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오소영 기자] 대만 파운드리 회사 TSMC가 내년부터 애플의 자체 칩을 3나노(nm, 10억분의 1m) 공정에서 양산한다. 애플향 공급량을 늘려 초미세 공정에서 선두 지위를 굳건히 한다. 2일 업계에 따르면 TSMC는 애플의 아이폰과 아이패드에 들어가는 A 시리즈, 맥·맥북에 탑재되는 M 시리즈 칩을 3나노 공정에서 생산하다. 3나노 제품은 5나노 대비 성능은 15%, 배터리 효율은 30% 향상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TSMC는 내년부터 3나노 양산에 본격 돌입하고 이후 생산량을 확장할 예정이다. 2022년 월 5만5000장 수준에서 이듬해 10만5000장으로 늘린다. 애플은 차세대 칩 생산 업체로 일찌감치 TSMC를 점찍었다. 작년 7월 애플이 A16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를 TSMC의 3나노 공정에서 만들기로 했다는 언론 보도가 나왔다. 애플은 TSMC의 가장 큰 고객사다. 애플이 TSMC 매출에 차지하는 비중은 20% 이상이다. 10나노 이하 미세공정에서는 애플 비중이 50%를 넘는다. 아이폰12에 장착된 A14 바이오닉과 PC용 중앙처리장치(CPU) M1칩은 TSMC의 5나노 공정에서 제조됐다. 차기 AP A15 바이오닉 생산도 TSMC가
[더구루=오소영 기자] 세계 최대 그래픽처리장치(GPU) 회사 엔비디아가 영국 반도체 설계 업체 ARM 인수 이후 일정 이상의 고용을 의무화하는 방안에 회의적인 입장을 드러냈다. 퀄컴 등 업계의 반발에 이어 고용 문제가 대두되며 양사 통합까지 진통이 예상된다. 1일(현지시간) 영국 일간지 텔레그래프 등 현지 매체에 따르면 엔비디아는 ARM 인수 후 채용 문제에 관한 계약 서명을 거부했다. 해당 계약에는 ARM을 인수한 대가로 직원 수를 2016년 대비 2배 늘리는 방안이 담겼다. 엔비디아는 고용 목표를 달성하기 버겁다는 입장이다.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는 "비용이 한두 푼도 아니고 우리가 원하는 인재를 영국에서 데려오고 영국에 투자하는 일은 쉽지 않을 수 있다"며 "있는 만큼의 아인슈타인을 고용하겠다"고 밝혔다. 목표치를 두지 않고 엔비디아에 적합한 인재가 있다면 뽑겠다는 의미다. 엔비디아가 법적 구속력 있는 고용 약속은 어렵다고 밝히며 난관이 지속되고 있다. 영국 정부가 일자리 창출 노력 부족을 근거로 양사의 인수합병을 반대할 수 있어서다. 앞서 퀄컴은 미국 연방거래위원회(FTC)와 유럽연합(EU) 집행위원회, 영국의 경쟁시장청(CMA),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