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오소영 기자] 중국향 테슬라 모델3에 배터리 보호 장치가 적용되지 않았다는 분석이 나왔다. 2013년 화재 사고 이후 전 모델 탑재를 약속했던 '3중 언더보드'를 중국 판매 차량에 장착하지 않아 사고 위험을 키웠다는 지적이다. 26일 업계에 따르면 중국 자동차 전문지 유관차시(愉观车市)는 이날 테슬라 모델3 차체 분해 영상을 공개했다. 테슬라 모델3는 19일(현지시간) 화재 사고로 안전성 논란에 휘말렸다. 중국 상하이 민항구 소재 지하주차장에서 테슬라 모델3가 폭발했다. 차체 하단에 충격이 가해져 불이 난 것으로 추정된다. 유관차시는 분해 결과 "중국향 모델3에 2014년 테슬라가 발표한 언더보드가 없었다"고 보도했다. 테슬라는 2013년 5주 간격으로 사고 3건이 발생하자 이듬해 차량에 3중 언더보드를 적용하겠다고 밝혔었다. 3중 언도보드는 티타늄 소재의 판으로 배터리 팩을 감싸고 알루미늄 소재의 바를 팩 전면에 장착한 후 알루미늄 판을 더해 삼중으로 보호 장치를 강화한 것이 특징이다. 차량 하부와 도로 지면과의 간격을 넓혀 이물질과의 충돌을 방지한다. 유관차시는 "모델3의 치명적인 약점은 전면, 후면, 좌우측에 배터리 보호 장치가 없다는 것"이라
[더구루=윤진웅 기자] 테슬라 모델S를 개조한 컨버터블이 공개, 주목을 끌고 있다. 테슬라 컨버터블 모델인 '로드스터' 공식 출시 지연으로 커스터마이징을 통해 개조하는 고객의 발길이 이어지고 있다는 것. 26일 업계에 따르면 이탈리아 전문 커스터마이징 업체 '아레스 디자인(Ares Design)'은 최근 테슬라 모델S 컨버터블 버전을 공개했다. 기존 뒷문을 제거해 2도어 컨버터블 형태로 가공한 점이 인상적이다. 파워 폴딩 소프트탑도 장착했다. 다만 소프트탑 공간 확보를 위해 루프와 B필러 등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뒷좌석 공간은 줄었다. 아레스 디자인에 따르면 이번 모델S 컨버터블 버전은 고객 요청으로 제작됐다. 지난 2018년 작업을 시작해 약 3년 만에 완성했다. 뼈대부터 외장까지 신차 못지 않은 공을 들였다는 게 아레스의 설명이다. 특히 차량 후면에 전동식 캔버스 루프 시스템 등에 신경 썼다. 여기에 카본 파이버 바디키트, 커스텀 휠, 여러 색상 조합의 가죽 인테리어로 세련미까지 추가했다. 기존 테슬라 모델을 컨버터블로 바꾸는 시도는 계속되고 있다. 테슬라 컨버터블 모델 '로드스터'가 지연되고 있기 때문이다. 기다리다 지친 고객 상당수가 커스터마이징 업체를