2019~2020년 생산분)와 티볼리(2015~2020년 생산분), XLV(2015~202년 생산분) 등 2만3000여대를 리콜한 것을 마지막으로 약 2년 동안 단 한 건의 리콜도 진행하지 않았다. 지난해 유럽 시장에서 진행된 리콜은 총 207건으로 집계됐다. 37개 글로벌 완성차 업체가 생산·판매한 209개 모델이 대상이었다. 가장 많은 리콜을 기록한 브랜드는 메르세데스-벤츠로 총 39건의 리콜을 진행, 현지 완성차 브랜드 중 최다 리콜을 기록했다. 리콜 대상은 총 24개 모델로 △엔진 화재 가능성 △브레이크 문제 등 치명적인 결함이 발견됐다. 특히 최고급 럭셔리 모델인 S클래스의 경우 7번에 달하는 리콜이 이뤄졌다. 이어 푸조가 같은해 10개 모델을 대상으로 총 15건의 리콜을 진행해 2위를 기록했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마이크로소프트(MS)의 창업자 빌 게이츠가 설립한 미국 소형모듈원자로(SMR) 스타트업 '테라파워'가 미국 엔지니어링·건설·프로젝트 관리 회사 'KBR'과 손잡았다. 테라파워는 KBR과 협력을 강화해 영국 원전 시장 진출에 속도를 낸다. [유료기사코드] 테라파워는 15일(현지시간) KBR과 영국에 소듐냉각고속로(SFR) 발전 시스템 '나트륨(Natrium®)'을 구축하는데 협력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테라파워와 KBR은 올해 3월 나트륨 상용화를 위한 전략적 제휴를 체결한 바 있다. 나트륨은 액체 나트륨(소듐)을 냉각재로 사용하는 SMR과 용융염 기반 에너지 저장 시스템를 통합해 만들어졌다. 소듐은 끓는점이 880℃로 기존 냉각제인 물보다 8배 이상 높아 많은 열을 흡수하면서 발전 출력을 높일 수 있다. 안정적이고 핵폐기물도 적다는 장점을 지녔다. 용융염 기반 에너지 저장 시스템은 원자로에서 생성된 열을 용융염 형태로 저장한다. 용융염은 가열된 상태로 보관되며, 추가 에너지가 필요할시 증기를 가열하는데 사용된다. 이를 통해 나트륨 원자로 전력 출력인 345MWe보다 더 많은 전력이 필요할 때 500MWe까지 발전 용량을 늘릴 수 있다.
[더구루=정예린 기자] 미국 배터리 스타트업 '앰프리우스 테크놀로지(Amprius Technologies, 이하 앰프리우스)'가 약 6개월 만에 직전 수주 대비 3배 이상 커진 규모의 무인항공기(UAS)용 배터리 공급 계약을 따냈다. 기존 고객과의 신뢰를 기반으로 신규 수주를 확보하며 고에너지밀도 실리콘 음극 배터리 기술의 우수성을 입증, 글로벌 UAS 시장 점유율 확대에 속도를 낼 전망이다. [유료기사코드] 앰프리우스는 15일(현지시간) 익명의 UAS 제조업체와 3500만 달러 규모의 'SiCore' 배터리셀을 공급하는 계약을 체결했다고 발표했다. 이번 수주는 지난 2월 체결한 1500만 달러 규모 수주의 후속 주문으로, 같은 고객사와의 지속적인 협력 관계를 구축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본보 2025년 2월 28일 참고 '현대공업 투자' 美 앰프리우스, 무인항공기용 실리콘 음극재 배터리 수주> 앰프리우스가 공급하는 SiCore는 고정된 날개를 이용해 비행하는 UAS에 장착된다. 군용 장거리 감시·정찰 드론뿐만 아니라 재난 대응, 탐색·구조, 대규모 농업 모니터링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 가능하다. SiCore가 높은 에너지밀도를 갖춰 UAS 무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